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CBT] 실전테스트 4회차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필기시험 4회



1번.
다음 <보기>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천연화장품의 기준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보기>
천연화장품은 중량기준으로 천연함량이 전체 제품에서 (   )%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① 10

② 30

③ 50

④ 85

⑤ 95

정답은,
⑤ 95

해설.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천연화장품의 기준에 따르면, 천연화장품은 중량기준으로 천연원료의 함량이 전체 제품에서 95%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2번.
화장품의 유형별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목욕용 제품류 : 샤워, 목욕 시에 전신에 사용되는 사용 후 바로 씻어내는 제품류

② 두발용 제품류 : 모발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탈색시키는 제품류

③ 기초화장용 제품류 : 피부의 보습 · 수렴 · 유연 · 영양공급 · 세정 등에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류

④ 눈 화장용 제품류 : 눈 주위에 매력을 더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이크업 제품류

⑤ 체모제거용 제품류 : 몸에 난 털을 제거하는 제모에 사용하는 제품류

정답은,
2번

해설.
• 두발 염색용 제품류 : 모발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탈색시키는 제품류
• 두발용 제품류 : 모발의 세정, 컨디셔닝, 정발(모발 정돈), 웨이브 형성, 스트레이팅, 증모효과에 사용하는 제품류





3번.
다음 중 화장품 책임판매업 등록 혹은 맞춤형화장품 판매업 신고를 할 수 없는 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정신질환자 또는 마약류 중독자

② 등록이 취소된 날로부터 1년이 지나지 않은 자

③ 영업소가 폐쇄된 날부터 1년이 지나지 않은 자

④ 화장품법 또는 보건범죄 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 받고 그 집행이 끝나지 않은 자

⑤ 화장품법 또는 보건범죄 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 받고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되지 않은 자

정답은,
1번

해설.
마약류 중독자는 맞춤형화장품 판매업 신고를 할 수 없는 자이지만, 정신질환자 중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제조업자로서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제외한다.

※ 화장품 책임판매업 등록 혹은 맞춤형화장품 판매업 신고를 할 수 없는 자
• 피성년후견인 또는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않은 자
• 화장품법 또는 보건범죄 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지 아니하거나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되지 않은 자
• 등록이 취소되거나 영업소가 폐쇄된 날부터 1년이 지나지 않은 자
• 마약류의 중독자
• 정신질환자. 다만, 전문의가 화장품 제조업자로서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제외





4번.
화장품의 성분의 안전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화장품 성분은 화학물질 또는 천연물 등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단독 또는 혼합물일 수 있다.

② 사용하고자 하는 성분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로 지정고시한 것이 아니어야 하고 또한 사용한도에 적합하여야 한다.

③ 결과적으로 최종제품의 안전성 평가는 성분평가에 전적으로 의존된다.

④ 화장품 성분의 화학구조에 따라 물리 · 화학적 반응 및 생물학적 반응이 결정되며 화학적 순도, 조성 내의 다른 성분들과의 상호작용 및 피부투과 등은 효능과 안전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⑤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은 노출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답은,
3번

해설.
최종제품의 안전성 평가는 성분평가가 원칙이지만, 제품의 제조, 유통 및 사용시에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오염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5번.
품질관리기준 상 책임판매관리자의 업무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품질관리 업무를 총괄할 것

② 품질관리 업무가 적정하고 원활하게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것

③ 품질관이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화장품 책임판매업자에게 문서로 보고할 것

④ 책임판매한 제품의 품질이 불량하거나 품질이 불량할 우려가 있는 경우 회수 등 신속한 조치를 하고 기록할 것

⑤ 품질관리 업무 시 필요에 따라 화장품 제조업자,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자 등 그 밖의 관계자에게 문서로 연락하거나 지시할 것

정답은,
4번

해설.
제품 회수와 같은 중대한 결정은 최종적으로 책임판매업자가 내린다.
책임판매관리자는 품질관리에 관한 기록 및 화장품 제조업자의 관리에 관한 기록을 작성하고 이를 해당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3년간 보관해야 한다.





6번.
과징금 산정에 대한 일반기준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업무정지 1개월은 30일을 기준으로 한다.

② 판매업무 또는 제조업무의 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을 처분하는 경우에는 처분일이 속한 연도의 전년도 모든 품목의 1년간 총생산금액 및 총수입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③ 품목에 대한 판매업무 또는 제조업무의 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처분을 하는 경우에는 처분일이 속한 연도의 전년도 해당 품목의 1년간 총생산금액 및 총수입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④ 영업자가 신규로 품목을 제조 또는 수입하거나 휴업 등으로 1년간의 총생산금액 및 총수입금액을 기준으로 과징금을 산정하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반기별 생산금액 및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⑤ 해당 품목 판매업무 또는 광고업무의 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처분을 하는 경우에는 처분일이 속한 연도의 전년도 해당 품목의 1년간 총생산금액 및 총수입금액을 기준으로 하고, 업무정지 1일에 해당하는 과징금의 2분의 1의 금액에 처분기간을 곱하여 산정한다.

정답은,
4번

해설.
영업자가 신규로 품목을 제조 또는 수입하거나 휴업 등으로 1년간의 총생산금액 및 총수입금액을 기준으로 과징금을 산정하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분기별(3개월간씩 나누어) 생산금액 및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7번.
모발의 색을 변화시키거나(염모) 탈색시키는(탈염) 제품을 고르면?

<보기>
가. 헤어 틴트(hair tints)
나. 헤어 컬러 스프레이(hair color sprays)
다. 염모제
라. 헤어 컨디셔너(hair conditioners)
마. 헤어 토닉(hair tonics)
바. 헤어 그루밍 에이드(hair grooming aids)

① 가, 나, 다

② 가, 다, 라

③ 라, 마, 바

④ 다, 마, 바

⑤ 가, 나, 마

정답은,
① 가, 나, 다

해설.
※ 모발의 색을 변화시키거나(염모) 탈색시키는(탈염) 제품
• 헤어 틴트(hair tints)
• 헤어 컬러 스프레이(hair color sprays)
• 염모제
• 탈염 · 탈색용 제품
• 그 밖의 두발 염색용 제품류





8번.
화장품 제조업자 또는 화장품 책임판매업자의 변경사유 발생시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소재지 변경의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를 쓰시오.

<보기>
화장품 제조업자 또는 화장품 책임판매업자는 변경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소재지 변경의 경우에는 (   )일 이내에 화장품 제조업 변경등록신청서 또는 화장품 책임판매업 변경등록 신청서에 화장품 제조업 등록필증 또는 화장품 책임판매업 등록필증과 해당 서류를 첨부하여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은,
90

해설.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소재지 변경의 경우에는 90일 이내에 화장품 제조업 변경등록신청서 또는 화장품 책임판매업 변경등록 신청서에 화장품 제조업 등록필증 또는 화장품 책임판매업 등록필증과 해당 서류를 첨부하여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9번.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화장품을 쓰시오.

<보기>
유기농원료, 동식물 및 그 유래 원료 등을 함유한 화장품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기준에 맞는 화장품을 말한다.

정답은,
유기농화장품

해설.
유기농화장품이란 유기농원료, 동식물 및 그 유래 원료 등을 함유한 화장품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기준에 맞는 화장품을 말한다.





10번.
다음은 안전성 보고의 신속보고해야 할 내용이다. 며칠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보기>
가. 중대한 유해사례 또는 이와 관련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보고를 지시한 경우
나. 판매중지나 회수에 준하는 외국정부의 조치 또는 이와 관련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보고를 지시한 경우

정답은,
15일

해설.
화장품 책임판매업자의 안전성보고는 매 반기 종료 후 1개월 이내에 한다.
중대한 유해사례나 외국정부의 조치에 대한 안전성 정보와 같은 신속보고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15일 이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신속하게 보고해야 한다.





11번.
다음 중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

② 소듐라우릴설페이트

③ 소듐라우릴설포네이트

④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⑤ 트라이에탄올아민라우릴설페이트

정답은,
①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

해설.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한 종류인 실리콘 계열의 유화제로, 주로 물과 오일이 섞이지 않는 유화 제형(예: 크림, 로션)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정력이 우수하고 기포형성작용이 있어 세정제품에 주로 사용되며, 화장품 성분명에서 '~설페이트(~sulfate)'로 끝나는 성분들은 대부분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속한다.

※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
• 소듐라우릴설페이트
• 소듐라우릴설포네이트
• 소듐자일렌설포네이트
•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 트라이에탄올아민라우릴설페이트





12번.
계면활성제 중 자극이 가장 작은 것은?

① 비이온 계면활성제

② 양이온 계면활성제

③ 음이온 계면활성제

④ 양쪽성 계면활성제

⑤ 실리콘 계면활성제

정답은,
① 비이온 계면활성제

해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자극이 가장 작아서 기초화장품류에 주로 사용된다.

※ 계면활성제 중 자극이 큰 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 > 음이온 계면활성제 > 양쪽성 계면활성제 > 비이온 계면활성제





13번.
고급지방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고급지방산은 R-COOH 화학식을 가지는 물질이다.

② 고급지방산은 알킬기의 분자량이 큰 것으로 탄소수가 3개 이상인 것을 말한다.

③ 고급지방산은 유화제형에서 에멀젼 안정화로 주로 사용된다.

④ 고급지방산은 폼 클렌징에서는 가성소다 혹은 가성가리와 비누화반응을 하는 데 사용된다.

⑤ 탄소사이의 결합이 단일결합이면 포화, 이중결합이면 불포화라고 한다.

정답은,
2번

해설.
고급지방산은 알킬기의 분자량이 큰 것으로 탄소수가 6개 이상이다.





14번.
광물유래 왁스 중 갈탄이 출발물질이며 탄소수가 24~30개인 탄화수소 혼합물 및 고급알코올, 탄소수가 20~30개인 고급지방산 에스테르인 왁스는?

① 세레신

② 몬탄왁스

③ 파라핀왁스

④ 오조케라이트

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정답은,
② 몬탄왁스

해설.
※ 광물유래 왁스
• 오조케라이트 : 출발물질은 지납(광석)으로 탄소수 29~53개의 탄화수소 혼합물
• 세레신 : 출발물질은 오조케라이트로, 오조케라이트를 정제하여 얻은 탄소수 29개 이상의 탄화수소 혼합물
• 몬탄왁스 : 출발물질은 갈탄으로, 탄소수 24~30개의 탄화수소 혼합물, 탄소수 24~30개의 고급알코올, 탄소수 20~30개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15번.
화장품에 주요한 미생물 오염원 중 진균은?

① 대장균

② 녹농균

③ 황색포도상구균

④ 검정곰팡이

⑤ 칸디다 알비칸스

정답은,
④ 검정곰팡이

해설.
※ 화장품에 주요한 미생물 오염원
• 진균 : 검정곰팡이
• 세균 : 황색포도상구균(그람양성균), 대장균(그람음성균), 녹농균(그람음성균)
• 효모 : 칸디다 알비칸스





16번.
안료 중 출발물질이 광물성이 아닌 것은?

① 카올린

② 마이카

③ 세리사이트

④ 실리카

⑤ 징크옥사이드

정답은,
⑤ 징크옥사이드

해설.
※ 출발물질
• 징크옥사이드 : 합성과정으로 만들어지는 무기화합물
• 카올린 : 고령토라고 불리는 천연광물
• 마이카 : 운모라고 불리는 천연광물
• 세리사이트 : 견운모라고 불리는 천연광물
• 실리카 : 석영이나 모래 등에서 얻는 천연광물(이산화규소)





17번.
식품 등에서 향을 추출하는 방법 중 열에 불안정한 향을 추출할 때 사용되는 방법은?

① 냉각 압착법

② 수증기 증류법

③ 냉흡착법

④ 온흡착법

⑤ 용매추출법

정답은,
⑤ 용매추출법

해설.
냉각압착법은 열을 가하지 않고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여 오일을 짜내는 방식으로, 열에 의해 성분이 파괴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용매추출법은 휘발성 용제에 의해 향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열에 불안정한 향을 추출할 때 사용된다.





18번.
화장품 활성성분 중 미백에 효과가 있어 도파(DOPA)의 산화억제를 하는 비타민C 유도체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에칠아스코르빌에텔

②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③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④ 아스코르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⑤ 글리시리진산

정답은,
⑤ 글리시리진산

해설.
'아스코르빌'은 비타민C(아스코르브산)에 특정 분자를 결합시켜 안정성과 피부 흡수율을 높인 비타민C 유도체로, 피부에서 비타민C로 전환되어 멜라닌 생성 억제 등 미백 효능을 발휘한다.
글리시리진산은 감초 식물에서 추출되는 성분으로, 미백보다는 주로 소염(항염) 및 피부 진정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19번.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의 성분 및 함량에 속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레티놀 : 2,500IU/g

② 레티닐팔미테이트 : 10,000IU/g

③ 아데노신 : 0.04%

④ 나이아신아마이드 : 2~5%

⑤ 폴리에톡실레이트드레틴아마이드 : 0.05~0.2%

정답은,
4번

해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성분이며, 그 기준 함량은 2~5% 이하이다.





20번.
기초화장품 종류 중 영양크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세안 후 제거된 천연피지막의 회복

② 피부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③ 피부의 생리적 기능을 도와줌

④ 피부에 유분과 수분을 공급

⑤ 활성성분이 피부트러블을 개선, 고점도

정답은,
4번

해설.
피부에 유분과 수분을 공급하는 것은 유액(밀크로션)이다.





21번.
다음 착향제의 구성성분 중 알레르기 유발성분이 아닌 것은?

① 쿠마린

② 징크피리치온

③ 시트랄

④ 파네솔

⑤ 리모넨

정답은,
② 징크피리치온

해설.
징크피리치온은 향료가 아니라 비듬방지 및 항균효과가 있는 성분이다.

※ 착향제의 구성성분 중 알레르기 유발성분
• 쿠마린 : 계피 등에 포함된 성분
• 시트랄 : 레몬, 오렌지 등 시트러스 계열의 향을 내는 성분
• 파네솔 : 백합, 장미 등 여러 꽃 향을 내는 성분
• 리모넨 : 감귤류 껍질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성분





22번.
고압가스를 사용하는 에어로졸 제품 중 무스의 경우 주의사항으로 맞는 것은?

① 같은 부위에 연속해서 3초 이상 분사하지 말 것

② 가능하면 인체에서 20cm 이상 떨어져서 사용할 것

③ 눈 주위 또는 점막 등에 분사하지 말 것

④ 분사 가스는 직접 흡입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

⑤ 정답 없음

정답은,
⑤ 정답 없음

해설.
※ 고압가스를 사용하는 에어로졸 제품의 주의사항(단, 무스는 제외)
• 같은 부위에 연속해서 3초 이상 분사하지 말 것
• 가능하면 인체에서 20cm 이상 떨어져서 사용할 것
• 눈 주위 또는 점막 등에 분사하지 말 것
• 분사 가스는 직접 흡입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





23번.
화장품회수의무자가 회수계획서 작성 시 위해성등급이 '나'등급인 화장품의 경우 회수종료일은?

① 회수를 시작한 날부터 10일 이내

② 회수를 시작한 날부터 15일 이내

③ 회수를 시작한 날부터 30일 이내

④ 회수를 통보한 날부터 10일 이내

⑤ 회수를 통보한 날부터 15일 이내

정답은,
③ 회수를 시작한 날부터 30일 이내

해설.
※ 회수의무자가 회수계획서를 작성할 때 위해성 등급별 회수기간

• 위해성 등급이 가등급(중대한 건강상의 위해를 초래)인 화장품 : 회수를 시작한 날부터 15일 이내
• 위해성 등급이 나등급(일시적이거나 의학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건강상의 위해) 또는 다등급(표기사항 오류나 경미한 품질 부적합)인 화장품 : 회수를 시작한 날부터 30일 이내





24번.
화장품법상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보관 또는 진열하지 말아야 하는 화장품이 아닌 것은?

① 등록하지 않은 자가 제조한 화장품

② 등록하지 않은 자가 제조 · 수입하여 유통 · 판매한 화장품

③ 등록하지 않은 자가 판매한 맞춤형화장품

④ 맞춤형 조제관리사를 두지 아니하고 판매한 맞춤형화장품

⑤ 판매의 목적이 아닌 제품의 홍보 · 판매촉진 등을 위하여 미리 소비자가 시험 · 사용하도록 제조 또는 수입된 화장품(소비자에게 판매하는 화장품에 한함)

정답은,
3번

해설.
신고하지 않은 자가 판매한 맞춤형화장품





25번.
착향제 성분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 기재 관련 세부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알레르기 유발성분의 표시기준(0.01% 또는 0.001%)의 산출방법은 해당 알레르기 유발성분이 제품의 내용량에서 차지하는 함량의 비율로 계산한다.

② 알레르기 유발성분 표시 기준인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 및 '사용 후 씻어내지 않는 제품'의 구분에서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은 피부, 모발 등에 적용 후 씻어내는 과정이 필요한 제품을 말한다.

③ 알레르기 유발성분 함량에 따른 표시방법이나 순서를 별도로 정하고 있다.

④ 알레르기 유발성분임을 별도로 표시하거나 '사용 시의 주의사항'에 기재한다.

⑤ 식품의 꽃 · 잎 · 줄기 등에서 추출한 에센셜오일이나 추출물이 착향의 목적으로 사용되었거나 또는 해당 성분이 착향제의 특성이 있는 경우에는 알레르기 유발성분을 표시 · 기재하여야 한다.

정답은,
3번

해설.
알레르기 유발성분 함량에 따른 표시방법이나 순서를 별도로 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전성분 표시방법에 적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26번.
무기안료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무기안료는 광물성 안료라고 하며, 주로 천연에서 생산되는 광물을 분쇄하여 안료로 사용해 왔다.

② 무기안료는 석탄의 콜타르에 함유된 벤젠, 톨루엔, 나프탈렌, 안트레센 등 여러 종류의 방향족 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합성한 색소이다.

③ 무기안료는 색상의 화려함이나 선명도가 유기안료에 비해 떨어진다.

④ 무기안료는 열에 강하고 유기 용매에 녹지 않으므로 화장품용 색소로 널리 사용된다.

⑤ 무기안료는 체질안료, 착색안료, 백색안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은,
2번

해설.
유기안료는 석탄의 콜타르에 함유된 벤젠, 톨루엔, 나프탈렌, 안트레센 등 여러 종류의 방향족 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합성한 색소이다.





27번.
왁스류 중에서 양의 털을 가공할 때 나오는 지방을 정제하여 얻으며, 피부에 대한 친화성과 부착성, 포수성이 우수하여 크림이나 립스틱 등에 널리 사용되는 유성원료는?

① 비즈왁스

② 라놀린

③ 호호바오일

④ 사이클로메티콘

⑤ 다이메틸폴리실록산

정답은,
② 라놀린

해설.
라놀린은 양의 털에서 분비되는 지방을 정제하여 얻는 유성 원료로, 인간의 피지와 유사한 성분 구조를 가지고 있어 피부에 대한 친화성과 부착성이 매우 우수하며, 자신의 무게보다 훨씬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뛰어난 포수성을 가진다.





28번.
다음 중 위해평가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위해요소에 노출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독성의 정도와 영향의 종류 등을 파악한다.

② 위해요소 및 이를 함유한 화장품의 사용에 따른 건강상 영향, 인체 노출허용량 또는 수준 및 화장품 이외의 환경 등에 의하여 노출되는 위해요소의 양을 고려하여 사람에게 미칠 수 있는 위해의 정도와 발생빈도 등을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예측한다.

③ 화장품의 사용을 통하여 노출되는 위해요소의 양 또는 수준을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산출한다.

④ 위험성 결정에 제한이 있거나 신속한 위해평가가 요구될 경우 위험성 확인과 노출평가만으로 위해도를 예측할 수 있다.

⑤ 동물실험 결과, 동물대체 실험결과 등의 불확실성 등을 보정하여 인체 노출 허용량을 결정한다.

정답은,
4번

해설.
위험성 결정에 제한이 있거나 신속한 위해평가가 요구될 경우 화장품의 위해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29번.
다음 중 회수의무자가 회수를 시작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회수하여야 하는 것은?

① 안전용기 · 포장 등에 위반되는 화장품

②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를 사용한 화장품

③ 전부 또는 일부가 변패된 화장품

④ 발암성 미생물에 오염된 화장품

⑤ 이물이 혼입되었거나 부착된 화장품 중에서 보건위생상 위해를 발생할 우려가 있는 화장품

정답은,
2번

해설.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를 사용한 화장품은 가등급이므로 15일 이내에 회수하여야 한다.





30번.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상 보관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특수한 보관조건은 적절하게 준수,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② 원료와 포장재의 용기는 밀폐되어, 청소와 검사가 용이하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바닥과 떨어진 곳에 보관되어야 한다.

③ 원료와 포장재가 재포장될 경우, 원래의 용기와 동일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④ 재고의 회전을 보증하기 위한 방법이 확립되어야 하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후입선출법에 따른다.

⑤ 원료 및 포장재의 관리는 허가되지 않거나 불합격 판정을 받거나, 아니면 의심스러운 물질의 허가되지 않은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은,
4번

해설.
재고의 회전을 보증하기 위한 방법이 확립되어야 하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선입선출법에 따른다.





31번.
다음 <보기>는 화장품의 효능효과에 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보기>
(   ) 효과는 각질층에 형광물질을 염색시킨 후 형광물질이 소멸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며, 성분으로는 하이알루론산, 젖산 등이 있다.

정답은,
세포재생

해설.
• 세포재생 효과는 각질층에 형광물질을 염색시킨 후 형광물질이 소멸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며, 성분으로는 하이알루론산, 젖산 등이 있다.
• 세포증식 효과는 인체의 피부로부터 얻은 섬유아세포를 일정시간 배양한 후 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평가하며, 성분으로는 아데노신 등이 있다.





32번.
(   )은 화장품에서 강력한 항산화작용과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미백제품 등에 널리 사용되는 비타민이다. 
(   ) 안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정답은,
비타민C

해설.
비타민C는 수용성비타민으로 화장품에서 강력한 항산화작용과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미백제품 등에 널리 사용된다.





33번.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상 규정된 보관조건 내에서 제품의 경시적 변화를 계획된 시기와 방법에 따라 측정하는 시험은?

정답은,
경시변화시험

해설.
경시변화시험이란 규정된 보관조건 내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품의 품질, 안정성, 기능성 등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시험을 말한다.





34번.
다음 <보기>는 위해성 등급 해당 화장품의 회수의무자의 회수계획 통보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는?

<보기>
회수의무자는 회수대상화장품의 판매자, 그밖에 해당 화장품을 업무상 취급하는 자에게 방문, 우편, 전화, 전보, 전자우편, 팩스 또는 언론매체를 통한 공고 등을 통하여 회수계획을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회수 종료일로부터 (   )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정답은,
2

해설.
통보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회수 종료일로부터 2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35번.
다음 <보기>는 화장품의 성분정보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보기>
전성분표시에 사용되는 화장품 원료명칭은 대한화장품협회 성분사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규화장품 원료에 대한 전성분명(원료명칭)은 대한화장품협회 성분명표준화위원회에서 (   )를 통해 정하고 있다.

정답은,
심의

해설.
신규화장품 원료에 대한 전성분명(원료명칭)은 대한화장품협회 성분명표준화위원회에서 심의를 통해 정하고 있다.





36번.
화장품 작업실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제조하는 화장품의 종류 · 제형에 따라 적절히 구획 · 구분되어 있어 교차오염 우려가 없을 것

② 바닥, 벽, 천장은 가능한 청소하기 쉽게 낮게 설치하거나 좁게할 것

③ 환기가 잘되고 청결할 것

④ 외부와 연결된 창문은 가능한 열리지 않도록 할 것

⑤ 작업실 내의 외관 표면은 가능한 매끄럽게 설계할 것

정답은,
2번

해설.
화장품 작업실의 바닥, 벽, 천장은 가능한 청소하기 쉽게 매끄러운 표면을 지녀야 한다.





37번.
소독제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① 에탄올 30%

②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30%

③ 에탄올 50%

④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50%

⑤ 에탄올 70%

정답은,
⑤ 에탄올 70%

해설.
소독제는 주로 에탄올 70%,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70%가 사용된다.





38번.
화장품 작업장 내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위생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직원은 작업 중의 위생관리상 문제가 되지 않도록 청정도에 맞는 적절한 작업복, 모자와 신발을 착용하고 필요할 경우는 마스크, 장갑을 착용한다.

② 적절한 위생관리 기준 및 절차를 마련하고 제조소 내의 모든 직원이 위생관리기준 및 절차를 준수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해야 한다.

③ 제조구역별 접근권한이 없는 작업원 및 방문객은 가급적 제조, 관리 및 보관구역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불가피한 경우 사전에 직원 위생에 대한 교육 및 복장규정에 따르도록 하고 감독하여야 한다.

④ 피부에 외상이 있거나 질병에 걸린 직원은 건강이 양호해지거나 화장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의사의 소견이 있기 전까지는 화장품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격리되어야 한다.

⑤ 작업소 및 보관소 내의 모든 직원은 화장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규정된 작업복을 착용해야 하며, 작업복은 미관상 문제로 검정색의 면재질이 좋다.

정답은,
5번

해설.
작업소 및 보관소 내의 모든 직원은 화장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규정된 작업복을 착용해야 하며, 작업복은 오염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밝은색의 폴리에스터 재질이 권장된다.





39번.
작업장 출입을 위해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화장실을 이용한 작업자는 손 세척 또는 손 소독을 실시하고 작업실에 입실한다.

② 메이크업을 한 작업자는 화장품을 지운 후에 입실한다.

③ 작업 전 지정된 장소에서 손 소독을 실시하고 작업에 임한다.

④ 개인 사물은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고, 작업실 내로 가지고 들어오지 않는다.

⑤ 운동 등에 의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장 진입 전 샤워시설비가 비치된 장소에서 샤워 및 건조 후 입실한다.

정답은,
2번

해설.
마스카라나 아이라이너, 아이섀도, 볼터치, 립스틱 등 포인트메이크업을 한 작업자는 화장품을 지운 후에 입실한다.
기초화장의 경우는 무관하다.





40번.
밀폐된 진공상태의 유화탱크에 용해탱크원료가 자동 주입된 후 교반속도, 온도조절, 시간조절, 탈포, 냉각 등이 컨트롤패널로 자동조작이 가능한 장치는?

① 호모믹서

② 진공유화기

③ 초음파유화기

④ 고압 호모게나이저

⑤ 콜로이드밀

정답은,
② 진공유화기

해설.
진공유화기는 밀폐된 진공상태의 유화탱크에 용해탱크원료가 자동 주입된 후 교반속도, 온도조절, 시간조절, 탈포, 냉각 등이 컨트롤패널로 자동조작이 가능한 장치로, 호모믹서와 패들믹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장치이다.





41번.
화장품 제조설비 중 분쇄기의 하나로, 건식형태로 가장 작은 입자를 얻을 수 있는 장치는?

① 제트밀

② 비드밀

③ 콜로이드밀

④ 헨셀믹서

⑤ 아토마이저

정답은,
① 제트밀

해설.
제트밀은 고압의 압축공기나 증기를 분사하여 입자들끼리 서로 충돌하게 만들어 매우 미세한 입자(마이크로미터)를 얻는 분쇄기이다.
액체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분쇄방식이므로, 건식으로 미세 분말을 얻는 데 가장 효과적이다.





42번.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상 입고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제조업자는 원자재 공급자에 대한 관리감독을 적절히 수행하여 입고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② 원자재 용기에 제조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③ 원자재 입고절차 중 육안확인 시 물품에 결함이 있을 경우 입고를 보류하고 격리보관 및 폐기하거나 원자재 공급업자에게 반송하여야 한다.

④ 입고된 원자재는 '적합', '부적합', '검사 중' 등으로 상태를 표시하여야 한다.

⑤ 원자재의 입고 시 구매요구서, 원자재 공급업체 성적서 및 현품이 서로 일치하여야 한다.

정답은,
2번

해설.
원자재 용기에 제조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관리번호를 부여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43번.
검체의 보관과 관련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재시험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양의 검체를 각각의 원료에 적합한 보관조건에 따라 물질의 특성 및 독성에 맞도록 보관한다.

② 검체는 열기, 추위, 햇빛 또는 습기에 노출되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수한 보관조건을 요하는 검체의 경우 적절하게 준수하고 모니터링한다.

③ 용기는 검체 활용이 용이하도록 임시로 막아 보관한다.

④ 원료가 재포장될 경우 원래의 용기와 동일하게 표시한다.

⑤ 보관기간을 설정하여야 한다.

정답은,
3번

해설.
용기는 밀폐하고, 청소와 검사가 용이하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바닥과 떨어진 곳에 보관한다.





44번.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상의 공정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모든 벌크제품의 허용 보관기한을 확립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보관기한의 만료일이 가까운 벌크제품부터 사용하도록 문서화된 절차가 있어야 한다.

③ 벌크제품은 완제품이나 포장재와 달리 변질 또는 변형성이 큰 것으로부터 사용한다.

④ 충전 공정 후 벌크가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고 차후 다시 사용할 것이라면 적절한 용기에 밀봉하여 식별정보를 표시해야 한다.

⑤ 벌크제품의 최대 보관기한이 가까워진 벌크제품은 완제품 제조하기 전에 품질이상, 변질여부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정답은,
3번

해설.
모든 벌크제품은 허용 가능한 보관기한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고, 보관기한의 만료일이 가까운 벌크제품부터 사용하도록 문서화된 절차가 있어야 한다.





45번.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비의도적으로 유래된 물질의 검출허용한도에 대한 성분과 허용한도 기준의 연결이 옳지 못한 것은?

① 메탄올 : 물휴지의 경우 0.2%(v/v) 이하

② 포름알데하이드 : 물휴지의 경우 20㎍/g 이하

③ 납 : 점토를 원료로 사용한 분말제품의 경우 50㎍/g 이하

④ 니켈 : 눈 화장용 제품의 경우 35㎍/g 이하

⑤ 수은 : 1㎍/g 이하

정답은,
1번

해설.
• 메탄올 : 0.2%(v/v) 이하, 단 물휴지의 경우 0.002%(v/v) 이하





46번.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정확한 pH 기준은?

① 1.0~5.0

② 1.0~6.0

③ 2.0~8.0

④ 3.0~9.0

⑤ 6.0~12.0

정답은,
④ 3.0~9.0

해설.
액, 로션, 크림 및 이와 유사한 제형의 액상제품의 pH 기준은 3.0~9.0 이어야 한다.





47번.
다음 <보기>는 설비 · 기구의 구성재질 관련 내용이다. 
탱크와 관련된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다른 물질이 스며들어서는 안됨
나. 세제 및 소독제와 반응해서는 안됨
다. 젖은 부분 및 탱크와의 공존이 가능한지를 확인
라. 윤활제가 새서 제품을 오염시키지 않는지 확인

① 가, 나

② 가, 다

③ 가, 라

④ 나, 다

⑤ 나, 라

정답은,
① 가, 나

해설.
젖은 부분 및 탱크와의 공존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것과 윤활제가 새서 제품을 오염시키지 않는지 확인하는 것은 혼합 및 교반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48번.
다음 <보기>는 단백질 응고 또는 변경에 의한 세포기능 장해 세정제의 종류이다. 
이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알코올
나. 알데하이드
다. 페놀
라. 클로르헥시딘
마. 옥시사이안화수소

① 가, 나, 다

② 가, 나, 라

③ 가, 다, 라

④ 가, 나, 마

⑤ 가, 다, 마

정답은,
① 가, 나, 다

해설.
※ 단백질 응고 또는 변경에 의한 세포기능 장해를 일으키는 세정제
• 알코올
• 알데하이드
• 페놀
• 아이소프로판올
• 포르말린





49번.
제조된 벌크제품의 재보관 시 유의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원래 보관되었던 환경에서 보관한다.

② 다음 제조 시에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③ 변질되기 쉬운 벌크는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④ 여러 번 재보관하는 벌크는 조금씩 나누어 보관한다.

⑤ 기존처럼 완전히 밀폐하여 보관한다.

정답은,
3번

해설.
변질되기 쉬운 벌크는 재사용하지 않는다.





50번.
작업장별 위생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물청소 후에는 물기를 자연 건조시키는 것이 오염원 방지를 위해 우수한 방법이다.

② 각 작업장별로 육안으로 청소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즉시 개선 조치한다.

③ 칭량실은 월 1회 바닥, 벽, 문, 원료통, 저울, 작업대 등을 진공청소기, 걸레 등으로 청소한다.

④ 세균오염 또는 세균수 관리의 필요성이 있는 작업실을 정기적인 낙하균 시험을 수행하여 확인한다.

⑤ 작업장 및 보관소별 관리담당자는 오염발생 시 원인분석 후 이에 적정한 시설 또는 설비의 보수, 교체나 작업방법의 개선조치를 취하고 재발을 방지한다.

정답은,
1번

해설.
물청소 후에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오염원을 제거해야 한다.
자연건조 방법은 물기있는 상태가 오래될 수 있어 오염될 소지가 많다.





51번.
일상의 취급 또는 보통의 보존상태에서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할 염려가 없는 용기는?

① 밀폐용기

② 기밀용기

③ 밀봉용기

④ 차광용기

⑤ 안전용기

정답은,
③ 밀봉용기

해설.
• 밀폐용기 : 일상의 취급 또는 보통 보존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고형의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고형의 내용물이 손실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용기를 말한다. 밀폐용기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밀용기도 쓸 수 있다.
• 기밀용기 : 일상의 취급 또는 보통 보존상태에서 액상 또는 고형의 이물 또는 수분이 침입하지 않고 내용물을 손실, 풍화, 조해 또는 증발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용기이다. 기밀용기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밀봉용기도 쓸 수 있다.
• 밀봉용기 : 일상의 취급 또는 보통의 보존상태에서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할 염려가 없는 용기이다.
• 차광용기 : 보통 의약품의 취급, 운반 또는 보존상태에서 내용의약품에 규정된 성상 및 품질에 대하여 영향을 주는 빛의 투과를 방지하여 내용의약품 등을 빛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다만, 일회용 제제인 경우 개개의 직접 용기에 투과를 방지하는 포장을 한 것은 차광에 포함한다.
• 안전용기 : 주로 어린이의 오용을 방지하기 위해 쉽게 열 수 없도록 특수 설계된 용기이다.





52번.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일반화장품에 대해서 비의도적 유래물질 검출허용한도 시험방법으로 그 종류와 시험방법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포름알데하이드 - 기체크로마토그래프법의 절대검량선법

② 메탄올 - 푹신아황산법

③ 납 -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기를 이용하는 방법(ICP)

④ 수은 - 수은분석기를 이용한 방법

⑤ 디옥산 - 기체크로마토그래프법의 절대검량선법

정답은,
1번

해설.
• 포름알데하이드 -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의 절대검량선법





53번.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상 공정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제조공정 단계별로 적절한 관리기준이 규정되어야 하며, 그에 미치지 못한 모든 결과는 보고되고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② 벌크제품은 품질이 변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용기에 넣어 지정된 장소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③ 모든 벌크제품을 보관 시에는 적합한 용기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용기는 내용물의 변질을 막기 위하여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한다.

④ 벌크제품의 최대 보관기한은 설정하여야 하며, 최대 보관기한이 가까워진 벌크제품은 완제품을 제조하기 전에 품질이상, 변질여부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⑤ 용기에 명칭 또는 확인코드, 제조번호, 완료된 공정명, 필요한 경우에는 보관조건 등을 표시해야 한다.

정답은,
3번

해설.
모든 벌크제품을 보관 시에는 적합한 용기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용기는 내용물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야 한다.





54번.
시험검체의 채취 시 시험용 검체의 용기에 표시하여야 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명칭 또는 확인코드

② 식별번호 또는 관리번호

③ 검체 채취일자

④ 원료 제조번호

⑤ 원료 보관조건

정답은,
2번

해설.
※ 시험용 검체의 용기에 표시하여야 하는 사항
• 명칭 또는 확인코드
• 제조번호
• 검체 채취일자
• 원료 제조번호
• 원료 보관조건





55번.
일반적으로 제조, 충진에 사용되는 교반기, 호모믹서, 혼합기, 디스퍼, 충진기 등의 재질은?

① 알루미늄

② 동 또는 구리

③ 스테인레스 스틸

④ 고탄성 재질

⑤ 플라스틱

정답은,
③ 스테인레스 스틸

해설.
제조, 충진에 사용되는 교반기, 호모믹서, 혼합기, 디스퍼, 충진기 등은 스테인레스 스틸 #304 또는 #316 재질을 사용한다.





56번.
화장품 작업장의 건물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건물을 제품이 보호되도록 위치, 설계, 건축 및 이용되어야 한다.

② 건물을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여야 한다.

③ 건물은 반드시 위생관리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④ 제품, 원료 및 자재 등의 혼동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⑤ 건물은 제품의 제형, 현재상황 및 청소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은,
3번

해설.
건물은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위생관리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57번.
화장품 작업장의 제조 및 품질관리에 필요한 설비기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용 목적에 적합하고, 청소가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위생 · 유지관리가 가능하여야 한다.

② 사용하지 않는 연결호스와 부속품은 청소 등 위생관리를 하며, 다습한 상태로 유지하고 먼지 · 얼룩 또는 다른 오염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한다.

③ 설비 등은 제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배수가 용이하도록 설계 · 설치하며, 제품 및 청소 소독제와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④ 설비 등의 위치는 원자재나 직원의 이동으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⑤ 제품과 설비가 오염되지 않도록 배관 및 배수관을 설치하며, 배수관은 역류되지 않아야 하고 청결을 유지하여야 한다.

정답은,
2번

해설.
사용하지 않는 연결호스와 부속품은 청소 등 위생관리를 하며,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고 먼지 · 얼룩 또는 다른 오염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한다.





58번.
내용물 및 원료의 입고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판매업자는 원자재 공급자에 대한 관리감독을 적절히 수행하여 입고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② 원자재의 입고 시 구매요구서, 원자재 공급업체 성적서 및 현품이 서로 일치하여야 한다. 필요한 경우 운송관련 자료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③ 원자재 용기에 제조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따로 보관하여야 한다.

④ 원자재 입고절차 중 육안 확인 시 물품에 결함이 있는 경우 반드시 입고한 후 공급업자에게 반송하여야 한다.

⑤ 입고된 모든 원자재는 적합, 부적합 등으로 반드시 상태를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은,
2번

해설.
옳은 설명
• 제조업자는 원자재 공급자에 대한 관리감독을 적절히 수행하여 입고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 원자재 용기에 제조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관리번호를 부여하여 보관해야 한다.
• 원자재 입고절차 중 육안 확인 시 물품에 결함이 있는 경우 입고를 보류하고 격리보관 및 폐기하거나 원자재 공급업자에게 반송하여야 한다.
• 입고된 원자재는 '적합', '부적합', '검사 중' 등으로 상태를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동일 수준의 보증이 가능한 다른 시스템이 있다면 대체할 수 있다.





59번.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의 마개, 펌프, 패킹 등의 밀폐성을 시험하는 화장품 용기 시험방법은?

① 내용물 감량 시험방법

② 감압누설 시험방법

③ 낙하 시험방법

④ 접착력 시험방법

⑤ 크로스컷트 시험방법

정답은,
② 감압누설 시험방법

해설.
감압누설 시험방법은 밀폐된 용기를 진공 챔버에 넣고 내부 압력을 낮추었을 때, 용기의 밀폐성이 불량하면 압력 차이로 인해 내용물이 새거나 마개 등에서 공기방울이 발생하여 누설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용기의 밀폐성을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가장 효과적인 시험방법이다.





60번.
공정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벌크제품은 품질이 변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용기에 넣어 지정된 장소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② 벌크제품의 최대보관기한을 설정하여야 하며, 최대 보관기한이 가까워진 벌크제품은 완제품 제조하기 전에 품질이상, 변질여부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③ 모든 벌크제품을 보관 시에는 적합한 용기를 사용해야 하며, 용기는 내용물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어야 한다.

④ 모든 벌크제품은 허용 가능한 보관기한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보관기한의 만료일이 가까운 벌크제품부터 사용하도록 문서화된 절차가 있어야 한다.

⑤ 벌크제품은 후입선출되어야 하며, 충전 공정 후 벌크가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고 차후에 다시 사용할 것이라면, 적절한 용기에 밀봉하여 식별정보를 표시해야 한다.

정답은,
5번

해설.
벌크제품은 선입선출 되어야 한다.





61번.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자의 준수사항으로 혼합 · 소분 시 오염방지를 위한 안전관리기준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혼합 · 소분 전에는 손을 소독 또는 세정할 것

② 혼합 · 소분 전에 일회용 장갑을 착용할 것

③ 혼합 · 소분 전에 사용되는 장비 또는 기기 등은 사용 전 · 후 세척할 것

④ 혼합 · 소분된 제품을 담을 용기의 오염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것

⑤ 혼합 · 소분에 사용되는 원료에 대해 독성성분 포함여부를 시험할 것

정답은,
5번

해설.
※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자의 혼합 · 소분 시 오염방지를 위한 안전관리기준
• 혼합 · 소분 전에는 손을 소독 또는 세정하거나 일회용 장갑을 착용할 것
• 혼합 · 소분 전에 사용되는 장비 또는 기기 등은 사용 전 · 후 세척할 것
• 혼합 · 소분된 제품을 담을 용기의 오염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것





62번.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자의 변경사유 발생 시 변경신고의 처리기간은?

① 즉시

② 3일

③ 5일

④ 7일

⑤ 10일

정답은,
⑤ 10일

해설.
•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자의 변경신고의 처리기간 : 10일
•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의 변경신고의 처리기간 : 7일





63번.
표피와 진피를 연결하여 표피가 진피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① DEJ

② HLB

③ PCA

④ MED

⑤ NMF(천연보습인자)

정답은,
① DEJ

해설.
DEJ(Dermal-Epidermal Junction)는 표피의 기저층과 진피의 유두층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며, 콜라겐 섬유와 같은 다양한 단백질 성분으로 이루어져 표피와 진피를 강력하게 결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64번.
다음 <보기>는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당한 것은?

<보기>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을 하려는 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   ) 하여야 한다.

① 신고

② 등록

③ 인가신청

④ 허가신청

⑤ 통보

정답은,
① 신고

해설.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을 하려는 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65번.
피부의 감각기능에 있어서 피부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감각은?

① 촉각

② 압각

③ 통각

④ 온각

⑤ 냉각

정답은,
③ 통각

해설.
통각은 피부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촉각은 손가락, 입술, 혀 끝 등이 예민하고, 발바닥은 가장 둔하다. 





66번.
다음 <보기> 중 표피층의 하나인 유극층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표피에서 가장 두꺼운 층으로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나.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랑게르한스세포가 존재한다.
다.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표피에 영양을 공급한다.
라. 림프액이 흘러 혈액순환 및 물질교환이 이루어진다.

① 가, 나, 다

② 가, 나, 라

③ 가, 다, 라

④ 나, 다, 라

⑤ 가, 나, 다, 라

정답은,
⑤ 가, 나, 다, 라

해설.
※ 유극층의 특징
• 표피에서 가장 두꺼운 층으로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랑게르한스세포가 존재한다.
•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표피에 영양을 공급한다.
• 림프액이 흘러 혈액순환 및 물질교환이 이루어진다.





67번.
진피 중 모세혈관이 분포하여 표피에 영양을 공급하며, 기저층의 세포분열을 돕는 층은?

① 투명층

② 유두층

③ 망상층

④ 과립층

⑤ 유극층

정답은,
② 유두층

해설.
유두층은 진피의 가장 윗부분에 위치하고, 모세혈관이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다.
이 유두층의 모세혈관망은 혈액 순환을 통해 혈관이 없는 표피의 기저층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을 회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두층의 영양공급 기능은 기저층 세포들이 활발하게 세포분열을 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68번.
다음 <보기> 중 대한선의 특징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모공과 연결되어 있음
나. 정신적 스트레스에 반응함
다. 구성성분은 99%가 수분임
라. 특정부위에 존재함(겨드랑이, 배꼽주위, 유두주위, 성기주위, 귀 주위 등)

① 가, 나, 다

② 가, 나, 라

③ 가, 다, 라

④ 나, 다, 라

⑤ 가, 나, 다, 라

정답은,
⑤ 가, 나, 다, 라

해설.
대한선은 소한선보다 크며, 피하지방 가까이에 위치해 있다.
pH 5.5~6.5로 단백질 함유가 많고 특유의 독특한 체취(암내, 액취증)를 발생시킨다.
사춘기 이후에 주로 발달하며, 특히 젊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성 · 인종을 결정짓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흑인이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다. 





69번.
다음 중 소한선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공포 · 고통과 같은 감정에 의해 분비된다.

② 진피하부나 피하지방 경계부위에 위치한다.

③ 2~3백만개의 땀샘이 존재한다.

④ 몸 전체에 분비한다. 다만, 입술, 생식기는 제외된다.

⑤ 손바닥과 발바닥, 이마 부위에 풍부하게 존재하며 냄새가 거의 없다.

정답은,
1번

해설.
대한선이 감정적 스트레스나 흥분에 의해 분비된다.





70번.
모발의 구조에서 모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피부 내부에 있는 부분이다.

② 모낭과 모구로 구성된다.

③ 모세포와 멜라닌 세포가 존재한다.

④ 모낭은 모근의 아래쪽 둥근 모양이다.

⑤ 모유두는 모구의 중심부에 모발의 영양을 관장하는 혈관이나 신경이 분포한다.

정답은,
4번

해설.
모낭은 모근을 싸고 있는 조직으로 피지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모구는 모근의 아래쪽에 둥근 모양이다.





71번.
화장품에서 탈모방지 기능성 화장품의 주성분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덱스판테놀

② 비오틴

③ 라놀린

④ 엘-멘톨

⑤ 징크피리치온

정답은,
③ 라놀린

해설.
라놀린(Lanolin)은 양털에서 얻는 유지 성분으로, 주로 보습 및 유화제로 사용된다.





72번.
각질층이 얇고 작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피부유형은?

① 지성 피부

② 민감성 피부

③ 건성 피부

④ 복합성 피부

⑤ 중성 피부

정답은,
② 민감성 피부

해설.
민감성 피부는 각질층이 얇고 홍조가 나타나며, 작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피부유형이다.





73번.
화장품 중 기초제품인 크림의 핵심 품질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① 탁도

② 변취

③ 분리(성상)

④ 표면굳음

⑤ 점도변화

정답은,
① 탁도

해설.
• 크림의 핵심 품질요소 : 변취, 분리(성상), 표면굳음, 점(경)도 변화
• 로션, 에센스의 핵심 품질요소 : 변취, 분리(성상), 점(경)도 변화
• 스킨의 핵심 품질요소 : 탁도, 변취





74번.
기능성 화장품 중 의약외품에서 기능성 화장품으로 전환된 품목이 아닌 것은?

① 탈모 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다만, 코팅 등 물리적으로 모발을 굵게 보이게 하는 제품은 제외한다.

② 여드름성 피부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 다만, 인체세정용 제품류로 한정한다.

③ 아토피성 피부로 인한 건조함 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

④ 튼살로 인한 붉은 선을 엷게 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

⑤ 피부에 탄력을 주어 피부의 주름을 완화 또는 개선하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정답은,
5번

해설.
피부의 주름을 완화 또는 개선하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은 2001년 화장품법 제정 당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범주에 포함되었던 품목이다.

※ 2017년 화장품법 개정(2018년 시행)에 따라, 기존의 의약외품으로 관리되던 아래의 품목들이 기능성 화장품으로 전환되었다.
• 탈모 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다만, 코팅 등 물리적으로 모발을 굵게 보이게 하는 제품은 제외한다.
• 여드름성 피부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 다만, 인체세정용 제품류로 한정한다.
• 아토피성 피부로 인한 건조함 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
• 튼살로 인한 붉은 선을 엷게 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





75번.
화장품 제조에 사용된 성분의 기재 · 표시에서 호수별로 착색제가 다르게 사용된 경우 '± 또는 +/-'의 표시 다음에 사용된 모든 착색제 성분을 함께 기재 · 표시할 수 있는 제품류가 아닌 것은?

① 색조화장품 제품류

② 눈 화장용 제품류

③ 두발염색용 제품류

④ 기초화장품 제품류

⑤ 손발톱용 제품류

정답은,
④ 기초화장품 제품류

해설.
색조화장품 제품류, 눈 화장용 제품류, 두발염색용 제품류 또는 손발톱용 제품류에서 호수별로 착색제가 다르게 사용된 경우 '± 또는 +/-'의 표시 다음에 사용된 모든 착색제 성분을 함께 기재 · 표시할 수 있다.





76번.
제형의 종류 중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아주 작은 물질을 가용화제(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용해도 이상으로 녹게 하는 것을 이용한 제형은?

① 유화제형

② 가용화 제형

③ 유화분산 제형

④ 고형화 제형

⑤ 파우더혼합 제형

정답은,
② 가용화 제형

해설.
가용화 제형이란,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아주 작은 물질을 가용화제(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용해도 이상으로 녹게 하는 것을 이용한 제형으로, 스킨로션, 토너, 미스트, 아스트린젠트, 향수 등이 해당된다.





77번.
다음 중 유용성 보존제가 아닌 것은?

① 프로필파라벤

② 부틸파라벤

③ 페녹시에탄올

④ 벤질알코올

⑤ 메틸파라벤

정답은,
⑤ 메틸파라벤

해설.
• 유용성 보존제 :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벤질알코올
• 수용성 보존제 : 메틸파라벤, 소듐벤조에이트, 클로페네신, 포타슘소르베이트





78번.
화장품 용기의 고분자 소재 중 폴리스티렌(PS)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딱딱하고 투명하다.

② 성형 가공성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③ 내약품성 · 내충격성이 나쁘다.

④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⑤ 팩트, 스틱 용기에 이용된다.

정답은,
2번

해설.
폴리스티렌(PS)은 성형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고, 치수 안정성(원래의 형태와 크기인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성질)이 우수하다.





79번.
혼합 · 소분 시 오염방지를 위한 안전관리기준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혼합 · 소분 전에는 손을 소독 또는 세정하거나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② 혼합 · 소분에 사용되는 장비 또는 기기 등은 사용 전 · 후 세척한다.

③ 혼합 · 소분된 제품을 담을 용기의 오염여부를 사전에 확인 후 항상 소독하여 사용한다.

④ 원료 및 내용물이 변성되거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⑤ 사용금지 또는 사용제한성분 여부를 체크한다.

정답은,
5번

해설.
사용금지 또는 사용제한성분 여부를 체크하는 것은 혼합 · 소분 시에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단계에서 해야되는 사항이다.





80번.
화장품 제조에 사용된 성분의 기재 · 표시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화장비누의 경우에는 수분을 포함한 중량과 건조중량을 기재 · 표시하여야 한다.

② 제조번호는 사용기한과 쉽게 구별되도록 기재 · 표시해야 한다.

③ 개봉 후 사용기간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병행표기해야 하는 제조연월일도 각각 구별이 가능하도록 기재 · 표시하여야 한다.

④ 사용기한은 '사용기한' 또는 '까지' 등의 문자와 '연월일'을 소비자가 알기 쉽도록 기재 · 표시하여야 한다. 단순히 '연월'로 표시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개봉 후 사용기간은 '개봉 후 사용기간'이라는 문자와 '○○월' 또는 '○○개월'을 조합하여 기재 · 표시하거나, 개봉 후 사용기간을 나타내는 심벌과 기간을 기재 · 표시할 수 있다.

정답은,
4번

해설.
사용기한은 '사용기한' 또는 '까지' 등의 문자와 '연월일'을 소비자가 알기 쉽도록 기재 ·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연월'로 표시하는 경우 사용기한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기재 · 표시하여야 한다.





81번.
피부는 흡수기능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피부의 수분량이 많을 때 흡수율이 높다.

② 피부의 온도가 높을 때 흡수율이 높다.

③ 혈액순환이 빠를 때 흡수율이 높다.

④ 유효성분의 입자가 작을 때 흡수율이 높다.

⑤ 유효성분이 수용성일 때 흡수율이 높다.

정답은,
5번

해설.
※ 피부 흡수율이 높은 경우
• 피부의 수분량이 많을 때
• 피부의 온도가 높을 때
• 혈액순환이 빠를 때
• 유효성분의 입자가 작을 때
• 유효성분이 지용성일 때





82번.
자외선차단제와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자외선차단지수(SPF)는 UVB를 차단하는 제품의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자외선차단제품을 도포하지 않고 얻은 최소홍반량을 자외선차단제품을 도포하여 얻은 최소홍반량으로 나눈 값이다.

② 최소홍반량이란 UVB를 사람의 피부에 조사한 후 16~24시간의 범위 내에, 조사영역의 전 영역에 홍반을 나타낼 수 있는 최소한의 자외선 조사량을 말한다.

③ 최소지속형 즉시흑화량은 UVA를 사람의 피부에 조사한 후 2~24시간의 범위 내에, 조사영역의 전 영역에 희미한 흑화가 인식되는 최소 자외선 조사량을 말한다.

④ 자외선A 차단지수란 UVA를 차단하는 제품의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지수로 자외선A 차단제품을 도포하여 얻은 최소지속형 즉시흑화량을 자외선A 차단제품을 도포하지 않고 얻은 최소지속형 즉시흑화량으로 나눈 값이다.

⑤ 자외선A 차단등급은 UVA 차단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며, 약칭은 PA라고 한다.

정답은,
1번

해설.
자외선차단지수(SPF, Sun Protection Factor)는 UVB를 차단하는 제품의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자외선차단제품을 도포하여 얻은 최소홍반량을 자외선차단제품을 도포하지 않고 얻은 최소홍반량으로 나눈 값이다.





83번.
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서 정기적으로 점검을 해야 하는 대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검사 · 측정 · 시험장비

② 공정관리실

③ 제조시설

④ 정제수 제조장치

⑤ 시험시설 및 시험기구

정답은,
② 공정관리실

해설.
공정관리실은 제조공정을 관리하는 사무공간에 가까우며, 직접적으로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설비나 장치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84번.
정상두피의 특징 및 판독법으로 틀린 것은?

① 두피의 톤 : 청백색의 투명톤으로 연한 살색을 띤다.

② 모공상태 : 선명한 모공라인이 열려져 있고 각질 비듬이 없다.

③ 모단위수 : 모든 모공 내에 모발이 3~4개 존재한다.

④ 수분함량 : 10~15% 정도이다.

⑤ 피지량이 적당하며 윤기가 있다.

정답은,
3번

해설.
한 모공당 모단위수는 1~2개가 존재한다.





85번.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사용금지 원료)를 사용한 경우 처벌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해당 품목의 판매(제조) 정지 3개월

② 해당 품목의 판매(제조) 정지 6개월

③ 해당 품목의 판매(제조) 정지 1년

④ 전 품목의 판매(제조) 정지 3개월

⑤ 전 품목의 판매(제조) 정지 6개월

정답은,
4번

해설.
• 사용금지 원료 사용 시 : 전 품목의 판매(제조) 정지 3개월
• 사용제한 기준위반 : 해당 품목 판매(제조) 정지 3개월





86번.
화장품의 유효성 또는 기능을 입증하는 자료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세포 내 콜라겐 생성시험

② 광독성 및 광감각성 시험자료

③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시험

④ 세포 내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시험

⑤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시험

정답은,
2번

해설.
광독성 및 광감각성 시험자료는 안전성을 입증하는 자료이다.





87번.
화장품 바코드 표시 및 관리요령에서 바코드 표시를 생략할 수 있는 내용량 기준은?

① 내용량이 10ml 이하 또는 10g 이하인 제품의 용기 또는 포장

② 내용량이 15ml 이하 또는 15g 이하인 제품의 용기 또는 포장

③ 내용량이 20ml 이하 또는 20g 이하인 제품의 용기 또는 포장

④ 내용량이 30ml 이하 또는 30g 이하인 제품의 용기 또는 포장

⑤ 내용량이 50ml 이하 또는 50g 이하인 제품의 용기 또는 포장

정답은,
2번

해설.
화장품 바코드 표시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내용량이 15ml 이하 또는 15g 이하인 제품의 용기 또는 포장이나, 견본품, 시공품 등 비매품이다.





88번.
제품의 종류별 포장방법에 관한 기준에서 포장공간비율이 10~25%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최소판매단위의 제품을 2개 이상 함께 포장하여 보호 · 고정 또는 상품가치 보존을 하기 위하여 완충재 또는 고정재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의 포장공간비율은?

① 30% 이하

② 35% 이하

③ 40% 이하

④ 45% 이하

⑤ 50% 이하

정답은,
③ 40% 이하

해설.
최소판매단위의 제품을 2개 이상 함께 포장하여 구성하고, 보호 · 고정 또는 상품가치 보존을 하기 위하여 완충재 또는 고정재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포장공간비율을 40% 이하로 할 수 있다.





89번.
다음 <보기>는 화장품 안전성 정보관리규정상의 용어에 대한 설명이다. 
무엇에 대한 내용인가?

<보기>
유해사례와 화장품 간의 인과관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된 정보로서 그 인과관계가 알려지지 아니하거나 입증자료가 불충분한 것을 말한다.

정답은,
실마리정보

해설.
실마리정보란 유해사례와 화장품 간의 인과관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된 정보로서, 그 인과관계가 알려지지 아니하거나 입증자료가 불충분한 것을 말한다.





90번.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표피층은?

<보기>
표피의 가장 아래층에 위치하며 단층의 원주형 세포로 구성되며, 모세혈관으로부터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아 세포분열을 통해 새로운 세포를 형성하며, 멜라닌형성세포가 존재한다.

정답은,
기저층

해설.
기저층은 표피의 가장 아래층에 위치하며, 단층의 원주형 세포로 구성되며, 모세혈관으로부터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아 세포분열을 통해 새로운 세포를 형성하며, 멜라닌형성세포가 존재한다.





91번.
모간의 구성부분으로 모발의 85~90%를 차지하며 멜라닌 색소와 공기를 포함하여 모발을 지탱하는 것은 무엇인가?

정답은,
모피질

해설.
모피질은 모간의 구성부분으로 모발의 85~90%를 차지하며 멜라닌 색소와 공기를 포함하여 모발을 지탱한다.





92번.
다음 <보기>는 화장품의 생산실적 보고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정확한 것을 쓰시오.

<보기>
화장품책임판매업자는 지난해의 생산실적 또는 수입실적과 화장품의 제조과정에 사용된 원료의 목록 등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  ) 말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대한화장품협회 등의 화장품 단체를 통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정답은,
2월

해설.
화장품책임판매업자는 지난해의 생산실적 또는 수입실적과 화장품의 제조과정에 사용된 원료의 목록 등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2월 말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대한화장품협회 등의 화장품 단체를 통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93번.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화장품 원료는?

<보기>
건조하고 각질이 일어나는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성분으로 흡수성이 높은 수용성 물질이다.

정답은,
보습제

해설.
보습제는 건조하고 각질이 일어나는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성분으로 흡수성이 높은 수용성 물질이다.





94번.
화장품의 제형 중 유화제 등을 넣어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균질화하여 점액상으로 만든 것은?

정답은,
로션제

해설.
화장품의 제형 중 로션제란 유화제 등을 넣어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균질화하여 점액상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95번.
다음 <보기>는 관능평가 시험방법이다. 이에 해당하는 관능평가 항목은?

<보기>
시료를 실온이 되도록 방치한 후 점도측정 용기에 시료를 넣고 시료의 점도 범위에 적합한 Spindle을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한다. 
점도가 높을 경우 경도를 측정한다.

정답은,
점도변화, 점도변화측정

해설.
관능평가 항목 중 점도변화측정은 시료를 실온이 되도록 방치한 후 점도측정 용기에 시료를 넣고 시료의 점도 범위에 적합한 Spindle을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한다. 
점도가 높을 경우 경도를 측정한다.





96번.
다음 <보기>는 화장품책임판매업자의 보고사항이다. 
(    ) 안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보기>
화장품책임판매업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화장품의 생산실적 또는 수입실적, 화장품의 제조과정에 사용된 원료의 목록 등을 (   )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원료의 목록에 관한 보고는 화장품의 유통 · 판매 전에 하여야 한다.

정답은,
식품의약품안전처장

해설.
화장품책임판매업자는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화장품의 생산실적 또는 수입실적, 화장품의 제조과정에 사용된 원료의 목록 등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97번.
다음 <보기>는 안전성 정보의 정기보고에 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보기>
화장품제조판매업자가 안전성 정보의 정기보고는 식품의약품안전처 (   )를 통해 보고하거나 전자파일과 함께 우편 · 팩스 · 정보통신망 등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정답은,
홈페이지

해설.
화장품제조판매업자가 안전성 정보의 정기보고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를 통해 보고하거나 전자파일과 함께 우편 · 팩스 · 정보통신망 등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98번.
다음은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상의 보관 및 출고에 관련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보기>
출고할 제품은 원자재, 부적합품 및 반품된 제품과 (    )된 장소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다만, 서로 혼동을 일으킬 우려가 없는 시스템에 의하여 보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은,
구획

해설.
출고할 제품은 원자재, 부적합품 및 반품된 제품과 구획된 장소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다만, 서로 혼동을 일으킬 우려가 없는 시스템에 의하여 보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99번.
다음 <보기>는 화장품 포장의 기재 · 표시 등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숫자는?

<보기>
다음에 해당하는 1차 포장 또는 2차 포장에는 화장품의 명칭, 화장품 책임판매업자의 상호, 가격, 제조번호와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만을 기재 · 표시한다.

가. 내용량이 (  )ml 이하 또는 (  )g 이하인 화장품의 포장
나. 판매의 목적이 아닌 제품의 선택 등을 위하여 미리 소비자가 시험 · 사용하도록 제조 또는 수입된 화장품의 포장

정답은,
10

해설.
내용량이 10ml 이하 또는 10g 이하인 화장품의 포장





100번.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것은 무엇에 대한 것인가?

<보기>
가. 진피의 망상층에 위치하며 모낭선에 연결되어 피지막을 형성한다.
나. 피부를 보호하고 외부의 이물질 침입을 억제하며, 피부와 모발을 윤기있고 부드럽게 한다.
다. 모발 생성과정에서 가장 먼저 생긴다.

정답은,
피지선

해설.
피지선은 모발 생성과정에서 가장 먼저 생기며, 진피의 망상층에 위치하고 모낭선에 연결되어 피지막을 형성한다.
피부를 보호하고 외부의 이물질 침입을 억제하며, 피부와 모발을 윤기있고 부드럽게 한다.




아래에 실전테스트로 들어가시면 

CBT 테스트를 해볼 수 있습니다. 




*실전테스트는 
모든 문제를 풀어야 
점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