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CBT] 실전테스트 8회차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필기시험 8회



1번.
화장품법상 화장품 책임판매업이란?

① 화장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조하는 영업을 말한다.

② 취급하는 화장품의 품질 및 안전 등을 관리하면서 이를 유통 · 판매하거나 수입대행형 거래를 목적으로 알선 · 수여하는 영업을 말한다.

③ 맞춤형화장품을 판매하는 영업을 말한다.

④ 화장품 제조업체로부터 인수받은 제품을 책임지고 판매하는 영업을 말한다.

⑤ 화장품 제조업으로부터 인수받은 제품을 도매점에 배급하고 관리하는 영업을 말한다.

정답은,
2번

해설.
• 화장품제조업 : 화장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조하는 영업
• 화장품 책임판매업 : 취급하는 화장품의 품질 및 안전 등을 관리하면서 이를 유통 · 판매하거나 수입대행형 거래를 목적으로 알선 · 수여하는 영업
• 맞춤형화장품 판매업 : 맞춤형화장품을 판매하는 영업





2번.
다음 중 화장품 제조업 등록신청에 구비서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화장품 제조업 등록신청서

② 대표자의 전문의 및 의사진단서(정신질환자, 마약류 중독자가 아님을 증명)

③ 건축물관리대장 혹은 부동산임대차계약서

④ 품질관리기준서

⑤ 시설명세서

정답은,
4번

해설.
※ 화장품 제조업 등록신청에 구비서류
• 화장품 제조업 등록신청서
• 대표자의 전문의 및 의사진단서(정신질환자, 마약류 중독자가 아님을 증명)
• 상호명(대표자) 증빙서류(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등본)
• 건축물관리대장 혹은 부동산임대차계약서
• 시설명세서(제조, 시험)
• 건물배치도(제조소 전체 평면도)
• 품질검사 위 · 수탁 계약서(필요시)





3번.
다음 중 중대한 유해사례에 해당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사망을 초래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

② 입원 또는 입원기간의 연장이 필요한 경우

③ 지속적 또는 중대한 불구나 기능저하를 초래하는 경우

④ 후천적 기형 또는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

⑤ 기타 의학적으로 중요한 상황

정답은,
4번

해설.
• 선천적 기형 또는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





4번.
다음 중 가혹시험에 해당하는 내용은?

① 성상, 유수상분리, 유화상태, 융점, 균등상태, 점도, pH, 향취변화, 경도, 비중 등 물리적 시험

② 화학적 시험

③ 현탁발생 여부, 유제와 크림제의 안정성 결여

④ 살균보존제 및 유효성분시험

⑤ 미생물 한도 및 용기 적합성시험

정답은,
3번

해설.
※ 안정성 시험 중 가혹시험이란 가혹조건에서 화장품의 분해과정 및 분해산물 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을 말한다.
• 현탁발생 여부
• 유제와 크림제의 안정성 결여
• 표시 · 기재사항의 분실
• 용기 파손
• 용기 구겨지거나 찌그러짐
• 알루미늄 튜브 내부 래커(내부 표면에 코팅된 보호막) 손상유무 및 분해산물의 생성유무





5번.
책임판매업자의 자격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사람으로서 이공계 학과, 향장학, 화장품학과, 한의학, 한약학과 등을 전공한 사람

② 의사(약사는 불가)

③ 대학 등에서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사람으로서 간호학과, 간호과학과, 건강간호학과를 전공하고 화학 · 생물학 · 생명과학 · 유전학 · 유전공학 · 향장학 · 화장품과학 · 의학 · 약학 등 관련 과목을 20학점 이상 이수한 사람

④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전문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화장비누, 흑채, 제모왁스)

⑤ 화장품 제조 또는 품질관리 업무에 2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

정답은,
② 의사(약사는 불가)

해설.
• 의사 또는 약사





6번.
화장품법상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화장품 제조업자는 화장품의 제조와 관련된 기록 · 시설 · 기구 등 관리방법, 원료 · 자재 · 완제품 등에 대한 시험 · 검사 · 검정 실시방법 및 의무 등에 관하여 총리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준수하지 않은 자

② 화장품 책임판매업자는 화장품의 품질관리기준, 책임판매 후 안전관리기준, 품질 검사방법 및 실시 의무, 안전성 · 유효성 관련 정보사항 등의 보고 및 안전대책 마련 의무 등에 관하여 총리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준수하지 않은 자

③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자(제3조의2제1항에 따라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을 신고한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는 소비자에게 유통 · 판매되는 화장품을 임의로 혼합 · 소분한 자

④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자는 맞춤형화장품 판매장 시설 · 기구의 관리 방법, 혼합 · 소분 안전관리기준의 준수 의무, 혼합 · 소분되는 내용물 및 원료에 대한 설명 의무, 안전성 관련 사항 보고 의무 등에 관하여 총리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준수하지 않은 자

⑤ 제13조(부당한 표시 · 광고 행위 등의 금지)를 위반한 자

정답은,
5번

해설.
화장품법 제13조(부당한 표시 · 광고 행위 등의 금지)를 위반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7번.
<보기>는 벌칙(형사처벌)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것을 고르면?

<보기>
제3조의6(자격증 대여 등의 금지)을 위반한 자, 
제4조의2(영유아 또는 어린이 사용 화장품의 관리)제1항을 위반한 자, 
제9조(안전용기 · 포장 등)를 위반한 자, 
제13조(부당한 표시 · 광고행위 등의 금지)를 위반한 자, 
제16조(판매 등의 금지)제1항제2호 · 제3호 또는 같은 조 제2항을 위반한 자, 
제14조(표시 · 광고 내용의 실증 등)제4항에 따른 중지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자는 
(   )년 이하의 징역 또는 (   )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① 1

② 2

③ 3

④ 4

⑤ 5

정답은,
① 1

해설.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
• 제3조의6(자격증 대여 등의 금지)을 위반한 자
• 제4조의2(영유아 또는 어린이 사용 화장품의 관리)제1항을 위반한 자
• 제9조(안전용기 · 포장 등)를 위반한 자
• 제13조(부당한 표시 · 광고행위 등의 금지)를 위반한 자
• 제14조(표시 · 광고 내용의 실증 등)제4항에 따른 중지명령에 따르지 아니한 자
• 제16조(판매 등의 금지)제1항제2호 · 제3호 또는 같은 조 제2항을 위반한 자





8번.
다음 <보기>는 화장품의 영업자에 대한 과징금 산정기준의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을 쓰시오.

<보기>
과징금의 산정은 판매업무 또는 제조업무의 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처분을 하는 경우에는 처분일이 속한 연도의 전년도 (   ) 품목의 1년간 총 생산금액 및 총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은,
모든

해설.
과징금의 산정은 판매업무 또는 제조업무의 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처분을 하는 경우에는 처분일이 속한 연도의 전년도 모든 품목의 1년간 총 생산금액 및 총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9번.
다음은 화장품 영업자의 등록 및 신고에 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을 차례대로 쓰시오.

<보기>
화장품 제조업자, 화장품 책임판매업자는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게 (Ⓐ)하고,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자도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소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게 (Ⓑ)한다.

정답은,
Ⓐ 등록, Ⓑ 신고

해설.
화장품 제조업자, 화장품 책임판매업자는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게 등록하고,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자도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소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게 신고한다.





10번.
다음 <보기>는 안정성시험의 한 종류이다. (   ) 안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보기>
개봉 후 안정성 시험은 화장품 사용 시에 일어날 수 있는 오염 등을 고려한 (   )을 설정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 물리 · 화학적, 미생물학적 안정성 및 용기 적합성을 확인하는 시험을 말한다.

정답은,
사용기한

해설.
개봉 후 안정성 시험은 화장품 사용 시에 일어날 수 있는 오염 등을 고려한 사용기한을 설정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 물리 · 화학적, 미생물학적 안정성 및 용기 적합성을 확인하는 시험을 말한다.





11번.
계면활성제 중 피부자극이 적고, 기초화장품류에서 가용화제, 유화제 등으로 사용되는 것은?

① 비이온 계면활성제

② 양이온 계면활성제

③ 음이온 계면활성제

④ 양쪽성 계면활성제

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정답은,
① 비이온 계면활성제

해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물에서 이온화되지 않으며, 다른 계면활성제에 비해 피부 자극이 가장 적어 크림, 로션과 같은 유액 제품의 유화제로 많이 사용되며, 화장수, 스킨, 향료 등에서 잘 녹지 않는 성분을 녹이는 가용화제로도 널리 활용된다.





12번.
고급알코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알코올은 R-OH 화학식을 가지는 물질이다.

② 알코올은 하이드록시기(-OH)의 숫자에 따라 1가, 2가, 다가알코올(폴리올)로 분류된다.

③ 알킬기의 탄소수가 1~3개인 알코올은 유용성이다.

④ 탄소수가 적은 알코올을 저급알코올이라고 한다.

⑤ 탄소수가 많은 알코올을 고급알코올이라고 한다.

정답은,
3번

해설.
알킬기의 탄소수가 1~3개인 알코올은 수용성이며,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수용성이 감소하고 유용성이 증가한다.





13번.
식물성 오일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피부에 대한 친화성이 우수하다.

② 피부흡수가 느리다.

③ 산패되기 쉽다.

④ 특이취가 있다.

⑤ 가벼운 사용감을 가진다.

정답은,
⑤ 가벼운 사용감을 가진다.

해설.
식물성 오일은 사용감이 무겁다.





14번.
분자량이 크지 않아 사용감이 가볍고 유화도 잘 되어 화장품에서 오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은?

① 에스테르 오일

② 폴리에틸렌

③ 스쿠알렌

④ 제팬왁스

⑤ 폴리부텐

정답은,
① 에스테르 오일

해설.
에스테르 오일은 지방산과 고급알코올의 에스테르 반응으로 생성된 물질로, 에스테르 결합을 가진 액상의 화장품 원료를 에스테르 오일이라고 한다.
에스테르 오일은 분자량이 크지 않아 사용감이 가볍고 유화도 잘 되어 화장품에서 오일로 널리 사용된다.





15번.
다음 중 산화방지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BHT

② BHA

③ 토코페롤

④ 라놀린

⑤ 이데베논

정답은,
④ 라놀린

해설.
※ 산화방지제
• BHT
• BHA
• TBHQ
• 토코페롤
• 이데베논
• 유비퀴논





16번.
다음 중 무기계 착색안료가 아닌 것은?

① 산화철

② 레이크

③ 울트라마린 블루

④ 크롬옥사이드 그린

⑤ 망가네즈바이올렛

정답은,
② 레이크

해설.
레이크는 유기염료를 금속염(알루미늄, 칼슘, 바륨 등)과 결합시켜 물에 불용성으로 만든 안료로, 유기계 착색안료에 속하며, 화려하고 선명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어 립스틱, 블러셔 등 색조 화장품에 많이 사용된다.





17번.
천연향료로서 실온에서 콘크리트, 포마드 또는 레지노이드를 에탄올로 추출해서 얻은 향기를 지닌 생성물은?

① 에센셜 오일

② 올레오레진

③ 앱솔루트

④ 발삼

⑤ 팅크처

정답은,
③ 앱솔루트

해설.
앱솔루트는 휘발성 용매추출법으로 얻은 콘크리트나 레지노이드 또는 냉침법으로 얻은 포마드를 다시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로 추출하여 얻는 매우 농축된 형태의 향료이다.





18번.
화장품 활성성분 중 감초에서 추출한 물질로 염증완화, 항알레르기 작용을 주는 성분은?

① 알란토인

② 세라마이드

③ 글리시리진산

④ 알로에

⑤ 아데노신

정답은,
③ 글리시리진산

해설.
글리시리진산은 감초에서 추출한 물질로 염증완화, 항알레르기 작용을 한다.





19번.
화장품의 성분정보는 무엇을 통해 알 수 있는가?

①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고시규정

②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의 발표

③ 보건복지부령

④ 총리령

⑤ 대한화장품협회 성분사전

정답은,
⑤ 대한화장품협회 성분사전

해설.
화장품의 성분정보(원료명칭)은 '대한화장품협회 성분사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규 화장품 원료에 대한 전성분명(원료명칭)은 '대한화장품협회 성분명표준화위원회'에서 심의를 통해 정하고 있다.





20번.
세정화장품 중 비누화반응에 의해 제조되며, 강력한 세정력, 피부보습 제공, 저자극으로 건조함과 피부가 땅기는 것을 방지하는 제품은?

① 폼 클렌징

② 클렌징 크림

③ 클렌징 로션

④ 클렌징 오일

⑤ 클렌징 워터

정답은,
① 폼 클렌징

해설.
폼 클렌징은 비누화반응에 의해 제조되며, 강력한 세정력, 피부보습 제공, 저자극으로 건조함과 피부가 땅기는 것을 방지하는 제품이다.





21번.
원료 및 포장재의 보관관리에 대한 세부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수시로 재고조사를 할 것

② 재고회전을 보증하기 위한 방법을 확립할 것

③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가장 오래된 재고가 제일 먼저 불출되도록 선입선출할 것

④ 원료, 포장재의 보관환경을 적절히 할 것

⑤ 재포장시 원래의 용기와 동일하게 표시할 것

정답은,
1번

해설.
원료 및 포장재의 보관관리에 대한 세부사항으로 정기적(주기적)인 재고조사를 시행해야 한다.





22번.
다음 중 '나'등급 위해성화장품은?

① 유통화장품 안전관리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화장품(내용량의 기준에 관한 부분은 제외, 기능성 화장품의 기능성을 나타나게 하는 주원료함량이 기준치에 부적합한 경우는 제외)

②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한을 위조 · 변조한 화장품

③ 화장품 제조업자 또는 화장품 책임판매업자 스스로 국민보건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어 회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화장품

④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를 두지 아니하고 판매한 맞춤형화장품

⑤ 등록을 하지 않은 자가 제조한 화장품 또는 제조 · 수입하여 유통 · 판매한 화장품

정답은,
1번

해설.
※ '나'등급 위해성화장품
• 안전용기 · 포장 등에 위반되는 화장품
• 유통화장품 안전관리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화장품(단, 내용량의 기준에 관한 부분은 제외, 기능성 화장품의 기능성을 나타나게 하는 주원료함량이 기준치에 부적합한 경우는 제외)





23번.
위해화장품의 공표시 포함될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제품명

② 회수사유

③ 회수계획수량

④ 회수대상화장품의 제조번호

⑤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

정답은,
③ 회수계획수량

해설.
※ 위해화장품의 공표사항
• 화장품을 회수한다는 내용의 표제
• 제품명, 회수대상화장품의 제조번호
•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
• 회수사유, 회수방법
• 회수하는 영업자의 명칭 · 전화번호 · 주소 · 그밖에 회수에 필요한 사항





24번.
문서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원본문서는 작성부서에서 보관하여야 하며, 사본은 작업자가 접근하기 쉬운 장소에 비치 · 사용하여야 한다.

② 문서의 인쇄본 또는 전자매체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보관하여야 한다.

③ 작업자는 작업과 동시에 문서에 기록하여야 하며, 지울 수 없는 잉크로 작성하여야 한다.

④ 모든 기록문서는 적절한 보존기간이 규정되어야 한다.

⑤ 기록의 훼손 또는 소실에 대비하기 위해 백업파일 등 자료를 유지하여야 한다.

정답은,
1번

해설.
원본문서는 품질보증부서에서 보관하여야 하며, 사본은 작업자가 접근하기 쉬운 장소에 비치 · 사용하여야 한다.





25번.
제한이 있거나 신속한 위해평가가 요구될 경우 화장품의 위해평가가 아닌 것은?

① 국제기구 및 신뢰성 있는 국내 · 외 위해평가기관 등에서 평가한 위해성 확인 및 위험성 결정결과를 준용하거나 인용할 수 있다.

② 위험성 결정이 어려울 경우 위험성 확인만으로도 위해도를 예측할 수 있다.

③ 화장품의 사용에 따른 사망 등의 위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위험성 확인만으로 위해도를 예측할 수 있다.

④ 노출 평가 자료가 불충분하거나 없는 경우 활용 가능한 과학적 모델을 토대로 노출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⑤ 특정집단에 노출 가능성이 클 경우 어린이 및 임산부 등 민감집단 및 고위험집단을 대상으로 위해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정답은,
2번

해설.
위험성 결정이 어려울 경우 위험성 확인과 노출평가만으로 위해도를 예측할 수 있다.





26번.
화장품 제조시설의 세척확인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육안으로 확인한다.

② 손으로 문질러 묻어 나오는 것을 확인한다.

③ 백색 천으로 문질러 부착물로 확인한다.

④ 검은색 천으로 문질러 부착물로 확인한다.

⑤ 린스액의 화학분석을 통하여 확인한다.

정답은,
2번

해설.
손을 접촉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27번.
기능성화장품 성분과 그 기능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징크옥사이드 –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보호

② 덱스판테놀 – 탈모증상 완화

③ 살리실릭애씨드 – 여드름성 피부완화

④ 알부틴 – 피부의 미백에 도움

⑤ 나이아신아마이드 – 피부의 주름 개선

정답은,
5번

해설.
• 나이아신아마이드 – 피부의 미백에 도움
•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 피부의 주름 개선





28번.
색조화장품은 베이스메이크업(기초화장)과 포인트메이크업(색조화장)으로 분류되는데 베이스메이크업에 해당되는 제품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립스틱

② 파운데이션

③ 프라이머

④ 파우더류

⑤ 쿠션

정답은,
① 립스틱

해설.
※ 색조화장품
• 베이스메이크업(기초화장) : 파운데이션, 쿠션, 프라이머, 파우더류, 컨실러, 메이크업베이스 등
• 포인트메이크업(색조화장) :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치크브러쉬(볼터치), 아이섀도, 립스틱, 립틴트 등





29번.
다음 중 위해평가의 대상으로 옳은 것은?

① 판매자가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하여 판매할 목적으로 제조 또는 진열을 금지하거나 제한한 화장품

② 외국정부가 식용이 불가하다고 인정하여 판매의 목적으로 진열을 금지한 화장품

③ 국내 연구 · 검사기관에서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원료 또는 성분 등이 검출된 화장품

④ 새로운 원료 · 성분이 생산된 경우 식용이 불가하여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화장품

⑤ 새로운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기준이 없어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화장품

정답은,
3번

해설.
※ 위해평가의 대상
• 국제기구 또는 외국정부가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인정하여 판매하거나 판매의 목적으로 제조 · 수입 · 사용 또는 진열을 금지하거나 제한한 화장품
• 국내 연구 · 검사기관에서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원료 또는 성분 등이 검출된 화장품
• 새로운 원료 · 성분 또는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 · 제조 · 조합되거나 안정성에 대한 기준 및 규격이 정하여지지 아니하여 인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화장품





30번.
화장품 제조시설의 기준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제품이 보호되도록 할 것
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할 것
다. 필요한 경우 위생관리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것
라. 제품, 원료 및 포장재 등과의 혼동이 없도록 할 것

① 가

② 가, 나

③ 가, 나, 다

④ 나, 다, 라

⑤ 가, 나, 다, 라

정답은,
⑤ 가, 나, 다, 라

해설.
※ 화장품 제조시설의 기준
• 제품이 보호되도록 할 것
• 청소가 용이하도록 할 것
• 필요한 경우 위생관리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것
• 제품 · 원료 및 포장재 등과의 혼동이 없도록 할 것





31번.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유성원료인 오일은?

<보기>
고급탄화수소로 무색 투명하고, 냄새가 없으며, 산패나 변질의 문제가 없다. 
하지만 유성감이 강하고 피부호흡을 방해할 수 있어 보통 식물성 오일이나 다른 오일과 혼합하여 사용된다.

정답은,
광물성 오일

해설.
광물성 오일은 부분 원유에서 추출한 고급탄화수소로 무색 투명하고, 냄새가 없으며, 산패나 변질의 문제가 없다.
대표적으로 유동파라핀, 바셀린 등이 있다.





32번.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안료는?

<보기>
가. 광물성 안료이다.
나. 빛이나 열에 강하고 유기용매에 녹지 않으므로 주로 화장품용 색소로 널리 사용된다.
다. 마스카라의 색소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정답은,
무기안료

해설.
무기안료는 광물성 안료라고도 하며, 빛이나 열에 강하고 유기용매에 녹지 않으므로 주로 화장품용 색소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색상의 화려함이나 선명도는 유기안료에 비해 떨어진다.





33번.
다음 <보기>는 성분표시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을 쓰시오.

<보기>
착향제 구성성분 중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한 알레르기 유발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   )로만 표시할 수 없고 추가로 해당 성분의 명칭을 기재한다.

정답은,
향료

해설.
착향제는 '향료'로 표시할 수 있으나 착향제 구성성분 중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한 알레르기 유발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향료로만 표시할 수 없고 추가로 해당 성분의 명칭을 기재한다.





34번.
다음 <보기>는 사용한도 원료 즉, 사용상의 제한이 필요한 원료에 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을 쓰시오.

<보기>
사용상의 제한이 필요한 원료에는 보존제, 자외선차단제, (    ), 기타 원료가 있으며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별표2에서 규정하고 있다.

정답은,
염모제

해설.
사용상의 제한이 필요한 원료에는 보존제, 자외선차단제, 염모제, 기타 원료가 있으며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별표2에서 규정하고 있다.





35번.
다음 <보기>는 안료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보기>
색조화장품에 사용되는 안료는 파우더의 사용감과 제형을 구성하는 기능의 (   )안료와 색을 표현하는 백색안료, 착색안료, 펄안료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은,
체질

해설.
색조화장품에 사용되는 안료는 파우더의 사용감과 제형을 구성하는 기능의 체질안료와 색을 표현하는 백색안료, 착색안료, 펄안료로 구분할 수 있다.
체질안료는 색상은 거의 없거나 투명하여 색조를 직접적으로 부여하기보다는 파우더 제품의 부피를 늘리고, 사용감을 조절하며, 유분흡수 및 밀착력 개선 등 제형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36번.
제조 및 품질관리에 필요한 설비로 적합하지 않은 내용은?

① 시설 및 기구에 사용되는 소모품은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것

② 천정 주위의 대들보, 파이프, 덕트 등은 가급적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할 것

③ 파이프는 받침대 등으로 고정하고 벽에 부착하여 설치할 것

④ 배수관은 역류되지 않아야 하고 청결을 유지할 것

⑤ 용기는 먼저 수분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을 것

정답은,
3번

해설.
파이프는 받침대 등으로 고정하고 벽에 닿치 않게 하여 청소가 용이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37번.
소독제 선택시의 고려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종업원의 안전성 고려

② 법 규제 및 소요비용

③ pH, 온도, 사용하는 물리적 환경 요인의 약제에 미치는 영향

④ 내성균의 출현 양

⑤ 적용장치의 종류, 설치장소 및 사용하는 표면의 상태

정답은,
4번

해설.
내성균의 출현 빈도





38번.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상 안전위생의 교육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들이 제조, 관리, 보관구역으로 출입하는 경우에는 안전위생 교육훈련자료에 따라 출입 전에 교육훈련을 실시한다. 
교육훈련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직원용 안전대책

② 작업위생 규칙

③ 작업복 등의 착용

④ 손 씻는 절차

⑤ 작업시간 및 생산규모

정답은,
5번

해설.
※ 안전위생 교육훈련
• 직원용 안전대책
• 작업위생 규칙
• 작업복 등의 착용
• 손 씻는 절차





39번.
설비 세척의 원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세척을 할 경우 가능하면 세제세척을 권장한다.

② 세척 후에는 반드시 '판정'한다.

③ 판정 중의 설비는 건조 · 밀폐해서 보존한다.

④ 세척의 유효기간을 정한다.

⑤ 세척 후에는 세척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를 한다.

정답은,
1번

해설.
잔존한 세적제는 제품의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세제세척을 권장하지 않는다.





40번.
제조설비 중 혼합기로서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드럼 내부의 혼합물을 1/2, 1/4, 1/8, ..., 1/n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세분화하여 혼합이 이루어지며, 가장 균질한 혼합이 이루어지는 혼합기는?

① 원추형 혼합기

② V-형 혼합기

③ 피라미드형 혼합기

④ 리본형 혼합기

⑤ 정입방형 혼합기

정답은,
② V-형 혼합기

해설.
V-형 혼합기는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드럼 내부의 혼합물을 1/2, 1/4, 1/8, ..., 1/n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세분화하여 혼합이 이루어지며, 가장 균질한 혼합이 이루어진다.





41번.
교반기 중 디스퍼라고도 하는 것은?

① 프로펠러형 믹서

② 임펠러형 믹서

③ 저면형 교반기

④ 측면형 교반기

⑤ 아지믹서

정답은,
① 프로펠러형 믹서

해설.
교반기는 회전날개의 종류에 따라 프로펠러형과 임펠러형이 있으며, 프로펠러형 믹스는 '디스퍼'라고도 한다.





42번.
원료 및 포장재의 정보확인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인도문서와 포장에 표시된 품목 · 제품명

② 수령자 명

③ 공급자가 부여한 뱃치 정보(만약 다르다면 수령 시 주어진 뱃치 정보)

④ 기록된 양

⑤ CAS번호(적용 가능한 경우)

정답은,
2번

해설.
공급자 명





43번.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상 보관 및 출고 관련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완제품 검체채취는 품질관리부서가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② 제품시험 및 그 결과 판정은 품질관리부서의 업무이다.

③ 제품시험을 책임지고 실시하기 위해서는 검체채취를 실험실에서 직접 채취한다.

④ 시장 출하 전에 모든 완제품은 설정된 시험방법에 따라 관리되어야 하고, 합격판정 기준에 부합하여야 한다.

⑤ 검체 채취자에게는 검체 채취절차 및 검체 채취 시의 주의사항을 교육 · 훈련시켜야 한다.

정답은,
3번

해설.
제품시험을 책임지고 실시하기 위해서도 검체채취를 품질관리부에서 검체채취 담당자가 실시한다.





44번.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비의도적으로 유래된 물질의 검출 허용한도로 잘못된 것은?

① 카드뮴 : 5μg/g 이하

② 디옥산 : 100μg/g 이하

③ 메탄올 : 0.2(v/v)% 이하

④ 포름알데하이드 : 100μg/g 이하

⑤ 프탈레이트류 : 총합으로서 100μg/g 이하

정답은,
4번

해설.
•  포름알데하이드 : 2,000μg/g 이하(단, 물휴지는 20μg/g 이하)





45번.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미생물 한도기준에서 검출되지 않아야 하는 미생물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호기성 생균
나. 세균 및 진균
다. 대장균
라. 녹농균 및 황색포도상구균

① 가, 나

② 가, 다

③ 가, 라

④ 나, 라

⑤ 다, 라

정답은,
⑤ 다, 라

해설.
대장균, 녹농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은 검출되어서는 안된다.





46번.
다음 <보기> 중 부적합품인 원료, 자재, 벌크제품 및 완제품에 대한 폐기관련 사항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품질에 문제가 있거나 회수 · 반품된 제품의 폐기 또는 재작업 여부는 품질보증책임자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나. 재작업은 그 대상이 변질 · 변패 또는 병원미생물에 오염된 경우이다.
다. 오염된 포장재나 표시사항이 변경된 포장재는 수정 후 재사용한다.
라. 제조일부터 1년이 경과하거나 사용기한이 6개월 이상 남아 있는 경우 재작업 대상이다.

① 가

② 가, 나

③ 가, 나, 다

④ 가, 나, 다, 라

⑤ 정답 없음

정답은,
④ 가, 나, 다, 라

해설.
※ 부적합품인 원료, 자재, 벌크제품 및 완제품에 대한 폐기관련 사항
• 품질에 문제가 있거나 회수 · 반품된 제품의 폐기 또는 재작업 여부는 품질보증책임자에게 승인되어야 한다.
• 재작업은 그 대상이 변질 · 변패 또는 병원미생물에 오염되지 아니하고, 제조일로부터 1년이 경과하지 않았거나 사용기한이 1년 이상 남아 있는 경우 모두를 만족한 경우에 할 수 있다.
• 오염된 포장재나 표시사항이 변경된 포장재는 폐기한다.





47번.
다음 <보기> 중 화학적 소독제와 그 용도의 연결이 적절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알코올 : 미용도구, 손 소독
나. 승홍수 : 피부상처 소독
다. 폼알데하이드 : 화장실, 쓰레기통 · 도자기류 등 소독
라. 생석회 : 화장실 · 하수도 소독

① 가, 나

② 가, 다

③ 가, 라

④ 나, 다

⑤ 나, 라

정답은,
④ 나, 다

해설.
• 승홍수 : 화장실, 쓰레기통 · 도자기류 등 소독
• 폼알데하이드 : 금속 소독





48번.
입고된 포장재의 관리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원자재, 시험 중인 제품 및 부적합품은 통합하여 보관하되 반출이 쉽도록 라벨링한다.

② 원자재, 반제품 및 벌크제품은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조건에서 보관하여야 하며 보관기간을 설정하여야 한다.

③ 원자재, 반제품 및 벌크제품은 바닥과 벽에 붙여서 안정감 있게 보관한다.

④ 설정된 보관기한이 지나면 사용의 적절성을 결정하기 위해 재평가시스템을 확립하여야 한다.

⑤ 포장재의 출고는 선입선출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은,
1번

해설.
원자재, 시험 중인 제품 및 부적합품은 각각 구획된 장소에서 보관하여야 한다.





49번.
다음 기구 중 혼합과 교반장치의 구성재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잦은 부분 및 탱크와의 공존이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② 기구들과 제품과 원료가 직접 접하지 않도록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③ 믹서는 봉인과 개스킷에 의해서 제품과의 접촉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내부패킹과 윤활제를 사용한다.

④ 온도, pH 및 압력과 같은 작동조건의 영향에 대해서도 확인한다.

⑤ 정기적으로 계획된 유지 관리와 점검은 봉함(씰링), 개스킷 및 패킹이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정답은,
2번

해설.
혼합 및 교반장치는 원료를 직접 혼합하고 교반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기구(믹서 날개, 교반봉 등)가 제품 및 원료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50번.
혼합 · 소분 시 위생관리 규정으로 적절한 것은?

① 혼합 · 소분 전에 손은 물로 소독을 실시한다.

② 혼합 · 소분 전 장갑은 순면장갑으로 재활용하여 착용이 가능하다.

③ 혼합 · 소분된 제품을 담을 용기의 소독은 과산화수소 30% 수용액으로 실시한다.

④ 장비 또는 기기 등은 정기적으로 세척하므로 너무 잦은 소독은 좋지 않다.

⑤ 혼합 · 소분 전 손 소독을 하는 경우 에탄올 70%의 수용액으로 실시한다.

정답은,
5번

해설.
혼합 · 소분 전 손 소독을 하는 경우에는 에탄올 70%의 수용액 또는 손 세정제로 소독을 실시한다.





51번.
화학적 소독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알코올은 세척이 필요하며 사용이 어렵고 단독사용이 불가능하다.

② 페놀은 세정작용이 우수하고 탈취작용이 있다.

③ 솔은 세정작용이 우수하고 탈취작용이 있으며 기름때 제거에 효과적이다.

④ 인산은 피부보호가 필요하며, 산성조건 하에서 사용해야 한다.

⑤ 과산화수소는 유기물 소독에 효과적이다.

정답은,
1번

해설.
알코올은 세척이 불필요하며, 사용이 쉽고 빠른 건조 및 단독사용이 가능하다.





52번.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상의 폐기처리에서 '재작업'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재작업이란 뱃치 전체 또는 일부에 추가처리를 하여 부적합품을 적합품으로 다시 가공하는 일이다.

② 기준일탈이 된 완제품 또는 벌크제품은 재작업을 할 수 없다.

③ 재작업 실시 시에는 발생한 모든 일들을 재작업 제조기록서에 기록한다.

④ 재작업은 해당 재작업의 절차를 상세하게 작성한 절차서를 준비해서 실시한다.

⑤ 재작업 처리의 실시는 품질보증책임자가 결정한다.

정답은,
2번

해설.
기준일탈이 발생한 제품이라도 재작업을 통해 적합품으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절차에 따라 재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53번.
우수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상의 출고관리에서 원칙적으로 선입선출 방식으로 출고하여야 한다. 
다음 <보기> 중 선입선출 방식의 예외가 인정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나중에 입고된 물품이 사용기한이 짧은 경우
나. 선입선출을 하지 못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을 경우
다. 경영진의 과반수 찬성으로 의사결정된 경우
라. 공급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① 가, 나

② 가, 다

③ 가, 라

④ 나, 라

⑤ 다, 라

정답은,
① 가, 나

해설.
출고는 선입선출방식이 원칙이지만, 나중에 입고된 물품이 사용기한이 짧은 경우나 선입선출을 하지 못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을 경우엥는 먼저 입고된 물품보다 먼저 출고할 수 있다.





54번.
원료와 포장재의 관리에 필요한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중요도 분류

② 가격대 구분

③ 공급자 결정

④ 보관환경 설정

⑤ 사용기한 결정

정답은,
② 가격대 구분

해설.
※ 원료와 포장재의 관리에 필요한 사항
• 중요도 분류
• 공급자 결정
• 발주, 입고, 식별표시, 합격  · 불합격 판정, 보관, 불출
• 보관환경 설정
• 사용기한 결정
• 정기적 재고관리
• 재평가 및 재보관





55번.
건강상의 문제가 있는 작업자는 화장품과 직접 접촉하는 작업을 해서는 안 된다. 그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① 전염성 질환의 발생 또는 그 위험이 있는 자

② 콧물 등 분비물이 심하여 화장품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는 자

③ 화농성 회상 등에 의하여 화장품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는 자

④ 과도한 음주로 인한 숙취자로 작업 중 과오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자

⑤ 화장품에 대한 이해부족 등으로 작업을 시킬 수 없는 자

정답은,
5번

해설.
화장품에 대한 이해 부족 등으로 작업을 시킬 수 없는 자는 건강상의 문제가 아니라 직무능력 또는 교육훈련 부족에 해당하며, 건강 문제로 인해 작업에서 배제되어야 하는 대상은 아니다.





56번.
작업소의 위생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곤충, 해충이나 쥐를 막을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정기적으로 점검 · 확인하여야 한다.

② 제조 · 관리 및 보관구역 내의 바닥, 벽, 천장 및 창문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③ 제조시설이나 설비의 세척에 사용되는 세제 또는 소독제는 효능이 입증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④ 제조시설이나 설비의 세척에 사용되는 세제 또는 소독제는 효능을 지속하기 위해 잔류성이 오래 유지될 수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

⑤ 제조시설이나 설비는 적절한 방법으로 청소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위생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

정답은,
4번

해설.
제조시설이나 설비의 세척에 사용되는 세제 또는 소독제는 효능이 입증된 것을 사용하고, 잔류하거나 적용하는 표면에 이상을 초래하지 않아야 한다.





57번.
직원의 위생관리 기준 및 절차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직원의 작업 시 복장

② 직원의 건강상태 확인

③ 직원에 의한 제품의 오염방지에 관한 사항

④ 직원의 손 씻는 방법

⑤ 직원의 근무태도와 근무시간

정답은,
5번

해설.
직원의 근무태도와 근무시간은 근태관리에 대한 내용이다.





58번.
다음 중 직원의 위생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작업소 및 보관소 내의 모든 직원은 화장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규정된 작업복을 착용하여야 한다.

② 피부에 외상이 있거나 질병에 걸린 직원이라도 화장품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면 상관없다.

③ 제조구역별 접근 권한이 없는 작업원 및 방문객은 가급적 제조, 관리 및 보관구역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④ 적절한 위생관리 기준 및 절차를 마련하고 제조소 내의 모든 직원은 이를 준수해야 한다.

⑤ 음식물 등을 반입해서는 아니 된다.

정답은,
2번

해설.
피부에 외상이 있거나 질병에 걸린 직원은 건강이 양호해지거나 화장품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의사의 소견이 있기 전까지 화장품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59번.
벌크제품 보관 시 용기에 표시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명칭 또는 확인코드

② 공급자명

③ 제조번호

④ 완료된 공정명

⑤ 필요한 경우에는 보관조건

정답은,
2번

해설.
※ 벌크제품 보관 시 용기에 표시해야 할 사항
• 명칭 또는 확인코드
• 제조번호
• 완료된 공정명
• 보관조건(필요 시)





60번.
유통화장품 안전관리 시험방법 중 푹신아황산법은 무엇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방법인가?

① 납

② 니켈

③ 비소

④ 카드뮴

⑤ 메탄올

정답은,
⑤ 메탄올

해설.
※ 메탄올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방법
• 푹신아황산법
• 기체크로마토그래프법
• 기체크로마트그래프-질량분석기법





61번.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자의 준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둘 이상의 책임판매업자와 계약하는 경우 사전에 대표 책임판매업자를 고지한 후 계약을 체결하여야 한다.

② 보건위생상 위해가 없도록 맞춤형화장품 혼합 · 소분에 필요한 장소, 시설 및 기구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위생적으로 관리 · 유지하여야 한다.

③ 맞춤형화장품과 관련하여 안전성 정보에 대하여 신속히 책임판매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④ 맞춤형화장품의 내용물 및 원료의 입고 시 품질관리 여부를 확인하고 책임판매업자가 제공하는 품질성적서를 구비하여야 한다.

⑤ 맞춤형화장품 판매 시 해당 맞춤형화장품의 혼합 또는 소분에 사용되는 내용물 및 원료, 사용 시의 주의사항에 대하여 소비자에게 설명하여야 한다.

정답은,
1번

해설.
둘 이상의 책임판매업자와 계약을 하는 경우 사전에 각각의 책임판매업자에게 고지한 후 계약을 체결하여야 하며, 맞춤형화장품 혼합 · 소분 시 책임판매업자와 계약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62번.
피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피부는 신체기관 중 가장 큰 기관이다.

② 피부는 성인 기준 총면적이 1.5~2m²이다.

③ 피부는 물 70%, 단백질 25~27%, 지질 2%, 탄수화물 1%, 기타 비타민, 효소, 호르몬, 미네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④ 피부의 pH는 5.5~8.5의 중성이다.

⑤ 피부 속으로 들어갈수록 pH는 증가한다.

정답은,
4번

해설.
피부의 정상 pH는 약 4~6 사이로 약산성을 띠고 있으며, 피부 속으로 들어갈수록 pH는 7.0까지 증가한다.





63번.
피부의 기능과 그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면역기능 - 랑게르한스세포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포획하여 림프로 보내 외부로 배출한다.

② 분비기능 - 땀 분비를 통해 신체의 온도조절 및 노폐물을 배출한다.

③ 비타민D 합성 - 자외선을 통해 피지성분인 콜레스테롤이 합성된다.

④ 체온조절 기능 - 땀 분비를 통해 체온을 조절한다.

⑤ 감각전달 기능 - 신경말단 조직과 메르켈세포가 감각을 전달한다.

정답은,
3번

해설.
비타민D 합성 - 자외선을 통해 피지성분인 스쿠알렌을 통해 합성된다.





64번.
화장품 안전성 정보관리 규정에 따른 화장품의 안전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화장품 안전성 정보관리 규정의 목적은 화장품의 취급 · 사용 시 인지되는 안전성 관련 정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집 · 검토 · 평가하여 적절한 안전대책을 강구함으로써 국민 보건상의 위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② 유해사례란 화장품의 사용 중 발생한 바람직하지 않고 의도되지 않은 징후, 증상 또는 질병을 말하며, 해당 화장품과 반드시 인과관계를 가져야 한다.

③ 실마리 정보란 유해사례와 화장품 간의 인과관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된 정보로서 그 인과관계가 알려지지 아니하거나 입증자료가 불충분한 것을 말한다.

④ 안전성 정보란 화장품과 관련하여 국민보건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안전성 · 유효성에 관한 새로운 자료, 유해사례 정보 등을 말한다.

⑤ 화장품제조판매업자는 중대한 유해사례 또는 이와 관련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보고를 지시한 경우 그 정보를 알게 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신속히 보고하여야 한다.

정답은,
2번

해설.
유해사례란 화장품의 사용 중 발생한 바람직하지 않고 의도되지 않은 징후, 증상 또는 질병을 말하며, 해당 화장품과 반드시 인과관계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65번.
표피 중 엘라이딘이라는 반유동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층은?

① 각질층

② 투명층

③ 과립층

④ 유극층

⑤ 기저층

정답은,
② 투명층

해설.
투명층은 손바닥과 발바닥처럼 피부가 두꺼운 부위에만 존재하는 층으로, 반투명하고 굴절성이 있는 엘라이딘이라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66번.
표피층의 유형과 그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각질층 - 라멜라 구조를 가지며, 수분손실을 막아주며 자극으로부터 피부보호 및 세균침입을 방어한다.

② 투명층 - 2~3층의 편평한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손바닥 · 발바닥에 존재한다.

③ 과립층 - 케라토하이알린과립이 존재하며, 본격적인 각화과정이 시작된다.

④ 유극층 - 표피에서 가장 두꺼운 층으로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⑤ 기저층 - 림프액이 흘러 혈액순환 및 물질교환이 이루어진다.

정답은,
5번

해설.
림프액이 흐르고 혈액순환 및 물질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은 표피층 아래에 있는 진피층이다.

• 기저층 - 표피의 가장 아래층에 위치하며, 진피의 유두층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고 단층의 원주형 세포로 구성된다.





67번.
다음 중 진피 망상층에 존재하지 않는 것은?

① 모세혈관

② 피지선

③ 혈관

④ 소한선

⑤ 대한선

정답은,
① 모세혈관

해설.
모세혈관은 진피 유두층에 존재한다.
진피 망상층에는 혈관, 림프관, 한선, 피지선, 모낭, 모구 등이 존재한다.





68번.
큰 피지선이 존재하는 곳이 아닌 것은?

① 얼굴의 T-zone

② 목 부위

③ 손바닥

④ 등 부위

⑤ 가슴 부위

정답은,
③ 손바닥

해설.
※ 큰 피지선이 존재하는 곳
• 얼굴의 T-zone(얼굴의 이마 중앙부터 코를 지나 턱 끝까지 이어지는 부위)
• 목, 등, 가슴 등





69번.
여드름을 유발하는 화장품 원료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미네랄 오일

② 페트롤라툼(바세린)

③ 라놀린

④ 올레익애씨드

⑤ 레조르시놀

정답은,
5번

해설.
레조르시놀은 살균 및 각질 용해작용이 있어 여드름 피부개선에 사용된다.

※ 여드름을 유발하는 화장품 원료
미네랄 오일(유동 파라핀), 페트롤라툼(바세린), 라놀린, 올레익애씨드, 라우릴알코올, 코코아 버터 등





70번.
모발형태와 웨이브의 결정은?

① 멜라닌의 결합형태에 따라

② 유멜라닌과 페오멜라닌의 구성비에 따라

③ 멜라닌의 함량에 따라

④ 디설파이드 결합에 따라

⑤ 멜라닌과 디설파이드 비율에 따라

정답은,
4번

해설.
모발의 형태(직모, 곱슬머리)와 웨이브의 정도는 모발 단백질인 케라틴 사슬 내의 디설파이드 결합에 따라 결정된다.
이 디설파이드 결합이 많고 불규칙하게 배열될수록 모발은 더 강한 곱슬머리의 형태를 띠게 된다. 





71번.
비듬에 관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비듬이 심해지면 탈모의 원인이 된다.

② 비듬의 원인균은 황색포도상구균이다.

③ 비듬의 발생빈도는 성별이나 계절, 연령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④ 비듬은 피부가 건조해지기 쉬운 겨울에 비듬 발생이 쉽다.

⑤ 비듬치료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화장품 주성분은 징크피리치온이 대표적이다.

정답은,
2번

해설.
비듬의 원인균은 '말라세시아' 라는 진균이다.





72번.
피부 유형별 발생원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표피수분부족 건성피부 - 외부환경에 의해 발생

② 진피수분부족 건성피부 - 심한 다이어트, 과다한 자외선과 공해에 의한 진피손상 등의 원인

③ 지성피부 - 날씨에 따른 온도변화, 자외선 등의 요인

④ 모세혈관 확장피부 - 추위, 바람, 알코올, 자외선 등이 요인

⑤ 여드름 피부 - 모공입구의 폐쇄로 피지 배출이 잘 안되어 발생

정답은,
3번

해설.
• 지성피부 - 피지의 과다 분비





73번.
맞춤형화장품 관련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기존 화장품 또는 수입 화장품의 소분, 대용량 벌크제품을 개인에게 판매할 수 있도록 소량으로 소분할 수 있다.

② 2020년 1월 1일부터 화장품 착향제 구성성분 중 알레르기 유발성분의 표시가 의무화되었다.

③ 제품 선택 시 특정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는 소비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안전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④ 화장품에 사용된 착향제 구성성분 중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된 경우 이를 표기한다.

⑤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에는 0.1% 초과 시 표기하고, 사용 후 씻어내지 않은 제품에는 0.01% 초과 시 표기한다.

정답은,
5번

해설.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에는 0.01% 초과 시 표기하고, 사용 후 씻어내지 않은 제품에는 0.001% 초과 시 표기한다.





74번.
1차 포장 또는 2차 포장에는 화장품의 명칭, 화장품 책임판매업자의 상호, 가격, 제조번호와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만을 기재 · 표시할 수 있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내용량이 10ml 이하 또는 10g 이하인 화장품의 포장

② 내용량이 20ml 이하 또는 20g 이하인 화장품의 포장

③ 내용량이 30ml 이하 또는 30g 이하인 화장품의 포장

④ 내용량이 50ml 이하 또는 50g 이하인 화장품의 포장

⑤ 내용량이 100ml 이하 또는 100g 이하인 화장품의 포장

정답은,
1번

해설.
※ 1차 포장 또는 2차 포장에 화장품의 명칭, 화장품 책임판매업자의 상호, 가격, 제조번호와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개봉 후 사용기간을 기재할 경우에는 제조연월일을 병행 표기하여야 함)만을 기재 · 표시할 수 있는 기준
• 내용량이 10ml 이하 또는 10g 이하인 화장품의 포장
• 판매의 목적이 아닌 제품의 선택 등을 위하여 미리 소비자가 시험 · 사용하도록 제조 또는 수입된 화장품의 포장(가격 대신에 견본품이나 비매품으로 표시함)





75번.
실증자료가 있으면 표시 · 광고를 할 수 있는 표현이다. 
표시 · 광고할 수 있는 표현과 실증자료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이 적합 - 인체적용 시험자료 제출

② 콜라겐 증가, 감소 또는 활성화 - 기능성 화장품에서 해당 기능을 실증한 자료 제출

③ 부기, 다크서클 완화 - 인체적용 시험자료 제출

④ 피부노화 완화 - 기능성 화장품에서 해당 기능을 실증한 자료 제출

⑤ 피부혈행 개선 - 인체적용 시험자료 제출

정답은,
4번

해설.
• 피부노화 완화 - 인체적용 시험자료 또는 인체 외 시험자료 제출





76번.
파우더혼합 제형이란 안료, 펄, 바인더, 향을 혼합한 제형으로 이에 해당하는 제품이 아닌 것은?

① 페이스파우더

② 비비크림

③ 투웨이케익

④ 치크브러쉬

⑤ 아이섀도우

정답은,
② 비비크림

해설.
비비크림은 파우더 형태가 아닌 액체 또는 크림형태의 베이스메이크업 제품으로, 주로 파운데이션, 자외선 차단제, 보습제 등의 기능이 결합되어 있다.

※ 파우더혼합 제형에 해당하는 제품
페이스파우더, 팩트, 투웨이케익, 치크브러쉬, 아이섀도우 등





77번.
혼합 · 소분활동에 적절한 행동이 아닌 것은?

① 세척한 시설 · 기구는 건조시에 오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다음 사용 시까지 가능한 간격을 적게하여 건조 전에 바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② 소분 전에는 손을 소독 또는 세정하거나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③ 혼합 · 소분에 사용되는 시설 · 기구 등은 사용 전후에 세척한다.

④ 세제 · 세척제는 잔류하거나 표면에 이상을 초래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⑤ 원료 및 내용물은 가능한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소에 보관한다.

정답은,
1번

해설.
세척한 시설 · 기구는 잘 건조하여 다음 사용 시까지 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가능한 간격을 적게하여 건조 전에 바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78번.
화장품 유리용기로 투명도가 높고 빛의 굴절률이 매우 크며 크리스탈유리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고급향수병에 사용되는 유리는?

① 장식용 유리

② 소다석회 유리

③ 칼리 납유리

④ 유백유리

⑤ 강화유리

정답은,
③ 칼리 납유리

해설.
칼리 납유리는 산화납(PbO)이 다량 포함되어 투명도가 매우 높고 빛의 굴절률이 뛰어나 보석처럼 반짝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크리스탈유리라고도 부른다.
일반유리보다 무겁고 밀도가 높으며, 절단 및 가공이 용이하여 섬세한 디자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급 향수병, 와인잔, 샹들리에 등에 사용된다.





79번.
유화분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W/O 에멀젼은 외상이 오일이다.

② W/Si 에멀젼은 외상이 실리콘으로 친유성인 피부표면과의 친화도가 높아서 부드러운 사용감을 준다.

③ W/Si 에멀젼은 발수력이 있어 화장이 오래 지속되어 화장붕괴가 일어나지 않아 색조화장품에 많이 응용되는 제형이다.

④ 실리콘은 특유의 실키한 사용감으로 끈적이지 않는다.

⑤ 휘발성 실리콘은 화장이 뭉치는 단점이 있다.

정답은,
5번

해설.
휘발성 실리콘은 빠르게 증발하여 끈적임 없이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고, 화장이 뭉치지 않고 피부에 고르게 도포하는 데 도움을 준다.





80번.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된 성분의 기재 · 표시를 생략하려는 경우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소비자가 모든 성분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포장에 전화번호나 홈페이지 주소를 적을 것
나. 모든 성분이 적힌 책자 등의 인쇄물을 판매업소에 늘 갖추어 둘 것
다. 내용량이 10ml 이하 또는 10g 이하인 화장품의 포장
라. 판매의 목적이 아닌 제품의 선택 등을 위하여 미리 소비자가 시험 · 사용하도록 제조 또는 수입된 화장품의 포장

① 가, 나

② 가, 다

③ 가, 라

④ 나, 다

⑤ 나, 라

정답은,
① 가, 나

해설.
※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된 성분의 기재 · 표시를 생략하려는 경우
• 소비자가 모든 성분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포장에 전화번호나 홈페이지 주소를 적을 것
• 모든 성분이 적힌 책자 등의 인쇄물을 판매업소에 늘 갖추어 둘 것


※ 1차 포장 또는 2차 포장에 화장품의 명칭, 화장품 책임판매업자의 상호, 가격, 제조번호와 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만을 기재 · 표시할 수 있는 경우
• 내용량이 10ml 이하 또는 10g 이하인 화장품의 포장
• 판매의 목적이 아닌 제품의 선택 등을 위하여 미리 소비자가 시험 · 사용하도록 제조 또는 수입된 화장품의 포장





81번.
염모제의 제2제는?

①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② 과산화수소

③ 에탄올아민

④ 디에탄올아민

⑤ 컨디셔닝 성분

정답은,
② 과산화수소

해설.
• 염모제의 제1제 :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컨디셔닝 성분
• 염모제의 제2제 : 과산화수소





82번.
다음 중 화장품의 유성원료가 아닌 것은?

① 오일류

② 정제수

③ 고급지방산류

④ 고급알코올류

⑤ 탄화수소류

정답은,
② 정제수

해설.
※ 화장품의 유성원료

오일류, 왁스류, 고급지방산류, 고급알코올류, 탄화수소류, 에스터류, 실리콘류 등





83번.
다음 <보기> 중 중대한 유해사례에 해당하는 항목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가. 사망을 초래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
나. 일시적인 부작용을 초래하는 경우
다. 오사용으로 인한 트러블의 경우
라. 선천적 기형 또는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

① 가, 나

② 가, 다

③ 가, 라

④ 나, 다

⑤ 나, 라

정답은,
③ 가, 라

해설.
※ 중대한 유해사례
• 사망을 초래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
• 입원 또는 입원기간의 연장이 필요한 경우
• 지속적 또는 중대한 불구나 기능저하를 초래하는 경우
• 선천적 기형 또는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
• 기타 의학적으로 중요한 사항





84번.
관능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화장품 관능검사란 화장품의 적합한 관능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관 · 색상검사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② 화장품의 관능검사란 화장품의 적합한 관능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향취 검사, 사용감 검사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③ 관능검사란 여러 가지 품질을 인간의 오감에 의하여 평가하는 제품검사를 말한다.

④ 기호형이란 관능검사에는 좋고 싫음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⑤ 분석형이란 표준품 및 한도품 등 기준과 비교하여 합격품, 불량품을 객관적으로 평가 · 선별하거나 사람의 식별력 등을 조사하는 유형이다.

정답은,
4번

해설.
기호형이란 관능검사에는 좋고 싫음을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85번.
점도를 측정할 때의 우레보데형 점도계의 점도단위로 맞는 것은?

① cSt

② PS

③ cP

④ eps

⑤ ml

정답은,
1번

해설.
• 우레보데형 점도계의 점도 단위 : 센티스톡스(cSt)
• 브룩필드형 점도계의 점도 단위 : 센티푸아즈(cP)





86번.
맞춤형화장품 안전성의 입증자료에 대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단회투여독성시험자료

② 1차 피부자극시험자료

③ 안점막자극 또는 기타 점막자극시험자료

④ 피부감작성 시험자료

⑤ 효력시험자료

정답은,
5번

해설.
효력시험자료는 안전성의 입증자료가 아니라, 유효성 자료이다.





87번.
화장품 고분자 소재의 용기 중 딱딱하고 유리에 가까운 투명성과 광택성을 가지며, PVC보다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화장수, 유액, 샴푸, 린스 병으로 이용되는 것은?

① 폴리염화비닐

②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③ 저밀도 폴리에틸렌

④ 고밀도 폴리에틸렌

⑤ 폴리프로필렌

정답은,
②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해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는 화장품 고분자 소재의 용기 중 딱딱하고 유리에 가까운 투명성과 광택성을 가지며, PVC보다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화장수, 유액, 샴푸, 린스 병으로 이용된다.





88번.
혼합 · 소분 시 오염방지를 위한 안전관리기준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혼합 · 소분 전에는 손을 소독 또는 세정하거나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② 혼합 · 소분에 사용되는 장비 또는 기기 등은 사용 전 · 후 세척한다.

③ 혼합 · 소분된 제품을 담을 용기의 오염여부를 사전에 확인 후 바로 사용한다.

④ 원료 및 내용물이 변성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⑤ 유통기한을 확인한 후 내용물을 조제한다.

정답은,
3번

해설.
혼합 · 소분된 제품을 담을 용기의 오염여부를 사전에 확인한 후 항상 소독하여 사용한다.





89번.
다음 <보기>는 안정성 시험의 어떤 유형에 대한 설명이다. 무슨 시험의 내용인지 쓰시오.

<보기>
화장품의 저장조건에서 사용기한을 설정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 물리 · 화학적, 미생물학적 안정성 및 용기 적합성을 확인하는 시험을 말한다.

정답은,
장기보존시험

해설.
장기보존시험이란 화장품의 저장조건에서 사용기한을 설정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 물리 · 화학적, 미생물학적 안정성 및 용기 적합성을 확인하는 시험을 말한다.





90번.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한선의 종류는?

<보기>
피부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약산성의 무색 · 무취이며 체온조절 및 발한에 관련되어 있으며 에크린선이라고도 한다.

정답은,
소한선

해설.
소한선은 피부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약산성의 무색 · 무취이며 체온조절 및 발한에 관련되어 있으며 에크린선이라고도 한다.





91번.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받으며 외부의 자극에 의해 수축되는 것으로, 속눈썹, 눈썹, 겨드랑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모발에 존재하는 것은?

정답은,
기모근

해설.
기모근이란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받으며 외부의 자극에 의해 수축되는 것으로, 속눈썹, 눈썹, 겨드랑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모발에 존재한다.





92번.
맞춤형화장품의 혼합 또는 소분에 사용되는 내용물 및 원료의 제조번호와 혼합 · 소분 기록을 포함하여 맞춤형화장품판매업자가 부여한 번호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은,
식별번호

해설.
식별번호란 맞춤형화장품의 혼합 또는 소분에 사용되는 내용물 및 원료의 제조번호와 혼합 · 소분 기록을 포함하여 맞춤형화장품판매업자가 부여한 번호를 말한다.





93번.
다음은 화장품 원료인 착향제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보기>
착향제란 향을 내는 성분으로 무향료, 무향 제품이 있으며, 착향제 구성성분 중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한 알레르기 유발성분 (  )종이 있는 경우에는 향료로만 표시할 수 없고, 추가로 해당 성분의 명칭을 기재한다. 
이처럼 향료로만 표시할 수 없고 해당 성분의 명칭을 기재하여야 하는 기준은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에서는 0.01% 초과, 사용 후 씻어내지 않는 제품에서는 0.001% 초과하는 경우’에 한한다.

정답은,
25

해설.
착향제란 향을 내는 성분으로 무향료, 무향 제품이 있으며, 착향제 구성성분 중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한 알레르기 유발성분 25종이 있는 경우에는 향료로만 표시할 수 없고, 추가로 해당 성분의 명칭을 기재한다. 
이처럼 향료로만 표시할 수 없고 해당 성분의 명칭을 기재하여야 하는 기준은 ‘사용 후 씻어내는 제품에서는 0.01% 초과, 사용 후 씻어내지 않는 제품에서는 0.001% 초과하는 경우’에 한한다.





94번.
화장품의 제형 중 원액을 같은 용기 또는 다른 용기에 충전한 분사제의 압력을 이용하여 안개모양, 포말상 등으로 분출하도록 만든 제형은?

정답은,
에어로졸제

해설.
화장품의 제형 중 에어로졸제란 원액을 같은 용기 또는 다른 용기에 충전한 분사제의 압력을 이용하여 안개모양, 포말상 등으로 분출하도록 만든 제형을 말한다.





95번.
다음 <보기>는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단어를 쓰시오.

<보기>
맞춤형화장품은 제조 또는 수입된 화장품의 내용물에 다른 화장품의 내용물이나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   )를 추가하여 혼합한 화장품이다.

정답은,
원료

해설.
맞춤형화장품은 제조 또는 수입된 화장품의 내용물에 다른 화장품의 내용물이나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원료를 추가하여 혼합한 화장품이다.





96번.
다음 <보기>의 내용은 무슨 평가에 관한 설명인가?

<보기>
사람에게 적용 시 효능효과 및 등 기능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로서, 관련 분야 전문의사, 연구소 또는 병원 및 기타 관련기관에서 5년 이상 해당 시험경력을 가진 자의 지도 및 감독 하에 수행평가된 자료

정답은,
유효성 또는 유효성평가

해설.
유효성평가는 사람에게 적용 시 효능효과 및 등 기능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로서, 관련 분야 전문의사, 연구소 또는 병원 및 기타 관련기관에서 5년 이상 해당 시험경력을 가진 자의 지도 및 감독 하에 수행평가된 자료이다.





97번.
다음 <보기>는 천연화장품 및 유기농화장품의 기준에 관한 규정의 내용이다.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보기>
가. 천연화장품은 (   ) 기준으로 천연함량이 전체 제품에서 95%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나. 유기농화장품은 (   ) 기준으로 유기농함량이 전체제품에서 10% 이상이어야 하며, 유기농함량을 포함한 천연함량이 전체 제품에서 95%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정답은,
중량

해설.
• 천연화장품은 중량 기준으로 천연함량이 전체 제품에서 95%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유기농화장품은 중량 기준으로 유기농함량이 전체제품에서 10% 이상이어야 하며, 유기농함량을 포함한 천연함량이 전체 제품에서 95%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98번.
다음 <보기>는 내수성 자외선차단지수 관련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은?

<보기>
침수 후의 자외선차단지수가 침수 전의 자외선차단지수의 최소 (  )% 이상을 유지하면 내수성 자외선차단지수를 표시할 수 있다.

정답은,
50

해설.
침수 후의 자외선차단지수가 침수 전의 자외선차단지수의 최소 50% 이상을 유지하면 내수성 자외선차단지수를 표시할 수 있다.





99번.
다음 <보기>의 내용인 안전성 시험별 시험항목은?

<보기>
가. 제품과 용기 사이의 상호작용
나. 용기의 제품흡수, 부식
다. 용기의 화학적 반응

정답은,
용기적합성

해설.
용기적합성 시험은 제품과 용기 사이의 상호작용(용기의 제품흡수, 부식, 화학적 반응 등)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100번.
다음 <보기>는 보습제의 조건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보기>
가. 적절한 보습력이 있을 것
나. 환경변화에 흡습력이 영향을 받지 않을 것
다. 피부친화성이 높을 것
라. 응고점이 (      ), 휘발성이 없을 것
마. 다른 성분과 잘 섞일 것

정답은,
낮고

해설.
보습제의 보습 성분이 상온에서 고체로 굳어버리지 않고 액체 또는 반고체 상태를 유지해야 되기 때문에, 보습제는 응고점이 낮고, 휘발성이 없어야 한다.





아래에 실전테스트로 들어가시면 

CBT 테스트를 해볼 수 있습니다. 




*실전테스트는 
모든 문제를 풀어야 
점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