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부미용사(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피부 과학 및 유형 분석
1-1. 피부의 기본 구조와 기능
멜라닌 색소 생성층: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는 표피의 기저층에 있는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만들어집니다.
피부의 기능: 보호 작용, 체온 조절 작용, 호흡 작용, 그리고 자외선 조사에 의한 비타민 D 합성 작용이 있습니다. 비타민 A 합성은 피부 기능이 아닙니다.
천연 보습 인자(NMF): NMF를 구성하는 성분 중 가장 많은 비중(약 40%)을 차지하는 것은 아미노산입니다.
피부 표면 pH: 일반적인 피부 표면은 약 4.5 ~ 5.5의 약산성 상태를 유지합니다.
피부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감각기관: 통각점이 가장 넓게 분포합니다.
1-2. 피부 유형별 특징
건성 피부: 유·수분이 부족하여 세안 후 당김이 심하고, 잔주름이 쉽게 생기며 화장이 잘 들뜨는 특징이 있습니다.
여드름 피부용 화장품 성분: 살리실산, 글리시리진산, 아줄렌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알부틴은 미백 원료입니다.)
1-3. 피부 분석 및 상담
피부 분석 시기: 피부 관리의 가장 적합한 분석 시기는 클렌징이 끝난 후입니다.
우드 램프 사용: 우드 램프는 자외선 파장을 이용한 분석 기기로, 클렌징을 한 후 주위 조명을 어둡게 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고객 카드 관리: 고객의 피부 상태는 계절과 환경에 따라 수시로 변하므로, 매회 관리 전에 항상 피부분석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고객 카드에 기록해야 합니다.
2. 인체 해부 및 생리
근육의 3가지 형태: 골격근, 심장근(심근), 평활근(내장근)입니다. 후두근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골격계의 기능: 보호, 지지, 조혈, 운동, 저장 기능이 있으며, 열 생산 기능은 골격계의 주 기능이 아닙니다.
입모근(기모근): 모낭에 연결된 근육으로, 추위나 공포 같은 자극에 수축하여 털을 세우는 체온 조절과 관련이 깊습니다.
신경계 연결 부위: 뉴런과 뉴런이 접속하는 부위를 시냅스라고 합니다.
림프 순환 경로: 좌측 상지, 양측 하지는 흉관으로 수송되지만, 우측 상지는 우측 흉관에서 생성된 림프를 수송하는 등 다른 사지와 경로가 다릅니다.
3. 미용 기기 및 전기
직류 (Direct Current, DC): 시간이 흘러도 전류의 방향과 크기가 변함없이 지속적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전류입니다.
전류 관련 단위:
주파수(진동수): Hz (헤르츠)
전류의 세기: A (암페어)
전하량: 쿨롱 (1쿨롱은 1암페어의 전류가 1초에 전달하는 전하의 양)
자외선 파장 및 침투:
UV-A (장파장): 320~400nm. 파장이 가장 길어 피부에 가장 깊게 침투합니다.
UV-B: 290~320nm. 유리에 의해 차단됩니다.
4. 화장품 및 관리
화장품의 정의 (화장품법): 인체의 구조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화장품의 정의에서 제외됩니다. 인체를 청결히, 미화, 매력 증진, 피부·모발 건강 유지/증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작용이 경미한 물품을 말합니다.
피부미용의 개념: 제품뿐만 아니라 매뉴얼 테크닉, 미용 기기 등을 이용하여 피부를 아름답게 가꾸고 유지, 개선시켜주는 전신 미용술입니다. 피부 질환 치료는 의료 영역입니다.
무기 안료의 특성: 내광성(빛에 강함)과 내열성(열에 강함)이 우수합니다. 색상은 화려하지 않으나 커버력이 좋습니다.
아로마테라피: 에센셜 오일은 반드시 희석하여 피부에 사용해야 하며, 산소나 빛 등에 의한 변질을 막기 위해 갈색병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장수의 역할: 세안 후 피부에 남아있는 잔여물을 닦아주고, 수분을 공급하며, 이후 사용할 제품의 흡수를 돕습니다. 각질 제거는 주된 기능이 아닙니다.
5. 위생 및 법규
공중보건학의 대상: 개인보다는 집단 또는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합니다.
공중위생관리법상 조명 기준: 이·미용업소의 조명 기준은 75럭스 이상입니다.
바이러스의 특징: 병원체 중 가장 작고,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합니다. 항생제에 감수성이 없으며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합니다.
세균성 식중독: 살모넬라 식중독이 가장 심한 발열 증상을 동반합니다.
법정 감염병 (제4급): 매독이 제4급 감염병에 속합니다. (B형/C형 간염은 제3급)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