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육처리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식육처리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축산 및 돈육 품종의 이해

식육의 품질과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품종 특성과 구성 성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1. 돼지 품종 및 특성

  • 듀록 (Duroc) 종:

    • 등심이 굵고 햄 부위가 충실하며 근내지방의 침착이 우수하여 육량과 육질이 좋음.

    • 삼원교잡종 생산 시 부계(父系)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품종입니다.

  • 식육의 풍미 (Flavor) 결정 요인:

    • 가축의 종류에 따른 식육의 풍미 차이는 주로 지질 (지방) 성분에 기인합니다.

    • 원료육의 풍미에는 동물의 종류, 성별, 품종, 연령, 사료 등이 영향을 미치며, 도체중은 직접적인 풍미 요인이 아닙니다.



2. 식육의 구조 및 화학적 성분

식육은 단백질, 수분, 지질 등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조는 고기의 성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1. 식육의 일반적인 성분 함량

  • 수분 함량: 일반적으로 65% ~ 75% 정도를 차지합니다.

  • 단백질 함량: 고기의 단백질 함량은 15% ~ 20% 정도입니다.


2-2. 근육의 미세 구조

  • 근원섬유: 근육 수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구조입니다.

  • 근주막 (Perimysium): 근육 전체가 아닌, **근속 (근육 다발)**을 싸고 있는 결합조직의 막을 의미합니다.

  • 근형질막 (Sarcolemma): 근섬유를 싸고 있는 막으로, 식육의 냉동이나 해동 시 쉽게 파괴되어 **육즙 유출 (드립)**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3. 식육의 사후 변화 (사후경직, 숙성, pH)

도축 후 식육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생화학적 변화 과정을 숙지해야 합니다.


3-1. 사후경직 및 pH 변화

  • 사후경직 전 특성:

    • ATP (아데노신 삼인산)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어 근육이 유연합니다.

    • 근육 중 젖산 함량은 아직 높지 않습니다.

  • 정상 돈육의 최적 pH: 신선육 상태에서 pH 5.6 ~ 6.2 범위가 최적입니다.

  • PSE육 (Pale, Soft, Exudative, 창백하고 무르며 삼출성):

    • pH가 최종 5.4 이하로 급격히 낮아져 근육조직 내 유리수 함량이 증가하며 엷은 육색을 나타냅니다.

    • 보수력이 나빠져 육즙 분리, 영양분 손실이 발생하며 풍미는 오히려 감소합니다.

    • 낮은 pH 때문에 미생물 번식은 억제됩니다.

  • DFD육 (Dark, Firm, Dry, 암적색이고 단단하며 건조):

    • 최종 pH가 6.0 이상으로 높게 유지되며, 육색이 암적색을 띱니다.

    • 높은 pH 때문에 미생물 번식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3-2. 숙성 및 냉각

  • 고기 숙성 중 변화:

    • 단백질의 자기소화 (자체 효소 작용)가 일어납니다.

    • 수용성 비단백태질소화합물이 증가하여 풍미가 증진됩니다.

    • 보수력은 숙성 과정에서 향상됩니다 (감소는 틀린 설명).

  • 지육 냉각:

    • 냉각은 보통 24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 너무 빨리 냉각시키면 저온단축 (Cold Shortening) 현상이 발생하여 육질이 저하됩니다.

  • 큰 뼈 주위 부패 (Deep Bone Sour):

    • 도살 후 냉장 조건이 부적당하거나 도체의 온도가 빨리 내려가지 않아 혐기성 부패가 일어날 때 발생합니다.

    • 시큼하고 부패성 냄새가 큰 뼈 주위 깊은 조직 속에서 납니다.



4. 식육의 부위 및 유통/저장

식육의 유통 및 보존을 위한 필수 지식입니다.


4-1. 부위 구분 기준

  • 안심 (Tenderloin): 두덩뼈 아랫부분에서 **제1허리뼈 (요추)**의 안쪽에 붙어 있는 부위입니다.

  • T-Bone (티본) 스테이크: 채끝안심을 함께 포함하는 부위입니다.


4-2. 유통 및 저장 관리

  • 부산물 유통 특성: 부패가 빠르고, 가격이 저렴하며, 지역 유통이 주를 이룹니다. 도축 시 생산량이 결정되므로 수요를 반영한 생산량 조절이 어렵습니다.

  • 냉동 · 냉장 축산물 보존 온도:

    • 냉장: 0°C ~ 10°C

    • 냉동: -18°C 이하

  • 장기 저장 변질: 식육을 -20°C로 냉동 저장해도 지방 산화에 의한 변질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비포장육 냉장 저장 변화: 육색 변화, 지방 산화, 감량은 발생하지만, 미생물은 사멸되지 않고 증식합니다.

  • 방혈 주의사항: 방혈은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육질을 향상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실시해야 합니다.



5. 식육 및 육제품 포장

식육의 보존 기간과 품질 유지를 위한 포장재의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5-1. 포장재의 종류 및 특성

  • 진공포장 적합 재료: 산소 차단성이 가장 우수한 염화비닐라이덴 (PVDC) 필름이 적합합니다.

  • 생육 랩 필름: 유연성과 산소투과성이 좋아 선홍색 육색 유지에 적합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이 사용됩니다.

  • 셀로판: 광택이 좋고 기계적 작업성이 우수하나, 열 접착성이 좋지 않습니다.


5-2. 포장 및 저장 방법

  • 진공포장육: 저장 기간 연장, 건조에 의한 감량 감소, 취급/운송 간편의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혐기성균은 사멸되지 않고 증식할 수 있습니다.

  • DFD육: pH가 높아 미생물 번식이 활발하므로 진공 포장육의 원료로 부적당합니다.

  • 공기조절포장 (MAP) 가스의 기능:

    • 산소 (O₂): 선홍색의 육색 형성에 도움을 줍니다.

    • 질소 (N₂): 포장의 위축을 억제하는 충전재 역할을 합니다.

    • 탄산가스 (CO₂): 정균 작용 (미생물 증식 억제)이 뛰어납니다.

    • 염소가스: 포장에 사용되는 가스가 아닙니다.



6. 육제품 가공 기술 및 공정

햄, 소시지 등 육제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 첨가물, 기계의 역할과 공정 순서를 이해해야 합니다.


6-1. 육제품 첨가물 및 기계

  • 염지의 역할:

    • 소금: 결착력 증가, 향미 증진, 저장성 증진의 효과가 있으나, 지방 산화 억제는 소금의 주요 역할이 아닙니다.

    • 아질산염 (질산염): 육제품 제조 시 **Clostridium botulinum (보툴리누스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유화 기능 기계: 소시지 제조 시 고기를 세절하여 유화시키는 기계는 **사일런트 커터 (Silent Cutter)**입니다.

  • 분쇄기 구성 요소: 스크루 (Screw), 플레이트 (Plate), 칼날 (Knife)로 구성되며 **볼 (Bowl)**은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 스타터 미생물 (Starter Culture): 발효 및 건조 소시지인 살라미류 제조에 주로 첨가됩니다.


6-2. 제조 공정 및 기준

  • 베이컨 제조 공정 순서:

    • 정형 염지 수침 훈연 냉각

  • 훈연의 목적: 풍미 증진, 저장성 증진, 색택 증진, 산화의 방지가 주된 목적이며, 지방산화 촉진은 틀린 설명입니다.

  • 프레스 햄 (Press Ham): 저렴한 원료육을 결착재로 결합시켜 다양한 모양/크기로 제조한 육제품입니다.

  • 원료육 냉각 기준: 돼지고기는 도살 후 24시간 이내에 5°C 이하로 냉각 · 유지해야 합니다.

  • 통조림 탈기의 목적: 캔의 팽창 방지, 내용물의 산화 방지 (품질 변화 방지) 등이 있으며, 혐기성 세균의 발육 억제는 탈기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닙니다.



7. 위생, 안전 및 법규 (HACCP 및 독성)

식품 안전과 관련된 법규, 위생 관리 방법, 미생물 지식은 시험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7-1. 위생 및 살균

  • 소독제: 손이나 그릇의 소독에 가장 적합한 것은 **역성비누 (4급 암모늄 화합물)**입니다.

  • 고압증기멸균 조건: 기구 등에서 아포를 형성하는 세균의 살균을 위해 121°C, 15 ~ 20분이 표준 조건입니다.

  • 식육매장/도구 소독: 스팀 세척, 자외선 조사, 차아염소산나트륨 분무 등이 적합하며, 중성세제 거품 세척은 세척에 해당하며 살균/소독 방법이 아닙니다.

  • 예랭실 관리: 예랭실 바닥은 마르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아니라, 미생물 번식을 줄이기 위해 건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도축장 위생: 도축장 위생이 나쁘면 지육 오염이 심해져 고기의 저장성은 저하됩니다.


7-2. 미생물 및 검사법

  • 미생물 증식 시기: 미생물이 가장 왕성하게 증식하는 시기는 대수기입니다.

  • Methylene Blue 환원 시험법: 식육이나 우유 등에서 미생물량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시험법입니다.

  • 신선도 화학적 검사: 휘발성 아민, 휘발성 산, pH 측정 등이 있으며, Phosphatase (포스파타제) 활성 측정저온 살균유의 완전 살균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 SS 한천 배지: SS 한천 배지에 대장균을 배양하면 불투명하게 혼탁한 집락을 형성합니다. (살모넬라는 중심부가 흑색)


7-3. 식품 안전 및 법규

  • HACCP (해썹): 가축 사육부터 유통 전 과정에서 위해 물질이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기준입니다.

  • 인수공통감염병 (세균성):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의 예로는 탄저가 있습니다.

  • 식육 기생충: 돼지고기를 충분히 가열하지 않고 섭취하였을 경우 감염될 수 있는 기생충은 유구조충입니다.

  • 식품위생법 대상: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및 용기, 포장이 대상이며 식품공장은 대상이 아닙니다.

  • 급성 독성시험: 시험하고자 하는 화학물질을 투여하고 1 ~ 2주간 관찰하는 시험입니다.

  • 방사선 조사 허용 선량: 건조식육에 허용된 방사선량은 안전성을 고려하여 7kGy 이하입니다.


7-4. 유해 물질 및 용기

  • 환경호르몬: 생물체에 흡수되면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거나 혼란케 하는 화학물질입니다.

  • 카드뮴 도금 용기: 카드뮴은 산에 약하여 용출 위험이 있으므로, 중성 및 알칼리성 식품에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 병든 동물 판매 금지: 구제역, 강제로 물을 먹인 가축 등과 함께, 인체에 위해를 끼칠 우려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를 제외한 모든 병든 동물의 고기는 판매 금지 대상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