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가공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식품가공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식품 화학 및 영양학 (Food Chemistry & Nutrition)

식품의 성분과 그 특성, 그리고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중요한 영역입니다.


1.1. 식품 성분의 반응 및 특성

  • 효소에 의한 갈변 현상: 사과, 바나나, 감자 등 과일 및 채소를 잘랐을 때 산소와 효소가 반응하여 색이 변하는 현상입니다.

    • 예시: 사과의 갈변

  • 비효소적 갈변 현상: 주로 당과 아미노산의 반응(마이얄 반응) 또는 아스코르빈산의 산화 등으로 발생합니다.

    • 예시: 된장, 간장, 빵의 갈변

  • 콜로이드 상태:

    • 졸 (Sol): 유동성이 있는 액체 상태 (예: 수프, 우유)

    • 젤 (Gel): 반고체 상태로, 냉각 시 굳어져 일정한 모양을 지닙니다 (예: 묵, 젤리, 두부, 삶은 달걀).

  • 지방의 변화: 유지를 알칼리로 가수분해하여 비누를 만드는 과정을 비누화라고 합니다.

    • 산패 시 변화: 산가, 과산화물가는 증가하며, 아이오딘가, 굴절률은 감소합니다.

    • 녹는점: 포화 지방산 함유량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단백질의 구조: 아미노산 배열순서는 1차 구조이며, 알파-나선 구조베타-병풍 구조2차 구조에 해당합니다.


1.2. 영양소와 분석법

  • 에너지원 (열량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3대 영양소)

  • 생리 조절 기능 (조절소): 비타민, 무기질, 물 (열량을 내지 않음)

  • 무기질 (신경/근육 조절): Ca, K, Mg 등이 신경 자극 전달과 근육 수축/이완을 조절합니다.

    • 황 (S): 뇌, 근육, 골격 구성 및 해독 작용에 관여합니다.

  • 쌀의 주요 비타민: 주로 비타민 B군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이 풍부합니다.

  • 칼슘 흡수 방해: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에 많은 성분은 칼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 단백질 정량법: 식품 중의 질소량을 측정하여 단백질량으로 환산하는 **켈달법 (Kjeldahl법)**을 사용합니다.

    • 계산 예시: 질소 함량 x 질소계수 (6.25) = 단백질 함량

  • 알칼리성 식품: 채소, 과일, 대두, 우유 및 유제품, 멸치 등

  • 산성 식품: 곡류, 육류, 난류, 치즈 등


1.3. 식품 측정 기기 및 단위

  • 조직감 측정: 텍스투로미터 (Texturometer)

  • 수분 보호 및 건조: **데시케이터 (Desiccator)**는 건조된 시료가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 회분 정량 온도: 직접회화법 사용 시 550°C ~ 600°C

  • 떫은맛 성분: 카테킨 (Catechin)



2. 식품 위생 및 안전 (Food Hygiene & Safety)

식품으로 인한 위해 요소를 방지하고 안전한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지식입니다.


2.1. 식중독 및 미생물

  •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 독소형 식중독이며, 생성된 장독소 (Enterotoxin)는 내열성이 강하여 100°C에서 30분간 가열해도 파괴되지 않습니다.

    • 주로 도시락, 김밥 등 탄수화물 식품에서 발생합니다.

  • 리스테리아증 (Listeriosis): 리스테리아균은 10% 소금 농도나 낮은 온도(0°C ~ 5°C)에서도 증식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의 증식: 바이러스는 세균과 달리 자체 증식이 불가능하며, 반드시 숙주가 존재해야 증식이 가능합니다.

  • 어패류 부패 생성물: 황화수소 (H2S), 암모니아, 아민류 등이 생성됩니다. 히스티딘은 필수 아미노산으로 부패 생성물은 아닙니다.


2.2. 감염병 및 독소

  • 경구 감염병 (여름철 발생 이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세균의 증식이 용이하고, 파리 등의 매개체가 많으며, 야외 활동 증가로 감염 기회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 인수공통감염병: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감염되는 질병입니다.

    • 예시: 탄저병, 결핵, 큐열, 공수병(광견병), 브루셀라증

    • 주의: 병원성 대장균 감염증은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 곰팡이 독소:

    • 맥각 중독: 호밀, 보리 등에 기생하는 맥각균이 생성하는 **에르고톡신 (Ergotoxin)**이 원인입니다.

    • 독버섯 독소: 아마니타톡신 (Amanitatoxin), 무스카린 등이 있습니다.

  • 기생충: 요충은 항문 주위에서 산란하며, 긁은 손을 통해 직접 경구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3. 식품 안전 관리 및 첨가물

  • HACCP 7원칙 (주요 관리 체계):

    1. 위해요소 분석

    2. 중요관리점 (CCP) 결정

    3. 한계기준 설정

    4. 모니터링 체계 확립

    5. 개선 조치 방법 수립

    6. 검증 절차 및 방법 수립

    7. 문서화 및 기록 유지 방법 설정

  • 식품 첨가물:

    • 팽창제: 빵, 과자 등의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이산화탄소 (CO2) 등을 발생시키는 첨가제입니다.

    • 보존료: **안식향산 (Benzoic Acid)**은 간장, 음료, 잼류 등에 보존료로 사용됩니다.

  • 소브산칼륨 사용량 계산: 소브산의 분자량을 이용하여 소브산칼륨의 사용 가능량을 계산합니다.

    • (소브산칼륨 분자량 / 소브산 분자량) x 소브산 사용 기준



3. 식품 가공 및 저장 (Food Processing & Preservation)

식품을 저장하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공정입니다.


3.1. 저장 및 살균

  • 장기간 저장: 미생물과 포자를 완전히 사멸시키는 고온살균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방사선 조사: 감마선은 투과력이 뛰어나 포장된 상태의 식품도 살균할 수 있습니다.

  • 동결 건조 (Freeze Drying):

    • 복원성이 우수하고, 향기나 휘발성 물질의 손실이 적습니다.

    • 수분 함량이 극히 낮아 효소적 갈변이나 분해 반응이 최소화됩니다.


3.2. 유제품 및 축산 가공

  • 우유 균질화 (Homogenization): 지방구를 잘게 쪼개어 2 um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로 만듭니다. 이는 지방구의 부유(크림화) 현상을 막고 소화를 돕습니다.

  • 버터 제조 공정:

    • 상전환: 크림(수중유탁액, O/W)이 버터(유중수탁액, W/O)로 바뀌는 과정입니다.

    • 연압 (Working): 버터의 조직을 치밀하게 만들고, 수분함량을 조절하며, 첨가된 소금을 고루 분산시키는 주된 목적의 작업입니다.

  • 치즈 분류 기준: 치즈의 수분 함량에 따라 경도(Hardness)가 결정되고 분류됩니다.

  • 육류 사후 변화: 도축 직후 근육의 pH는 낮아지고, 사후 강직이 발생하여 연도가 떨어집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가 분해 효소 작용으로 다시 연도가 증가합니다.

  • 프레스 햄 제조: 익히기(가열)를 통해 결착력을 향상시킵니다.


3.3. 기타 가공 및 단위 조작

  • 두부 응고제: 단백질을 응고시키는 데 사용되며, 염화칼슘 (CaCl2), 황산칼슘 (CaSO4), 염화마그네슘 (MgCl2) 등이 있습니다.

  • 과실초 제조 공정: 원료 → 부수기 → 조정 → 담기 → 알코올 발효 → 짜기 → 초산 발효

  • 충격형 분쇄기: 핀밀 (Pin Mill), 해머 밀 (Hammer Mill), 볼 밀 (Ball Mill) 등이 있습니다.

  • 유속 측정 기구: 벤투리미터 (Venturimeter)

  • 통조림 밀봉기 (Seamer) 3요소: 시밍 척 (Chuck), 리프터 (Lifter), 시밍 롤 (Roll)

  • 소건품: 수산물을 그대로 또는 간단히 전처리하여 말린 제품입니다 (예: 마른 오징어, 김).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