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10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10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메이크업 기본 개념 및 역사

  • 메이크업 기본 개념 (장식설): 아름다운 부분을 돋보이고자 하는 욕망으로부터 유래하며, 미용의 근본적인 목적 중 하나입니다.

  • 화장의 뜻: 개화 이전에 사용하던 야용과 함께 얼굴 화장을 일컫는 말입니다.

  • 바로크 시대 미용 특징:

    • 퐁탕주형의 헤어스타일이 유행했습니다.

    • 남녀 모두 패치 (Patch) 를 사용했습니다.

    • 몸의 악취를 감추기 위해 향수가 크게 유행했습니다.

  • 로코코 시대 미인형: 긴 웨이브에 퐁탕주를 쓰고 흰색 분을 바른 머리에 홍조를 띠거나 붉은 연지를 칠한 형태입니다.

  • 패션쇼 현장 메이크업:

    • 글로시 메이크업 (Glossy Makeup): 파우더 사용을 절제하고 촉촉하고 윤기 있는 피부 표현을 강조하는 메이크업입니다.

  • 한국 화장 역사 (1970년대): 계절별 중점 미용법 (봄 입술, 여름 자외선 차단, 가을 눈화장, 겨울 기초 손질)이 정착된 시기입니다.

  • 메이크업 숍 안전 관리: 정기적인 점검과 일지 작성을 통해 안전과 위생을 최우선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2. 피부 과학 및 해부학

  • 표피층의 순서 (바깥에서 안으로): 각질층 – 투명층 – 과립층 – 유극층 – 기저층

  • 표피층 중 가장 두꺼운 층: 유극층

  • 피부 색상 결정 요소: 멜라닌 색소, 카로틴 색소, 헤모글로빈. (엘라스틴은 탄력 섬유로 색상 결정 요소가 아님)

  • 얼굴 부위별 특징:

    • S-zone: 볼 부분으로 피부에 볼륨감이 있고 화장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 부위입니다.



3. 메이크업 제품 및 시술 테크닉

  • 고객 상담 목적: 얼굴 형태 및 특성 파악, 고객의 심리적/정서적 특성 파악, 메이크업 방향과 보완책 설명. (피부 상태 파악은 필수 과정이며 생략할 수 없습니다.)

  • 파운데이션 테크닉:

    •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펴 발라줍니다.

    • 슬라이딩 기법: 스펀지를 밀듯이 활용하여 펴 바르는 기법입니다.

    • 뭉침을 방지하기 위해 한꺼번에 다량을 사용하지 않고 소량씩 펴 바릅니다.

  • 커버 제품:

    • 컨실러: 파운데이션보다 커버력이 높아 점이나 주근깨 등 커버가 필요한 부위에 바릅니다.

    • 파우더: 피지에 의한 광택과 번들거림을 방지하며 블루밍 효과를 줍니다.

  • 아이섀도 컬러 명칭:

    • 하이라이트 컬러: 돌출되어 보이거나 넓게 보이고자 하는 부위에 사용 (은회색, 흰색, 펄이 들어간 연한 핑크색이 효과적).

    • 섀도 컬러: 좁아 보이거나 들어가 보이게 하고자 하는 부위에 사용해 깊이 있는 눈매를 표현.

    • 베이스 컬러: 아이섀도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색상.

  • 메이크업 도구:

    • 스파츌라: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재질이 위생적이며, 메이크업 제품을 덜어 내거나 믹싱할 때 사용합니다. (나무 소재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T. P. O. 메이크업: 메이크업은 시간 (Time), 장소 (Place), 목적 (Occasion)에 따라 색상과 디자인이 달라져야 합니다.

  • 기본 메이크업 시술 주의사항: 메이크업 시 트렌드, 제품 정보 등은 고객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공유해야 합니다.



4. 색채학의 이해

  • 색의 3속성:

    • 채도 (Chroma): 색의 순도입니다.

    • 명도 (Value): 색의 밝기입니다.

    • 색상 (Hue): 빨강, 노랑, 파랑과 같이 색의 이름입니다. (빨강, 노랑, 파랑 등은 유채색입니다.)

  • 먼셀 (Munsell) 표색계:

    • 색상 (H), 명도 (V), 채도 (C)로 규정합니다.

    • 3차원적인 색입체를 구성했습니다.

  • 색의 혼합:

    • 가산 혼합: 빛의 혼합이며, 모든 색을 섞으면 흰색이 됩니다.

    • 감산 혼합: 색료의 혼합이며, 모든 색을 섞으면 검정이 되고, 순색의 강도가 낮아져 어두워집니다.

  • 빛의 범위: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빛의 범위는 가시광선입니다.



5. 소독 및 위생 관리

  • 소독의 정의:

    • 멸균: 병원성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한 상태입니다.

    • 소독: 병원성 미생물의 활동을 약화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입니다.

  • 살균 효과가 가장 높은 방법: 고압증기멸균

  • 소독약 사용 주의사항: 소독약액은 사전에 많이 제조해두지 않고, 필요량만큼씩 만들어 사용해야 합니다.

  • 석탄산 (페놀) 소독 장점: 안정성이 높고 화학변화가 적습니다.

  • 이/미용 기구 소독 약품: 가위, 레이저 등은 70~80%의 알코올이 적당합니다.

  • 시술자 손 소독 방법: 흐르는 물에 비누로 깨끗이 씻거나 70% 농도의 알코올을 적신 솜으로 닦습니다. (락스액은 피부 자극으로 부적합합니다.)

  • 오염물 소독법: 토사물, 분뇨, 배설물 등은 소각법, 생석회, 석탄산 등을 사용하며 일광소독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 과산화수소 수용액 농도: 소독용으로 적당한 농도는 **2.5~3.5%**입니다.



6. 공중보건 및 감염병

  • 감염병 등급:

    • 제3급 감염병: 발진티푸스

    • 제2급 감염병: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콜레라

  • 인수 공통 감염병: 사람과 동물 간에 상호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공수병이 해당됩니다.

  • 식중독 관련:

    • 솔라닌: 감자에 함유되어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는 성분입니다.

    • 보툴리누스균 식중독: 치사율이 가장 높으며 오염된 통조림이나 어패류에 의해 발생합니다.

    • 세균 증식 최적 온도: 25~37ºC

  • 세균 종류:

    • 혐기성 세균: 산소가 없어야 증식하는 균으로 파상풍균 등이 있습니다.

  • 환경 위생 지표:

    •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OD)과 용존산소량 (DO) 관계: BOD가 높으면 (오염도가 높으면) DO는 낮습니다.

  • 매개 동물: 파리에 의해 주로 전파되는 감염병은 장티푸스입니다.

  • 인구 구성형: 피라미드형은 출생률보다 사망률이 낮고, 14세 이하 인구가 65세 인구의 2배를 초과하는 형태로 인구 증가형을 나타냅니다.



7. 영양학 및 산업 보건

  • 영양소 분류:

    • 열량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 생리적 조절 작용 영양소: 비타민, 무기질, 물

  • 직업병: 조종사는 고산병에 해당됩니다. (DJ - 난청, 잠수부 - 잠수병)

  • 산업재해 지표:

    • 건수율: 근로자 1,000명당 발생하는 재해건수.

    • 도수율: 연 근로시간 100만 시간당 발생하는 재해건수.

    • 강도율: 근로시간 1,000시간당 발생한 근로 손실 일수.



8. 화장품학 및 공중위생관리법

  • 기초 화장품의 목적: 피부 세정, 피부 정돈, 피부 보호. (피부 미백은 기능성 화장품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 여드름 발생 가능성이 적은 오일: 호호바 오일

    • 참고: 라놀린, 미네랄 오일,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등은 여드름 유발 가능성이 있습니다.

  • 계면활성제:

    •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세정작용과 기포형성 작용이 우수하여 비누, 샴푸, 클렌징 폼 등에 사용됩니다.

  • 식물성 향료: 꽃, 과실, 종자 등에서 추출합니다. 종류가 다양하나, 자극과 독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천연향 추출 (열대성 과실): 주로 압착법을 사용합니다.

  • 화장품 제조 기술: 가용화, 유화, 분산 기술이 사용됩니다. (산화 기술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 건성 피부 부적합 성분: 살리실산 (에탄올 함유로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기 쉽습니다.)

  • 화장품 포장 필수 기재 내용: 내용물의 용량 및 중량, 사용기한 및 개봉 후 사용시간, 제조번호.

  • 공중위생영업의 종류: 이/미용업, 세탁업, 건물위생관리업 등. (학원 영업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 공중위생관리법 행정처분 (1차 위반):

    • 경고: 지위승계신고를 하지 아니한 때.

    • 영업정지 1월: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영업소 소재지를 변경한 때.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