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조리기능사 필기시험 1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양식조리기능사 필기시험 1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식품 위생 및 기생충


기생충의 중간숙주

  • 폐흡충 (Paragonimus westermani):

    • 제1 중간숙주: 다슬기

    • 제2 중간숙주: 게, 가재

  •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 제1 중간숙주: 물벼룩

    • 제2 중간숙주: 민물고기 (송어, 연어 등)

  • 광절열두조충 (Diphyllobothrium latum):

    • 제1 중간숙주: 왜우렁이 (쇠우렁이)

    • 제2 중간숙주: 민물고기 (붕어, 잉어 등)

  • 요충 (Enterobius vermicularis): 집단감염이 잘 되며, 항문 주위나 회음부에 소양증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


화학적 식중독 및 미생물

  • 메틸알코올 (메탄올): 일반 중독 증상과 함께 시신경의 염증을 일으켜 실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푸른곰팡이: 페니실륨속 (Penicillium) 곰팡이가 대표적입니다.

  • 미생물 크기 순서 (큰 것부터): 곰팡이 > 효모 > 스피로헤타 > 세균 > 리케차 > 바이러스


소독 및 위생 관리

  • 소독제의 살균력 기준: 각종 소독약의 살균력을 나타내는 기준이 되는 것은 석탄산입니다.

  • 식당 종업원 손 소독: 가장 적당한 것은 역성비누 (양성 비누)입니다. 일반 비누와 함께 사용하면 살균효과가 떨어집니다.

  • 자외선 살균 유효 파장: 살균 효과가 가장 큰 파장 범위는 260~280nm입니다.

  • HACCP 기록 보관 기간: 관계 법령에 특별히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 관리되는 사항에 대한 기록은 최소 2년 이상 보관해야 합니다.

  • 조리 기구 위생 관리 (스테인리스 스틸): 거친 솔이나 알칼리성 세제 사용은 부적합합니다. 스펀지를 사용하여 중성세제로 닦아야 합니다.



2. 식품 법규 및 보건

  • 식품 위생 행정의 목적: 국민 보건 증진, 식품 영양의 질적 향상 도모, 식품 위생상의 위해 방지입니다. 식품의 판매 촉진은 목적과 거리가 멉니다.

  • 조리사 면허 결격 사유: 정신질환자 (전문의가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자 제외), 감염병 환자 (B형 간염 환자 제외), 마약이나 그 밖의 약물 중독자, 면허 취소 후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입니다. 파산선고자는 결격 사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모범업소 지정 권한: 식품접객업소 중 모범업소를 지정할 수 있는 권한은 관할 시장, 군수, 구청장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있습니다. (보기에서는 관할시장이 정답)

  • WHO 건강 정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의 완전한 상태를 말합니다. 영양적으로 완전한 상태는 정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안전 교육의 목적: 불의의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입니다. 사후에 예방, 조치하는 것은 목적이 아닙니다.



3. 영양학 및 식품학


영양소 및 성분

  • 비타민 B12 (코발라민): 주로 동물성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급원 식품으로는 조개, 난황(달걀노른자), 어육, 동물의 간 등이 있습니다. 적혈구 합성에 관여합니다.

  • 클로로필 (Chlorophyll): 녹색 색소로 지용성 색소입니다. 산이나 클로로필 분해효소를 만나면 갈색으로 변합니다.

  • 황 함유 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 중 메티오닌과 시스테인이 대표적입니다.

  • 트랜스 지방 발생 원리: 식물성 기름에 수소를 첨가하는 경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 방사능 오염: 방사능 강하물 중 식품 오염과 관련하여 위생상 문제가 되는 것은 화학적으로 칼슘과 비슷한 Sr-90입니다.


식품의 특성 및 변화

  • 소금의 특성:

    • 단맛을 높여줍니다 (맛의 대비 현상).

    • 무기질의 공급원입니다.

    • 제면 공정 시 물성을 향상시킵니다.

    • 물에 대한 용해도 차가 온도에 따라 크지 않습니다. (해설: 용해성이 높아 온도에 따른 큰 차이는 없다.)

  • 전분의 노화 방지: 노화는 수분 30~60%, 온도 0℃일 때 가장 잘 일어납니다.

    • 노화 방지 방법: 유화제 첨가, 수분함량을 15% 이하로 줄이기, 냉동고 (0℃ 이하)에 보관하기.

    • 노화 촉진 (주의): 냉장고 (약 0℃~5℃) 에 보관하는 것은 노화를 촉진하는 방법입니다.

  • 쓴맛 물질과 식품 소재:

    • 테오브로민 (Theobromine): 초콜릿

    • 나린진 (Naringin): 감귤류의 과피

    • 휴물론 (Humulone): 맥주

    • 쿠쿠르비타신 (Cucurbitacin): 오이 꼭지 부분이나 참외의 쓴맛을 냅니다. (도토리는 떫은맛의 타닌이 주성분)



4. 조리 과학 및 기초


계량 및 소화

  • 흑설탕 계량: 용기에 꾹꾹 눌러 담은 후 위를 수평으로 깎아서 계량합니다. (밀가루와 달리 체로 치고 누르지 않으면 안 됩니다.)

  • 소화 효소:

    • 녹말(전분) - 아밀레이스

    • 지방 - 라이페이스

    • 단백질 - 펩신

    • 젖당 (Lactose) - 락타아제 (Lactase). 침 속의 프티알린은 전분을 분해합니다.

  • 맛의 변화 현상:

    • 변조 현상: 쓰거나 신 음식을 맛본 후 물을 마시면 물이 달게 느껴지는 등, 한 가지 맛을 본 직후 다른 맛을 정상적으로 느끼지 못하는 현상입니다.

    • 대비 현상: 주된 맛이 다른 맛과 혼합되어 원래의 맛이 강해지는 현상 (짠맛에 소량의 설탕 추가 등).


조리 방법 원리

  • 전자레인지 조리 원리: 식품 내부의 물 분자를 진동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초단파를 이용합니다.

  • 알코올 살균 효과 농도: 살균력이 가장 강한 알코올 농도는 **70~75%**입니다.

  • 육류의 연화 효소 (식품 소재):

    • 무화과: 피신 (Ficin)

    • 파파야: 파파인 (Papain)

    • 파인애플: 브로멜린 (Bromelain)

  • 레토르트 식품: 플라스틱 필름 파우치에 식품을 넣고 **고압솥 (Retort)**에서 살균 처리한 저장식품입니다. 통조림과 구별됩니다.

  • 보존료가 아닌 것: **아스파탐 (Aspartame)**은 설탕보다 단맛이 강한 감미료입니다. 데하이드로초산, 소브산, 안식향산은 보존료입니다.



5. 서양 조리 실무


조리 기술 및 용어

  • 식재료 썰기 - 슬라이스 (Slice): 덩어리 재료를 위에서 작업대와 직각으로 절단하는 형태입니다. 한식의 편 썰기와 같습니다.

    • 샤또 (Chateau): 길이 5~6cm 정도의 끝은 뭉뚝하고 배가 나온 원통형으로 깎는 방법 (당근, 감자 등).

  • 직접 불에 굽는 방법: 고기나 생선 등을 직접 불에 가까이 굽는 조리법은 **브로일링 (Broiling)**입니다.

  • 고기 양념 과정: 향신료와 소금 등으로 고기의 누린내를 제거하고 향미를 부여하는 과정은 **마리네이드 (Marinade)**입니다.

  • 수프 농후제: 수프의 농도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주재료의 맛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이상적인 **리에종 (Liaison)**입니다.

    • 루 (Roux): 밀가루와 유지를 볶아 만드는 농후제의 기본 재료.

  • 난백 거품 조리: 난백에 거품을 일으켜 설탕을 혼합하여 만드는 것은 **머랭 (Meringue)**입니다.


조리 실무 유의점

  • 곡물의 샐러드 조리: 장시간 부서지지 않게 은근히 익혀야 하므로 **은근히 끓이기 (Simmering)**가 가장 적합합니다.

  • 스튜 조리 불 조절: 지미 성분 (맛 성분)이 우러나오도록 하려면, 처음에는 센 불에서 끓기 시작하면 중간 불로 조정합니다.

  • 샐러드 조리 유의점: 재료를 드레싱에 미리 버무려 간이 들게 두면 물이 빠지므로 절대 금물입니다. 먹기 직전에 버무려야 합니다.

  • 마요네즈 재생 방법: 분리된 마요네즈는 새 난황 한 개에 분리된 마요네즈를 조금씩 넣으면서 한 방향으로 힘차게 저어 재생시킵니다.

  • 튀기기: 기름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맛과 질감이 떨어지므로, 튀기기 조리 시 불 조절에 가장 유의해야 합니다.

  • 조리된 냉동식품 해동: 식중독균 증식을 막기 위해 상온 해동은 금물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가열 해동 (급속 해동, 예: 전자레인지) 또는 저온 해동입니다.


파스타 및 빵

  • 파스타 밀 종류: 파스타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글루텐 함량이 높은 강력분은 **듀럼밀 (Durum Wheat)**입니다.

  • 파스타 완성 과정 (바질 페스토): 변색 방지를 위해 데쳐서 사용하거나 뜨거운 환경에 오래 방치하면 안 됩니다.

  • 조찬용 빵: 영국에서 아침 식사에 먹는 달지 않은 납작한 빵은 **잉글리시 머핀 (English Muffin)**입니다.

  • 복합 조리 방법:

    • 스튜잉 (Stewing)과 브레이징 (Braising)은 건식열 (갈색화)과 습식열 (끓이기)을 겸하는 복합 조리 방법입니다.

    • 글레이징 (Glazing): 채소나 육류 등에 윤기가 흐르게 하는 조리 방법이지만, 복합열이 아닌 습열 조리 방법에 해당합니다. (소스에 졸이거나 끓이는 과정 포함)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