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기관(디젤 엔진) 및 냉각/윤활 장치
1.1. 디젤 엔진의 기본 작동
동력 행정: 흡입 밸브와 배기 밸브가 모두 닫혀 있으며, 폭발이 일어나는 행정입니다.
엔진 회전수 (rpm): 분당 엔진 회전수를 나타냅니다.
실린더헤드 볼트 조임: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여 대각선으로 조여야 합니다.
1.2. 엔진 이상 및 고장 원인
노킹 현상 영향: 연소실 온도 상승, 엔진 손상, 출력 저하가 발생하나, 배기가스 온도는 노킹과 관련성이 적습니다.
압축 압력 저하 원인: 실린더헤드 개스킷 불량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피스톤 고착 원인: 냉각수 부족, 엔진오일 부족, 엔진 과열이 원인입니다. (압축 압력이 높다고 고착되지는 않습니다.)
엔진오일 과다 소비 원인: 피스톤링 및 실린더의 마모, 밸브가이드 마모 등 오일이 연소실로 유입되는 경로의 문제가 원인입니다. (압축 압력이 높은 것은 원인이 아닙니다.)
디젤 엔진 고장과 거리가 먼 것: 윤활펌프의 유압이 높은 것은 순환계통의 문제일 뿐 엔진 고장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닙니다.
1.3. 냉각 및 윤활 장치
라디에이터 구비 조건: 공기의 흐름 저항이 작아야 합니다. 방열량은 크고, 가볍고 강도가 커야 합니다.
냉각수 부족 시 조치: 워터펌프 불량 시에는 바로 교체가 필요합니다.
윤활유의 가장 중요한 성질: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 정도인 점도입니다.
1.4. 연료 및 기타 장치
커먼레일 연료량 조절: 고압 라인의 연료 압력 조절을 통해 연료분사량을 조절합니다.
예열플러그 사용 시기: 기온이 낮을 때 시동을 돕기 위해 사용합니다.
공기청정기 설치 목적: 공기의 여과 및 소음 방지입니다.
과급기 부착 이점: 출력 향상, 회전력 증가, 고지대에서도 출력 감소가 적습니다. (단, 착화지연 시간은 짧아집니다.)
2. 전기 장치
납산 축전지 용량 결정: 극판의 크기, 극판의 수, 황산의 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전기자 철심 절연 이유: 맴돌이 전류(와전류)를 감소시켜 철심의 발열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기동 회로 전압 강하: 전력 공급선의 전압 강하는 0.2V 이하이면 정상입니다.
팬벨트 장력 약화: 발전기 구동이 원활하지 않아 발전기 출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퓨즈 접촉 불량 현상: 과열로 인해 연결부가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방향지시등 빠르게 점멸: 양쪽 전구 중 한쪽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구(램프)**의 손상 여부를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합니다.
축전지 급속 충전 주의사항: 전해액 온도가 **45도 C (섭씨)**를 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며, 충전 시간은 짧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도 단위: 조도의 단위는 **럭스(Lux)**입니다. (루멘은 광속의 단위입니다.)
3. 동력 전달 장치 및 섀시
클러치판 위치: 수동 변속기에서 클러치판은 변속기 입력축의 스플라인에 끼워집니다.
토크 컨버터 구성품: 엔진과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것은 펌프입니다.
클러치식 지게차 동력 전달 순서: 엔진 → 클러치 → 변속기 → 종감속기어 및 차동장치 → 앞 구동축 → 차륜
차속 증속 불능 원인: 클러치 디스크의 과대 마모로 인해 동력 전달이 미끄러지는 것입니다.
파워 스티어링 무거움: 조향 펌프에 오일이 부족하여 유압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분사 노즐 테스터기 측정 항목: 분사 개시 압력과 후적 점검입니다.
고속 주행 타이어 이상 현상: 타이어가 발열로 인해 주름이 잡히는 현상은 스탠딩 웨이브 현상입니다.
공기 브레이크 작동: 브레이크슈를 직접 작동시키는 것은 캠입니다.
4. 유압 장치
유압 모터: 유압 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운동을 하는 기기입니다.
유압 펌프 기호 (정용량형): 펌프 내부의 용량이 고정되어 토출량을 조절할 수 없는 형태입니다.
역류 방지 및 잔류 압력 유지 밸브: 체크 밸브입니다.
자유 낙하 방지 및 배압 유지 밸브: 카운터밸런스 밸브입니다.
작동 및 움직임이 있는 곳의 연결관: 플렉시블 호스가 적합합니다.
캐비테이션 현상: 유압이 진공에 가까워져 기포가 생기고 국부적인 고압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유압/유량 저하 원인이 아닌 것: 오일탱크에 오일이 너무 많은 경우입니다. (오일이 너무 적은 것이 원인입니다.)
5. 안전 및 법규
5.1. 안전 운전 및 작업
지게차 운행 금지 사항: 지게차의 중량 제한은 필요에 따라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운전 종료 시: 연료를 빼낼 필요는 없으며, 레버는 중립, 주차 브레이크 작동, 전원 스위치 차단이 기본입니다.
불안전 적재 시: 빠르게 작업을 진행해서는 안 되며, 안정된 상태를 확인하고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고속도로 주행 시 준수 사항: 모든 승차자는 좌석 안전띠를 매도록 하여야 합니다.
가동 엔진 화재 발생 시: 엔진 시동 스위치를 끄고, ABC 소화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기계 회전부 덮개 설치 이유: 회전 부분과 신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산업 재해 조사 목적: 적절한 예방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실시합니다.
감전/화상 위험 작업: 작업자는 제일 먼저 보호구를 구비해야 합니다.
5.2. 건설기계 법규 및 검사
건설기계 사업 등록 기관: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등록해야 합니다.
임시 운행 허가 사유가 아닌 것: 장비 구입 전 이상 유무 확인을 위한 예비 운행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정기 검사 통지: 검사 신청을 받은 날부터 5일 이내에 검사 일시 및 장소를 통지하여야 합니다.
제동 장치 검사 기준 (편차): 동일 차축 좌우 바퀴 제동력의 편차는 해당 축중의 8% 이내이어야 합니다.
5.3. 안전 표지 해설
회전형 교차로 표지: 로터리나 회전식 교차로가 있음을 알려주는 주의 표지입니다. 교차로 내 회전 차량에게 양보하며 시계 반대 방향으로 통행해야 합니다.
고압 전기 경고 표지: 인체에 위험한 고압의 전기가 흐르고 있음을 경고하는 표지입니다. 감전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접근 금지 및 안전 조치 없이 작업하는 것을 경고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