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굴착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2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기관 (엔진) 및 연료 장치
1. 냉각 장치 및 과열/과냉
수온조절기(서모스탯)의 역할: 엔진 온도를 정상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열림 온도가 낮을 때 (과냉): 엔진의 워밍업 시간이 길어집니다. (냉각수가 빨리 순환되어 엔진이 적정 온도로 올라오지 못함)
전동 팬(Electric Fan): 엔진 시동과 동시에 회전하지 않고, 냉각수 온도 센서에 따라 과열 시에만 자동 작동합니다.
오일 냉각기(Oil Cooler): 엔진오일 온도를 정상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주 기능입니다.
2. 윤활 및 동력 행정
4행정 디젤기관의 동력 행정: 폭발 행정 (연료가 연소하며 피스톤을 밀어내는 행정)입니다.
엔진오일 압력 과다 원인: 엔진오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압력이 상승합니다.
실린더/피스톤 마모 현상:
압축압력 저하 (증가 X)
윤활유 소비량 증가 (실린더 벽의 오일을 제대로 긁어내리지 못해 연소됨)
블로바이(Blow-by) 가스 배출 증가 (연소가스가 피스톤 링을 통과하여 크랭크실로 샘)
3. 디젤 연료 장치
디젤 기관 정지 방법: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연료 공급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연료 고압 분사 장치: **분사 노즐 (인젝터)**이 연료를 고압으로 미세하게 연소실에 분사합니다.
연료 장치 공기 빼기 (에어 빼기) 가능 부분:
분사 펌프의 에어브리드 스크루
연료 여과기(필터)의 벤트 플러그
노즐 상단의 피팅 부분
(주의) 연료 탱크의 드레인 플러그는 가장 아래쪽에 있어 내용물을 배출하는 용도이므로 공기를 뺄 수 없습니다.
터보차저 (과급기):
배기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흡입 공기에 압력을 가하여 기관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입니다.
배기가스 배출을 위한 블로워가 아닙니다.
II. 전기 장치 및 정비
1. 축전지 및 발전기
축전지 방전 확인: 크랭킹 시 기동 전동기는 작동되지 않고, 헤드라이트를 켰더니 빛이 꺼져 버리면 축전지 방전을 의심해야 합니다.
전해액 제조 (안전 수칙): 증류수에 황산을 조금씩 부으면서 잘 젓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황산에 물을 부으면 폭발 위험)
교류 발전기의 특징:
전류 조정기가 필요 없습니다. (전압 조정기만 필요)
저속 회전 시에도 충전이 양호합니다.
경량이고 출력이 큽니다.
전류의 자기작용 응용: 발전기 (전자기 유도 현상 이용)
2. 전동기 및 점검
직류 직권 전동기 (시동 모터): 기동 회전력이 크고, 부하에 따라 회전 속도의 변화가 큽니다. (회전 속도가 거의 일정하다는 설명은 틀림)
운전자의 일상 점검 사항: 엔진 오일량, 냉각수 누출 여부, 유압 오일량 등 육안 및 간단한 조치 가능한 것.
(주의) 오일 쿨러 세척이나 딜리버리 밸브 교환은 전문적인 정비에 속합니다.
방향지시등/제동등 확인 시점: 안전을 위해 운행 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III. 섀시, 동력 전달 및 유압 장치
1. 유압 펌프 및 작동유
피스톤 펌프의 특징:
효율이 가장 높고, 고압 발생이 가능합니다.
토출량의 범위가 넓습니다 (가변 용량 가능).
(단점) 구조가 복잡하여 수리가 어렵습니다. (구조가 간단하다는 설명은 틀림)
유압 액추에이터 기능: 유압 펌프에서 공급된 유압 에너지를 **기계적인 일 (직선/회전 운동)**로 바꾸는 장치입니다.
작동유 과열 시 영향:
점도 저하로 누유되기 쉽습니다.
유압 펌프 등의 효율은 나빠집니다. (좋아진다는 설명은 틀림)
유압 기기의 열변형을 일으키기 쉽고, 작동유의 열화를 촉진합니다.
유압유 교환 판단 조건: 점도의 변화, 색깔의 변화, 수분의 함량 등으로 판단합니다. (유량 감소는 누유 등을 해결 후 보충하는 것이 우선)
2. 유압 밸브 및 필터
시퀀스 밸브 (Sequence Valve): 2개 이상의 분기 회로에서 회로의 압력 등에 의해 작동 순서를 제어하는 밸브입니다.
카운터 밸런스 밸브 (Counter Balance Valve): 자유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배압을 유지하는 밸브입니다. (경사면에서 크롤러 굴삭기의 빠른 하강 방지)
라인 필터 종류: 복귀관 필터, 흡입관 필터, 압력관 필터가 있습니다. (누유관 필터는 없습니다)
필터 여과 입도수 높을 때: 유량 흐름을 과도하게 방해하여 압력 저하를 일으키고,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주행 및 동력 전달
굴삭 작업과 직접 관계 없는 레버: 스윙 제어 레버 (상부 회전)
굴삭기 상부 회전 각도: 360º 회전이 가능합니다.
피벗 회전 (Pivot Turn): 한쪽 주행 레버만 조작하여 회전하는 방식입니다.
트랙 장력 조정: 장력 조정 실린더를 이용하여 트랙 유격을 조정합니다.
저압 타이어 호칭 치수 표시: 타이어의 폭 – 타이어의 내경 – 플라이 수 (단위: 인치)
토크 컨버터 3대 구성 요소: 펌프, 터빈, 스테이터 (오버런닝 클러치는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IV. 법규 및 안전 관리
1. 건설기계 및 도로 교통법
건설기계 관리법의 목적: 건설기계의 효율적인 관리입니다.
특정 건설기계 조종 면허: 트럭 적재식 천공기는 자동차 제1종 대형 운전면허로 조종 가능합니다.
건설기계 정비업 범위: 원동기정비업은 유압 장치를 정비할 수 없습니다.
등록 말소 사유 확인 서류 (도난): 경찰서장이 발행한 도난신고 접수 확인원
황색 등화 시 조치: 정지할 조치를 취하여 정지선에 정지해야 합니다. (교차로 진입 전 20m 거리라도)
중앙선 표시: 황색의 실선 또는 황색 점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서행/일시정지 장소: 가파른 비탈길의 내리막 등이 해당됩니다.
과태료 부과 대상: 운전자가 현장에 없는 주, 정차 위반 차의 고용주 등입니다.
건설기계 검사 연장: 장기간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도 소유자가 원하는 기간으로 연장할 수는 없습니다. (규정된 기간 이내)
2. 안전 및 공구 사용
소화 작업 (유류 화재): 유류 화재(B급) 시에는 절대 물을 부으면 안 됩니다. (모래나 전용 소화기 사용)
안전 점검의 종류: 정기 점검, 수시 점검, 특별 점검이 있습니다. (구조 점검은 종류에 해당하지 않음)
안전 보호구 검정 (필수): 안전모, 보안경, 안전 장갑 등은 검정이 필요합니다. (방한복은 검정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전기 용접 시 보안경 이유: 유해 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가스 누설 검사: 비눗물을 발라 기포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촛불 사용은 위험)
중량물 이동: 체인 블록이나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이동합니다.
스패너 사용: 스패너 작업 시 몸의 균형을 잡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파이프를 끼우거나 너트보다 큰 것을 사용하면 위험)
3. 굴착 작업 안전
도시가스 배관 굴착 시:
도시가스 회사의 입회하에 작업해야 합니다.
가스 배관의 매설 유무를 반드시 도시가스 회사에 조회해야 합니다. (라인마크가 없더라도 직접 굴착해서는 안 됨)
가스 배관 보호판: 장비에 의한 배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지, 보호판 자체가 가스 누출을 직접 막는 것은 아닙니다.
굴삭기 수송 시 붐 방향: 굴삭기를 트레일러로 수송할 때 붐이나 작업 장치는 뒷 방향을 향하도록 해야 합니다.
전기 차단기 (ELB): Earth Leakage Breaker는 누전 차단기를 뜻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