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주기능사 필기시험 1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주류의 분류 및 특성
1.1. 혼성주 (Compounded Liquor / Liqueur)
혼성주는 **증류주(주정)**에 각종 초근목피, 과일 등의 색, 향, 맛을 내는 재료와 당분을 더하여 만든 술입니다. 칵테일 제조 및 식후주(디저트 와인)로 사용되며, 고대에는 약용으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제조법: 증류법, 침출법(Infusion), 에센스법(Essence process), 여과법 등이 있으며, 블렌딩(Blending)은 주된 제조법이 아닙니다.
핵심 종류:
드람부이 (Drambuie): 스카치 위스키 베이스의 리큐르.
그랑 마니에 (Grand Marnier): 오렌지 향의 코냑 베이스 리큐르.
깔루아 (Kahlua): 멕시코산 커피를 주원료로 코코아, 바닐라 향을 첨가한 리큐르.
슬로우 진 (Sloe Gin): 야생 오얏을 진에 첨가해서 만든 빨간색 리큐르.
캄파리 (Campari): 이탈리아의 국민주로 각종 뿌리, 씨, 향초 등 70여 가지 재료로 만든 붉은색의 비터(Bitter) 리큐르.
1.2. 증류주 (Distilled Liquor)
발효된 술이나 기타 주정 원료를 증류하여 알코올 도수를 높인 술입니다.
종류: 위스키, 브랜디, 럼, 진, 보드카, 데킬라, 아쿠아비트 등이 있습니다. (맥주는 양조주)
브랜디 (Brandy): 와인 또는 과실을 발효시켜 증류한 술.
코냑 (Cognac): 프랑스 코냑 지방에서 생산된 브랜디만을 특별히 코냑이라고 부릅니다. 모든 코냑은 브랜디이지만, 모든 브랜디가 코냑은 아닙니다.
숙성: 증류한 브랜디를 화이트 오크 배럴에 담기 전에 화이트 와인을 채워 유해한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위스키 (Whisky):
싱글 몰트 (Single Malt): 100% 맥아를 사용, 동일 증류소에서 생산. (예: 글렌피딕 Glenfiddich)
블렌디드 (Blended): 몰트 위스키와 그레인 위스키를 섞어서 제조. (예: 시바스 리갈, 로얄 살루트, 딤플)
아이리시 위스키: 제임슨 (Jameson)이 대표적입니다.
럼 (Rum): 사탕수수와 당밀이 주원료입니다.
아쿠아비트 (Aquavit): 북유럽 특산주. 어원은 '생명의 물'. 감자를 발효, 증류 후 회향초 씨, 박하, 오렌지 껍질 등 허브로 착향합니다.
한국의 증류주: 문배주 (중요무형문화재 제86-1호, 증류식 소주).
1.3. 양조주 (Fermented Liquor)
곡물이나 과일을 발효시켜 만든 술입니다. (예: 맥주, 와인, 막걸리, 청주)
모주 (母酒): 전주 지방의 해장술. 막걸리에 생강, 대추, 감초 등 한약재를 넣고 끓여 알코올 성분을 거의 제거한 후 계피 가루를 넣어 마십니다. (증류주가 아님)
2. 와인 (Wine)의 이해와 서비스
2.1. 와인의 분류 및 제조
분류 기준:
탄산가스 유무: 스파클링 와인, 스틸 와인 (틀린 연결: 스파클링 와인은 알코올 유무가 아닌 탄산가스 유무로 분류)
맛: 드라이 와인 (Dry), 스위트 와인 (Sweet)
색깔: 로제 와인, 레드 와인, 화이트 와인
빈티지 (Vintage): 포도를 수확한 연도를 의미합니다.
감미 와인 (Sweet Wine) 제조법:
귀부포도 (Noble rot Grape) 사용.
발효 도중 알코올을 강화 (주정 강화).
햇빛에 말린 포도 (건포도) 사용.
참고: 샤프탈리자시옹 (Chaptalization, 발효 시 설탕 첨가)은 감미 와인 제조가 아닌 알코올 함량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독일 리슬링 (Riesling): 독일의 대표 와인. 살구, 사과 등 과실향이 나며, 비교적 알코올 도수가 낮고 달콤한 와인도 많습니다.
알코올 변환: 약 16.5g/L의 당분이 1%의 알코올로 변환됩니다.
2.2. 와인의 결함 및 서비스
부쇼네 (Bouchonné): 와인 코르크가 곰팡이에 오염되어 종이 박스 향취, 곰팡이 냄새 등이 나는 현상 (Cork Taint).
와인 디켄터 (Wine Decanter): 와인에 가라앉은 침전물이 글라스에 같이 따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스파클링 와인 서비스: 코르크를 개봉할 때 '뻥' 소리가 나지 않게 천천히 병을 돌리면서 조심스럽게 열어야 합니다.
소믈리에의 역할:
와인을 주문한 고객 또는 주최자에게 우선적으로 와인 병의 상표를 보여주어 주문 확인.
시음 후 여성부터 차례로 와인을 따르고, 마지막에 호스트에게 서브합니다.
코르크 마개를 주빈에게 보여주어 코르크의 젖은 상태와 냄새를 확인시킵니다.
코르크 마개 특성: 코르크 참나무의 외피로 만들며, 신축성과 밀폐성이 우수합니다. 온도 변화에 민감합니다.
3. 맥주 및 기타 비주류
3.1. 맥주의 분류 및 취급
발효 방식에 따른 분류:
상면발효 (Ale Type): 발효 중 효모가 위로 떠오름. (예: 에일, 스타우트, 포터 맥주)
하면발효 (Lager Type): 발효 중 효모가 아래로 가라앉음. (예: 라거, 필스너, 도르트문더)
라거 맥주 (Lager Beer): 저온 살균되어 저장 가능한 맥주입니다.
생맥주 (Draft Beer) 취급 요령:
온도 유지: 2~3°C의 저장시설 유지. 서비스 시 3~4°C 유지.
압력 유지: 술통 속 압력은 12~14 pound로 일정하게 유지.
원칙 준수: 신선도를 위해 선입선출(FIFO) 원칙을 반드시 지킵니다.
3.2. 기타 비주류
탄산음료의 CO2 (이산화탄소): 미생물 발육 억제, 향기 변화 예방, 청량감과 시원한 느낌 부여. (단맛과 부드러운 맛 부여는 아님)
토닉 워터 (Tonic Water): 무색 투명한 강장제 음료. 구연산, 감미료, 키니네 껍질 등의 엑기스에 당분을 배합하여 만듭니다. (커피 향 첨가는 틀린 설명)
진저 에일 (Ginger Ale): 생강을 주원료로 만든 탄산음료.
커피 향미 평가 순서: 후각 (향기)
$\rightarrow$ 미각 (맛)$\rightarrow$ 촉각 (입안의 느낌).
4. 칵테일 제조 및 바 운영
4.1. 칵테일 종류 및 재료
토디 (Toddy): 뜨거운 물 또는 차가운 물에 설탕과 술을 넣어서 만든 칵테일.
아이리시 커피 (Irish Coffee): 커피 위에 크림을 올린 위스키 베이스의 칵테일입니다. (다른 종류의 커피와 구별됨)
블러디 메리 (Bloody Mary): 주재료 (Base)는 **보드카 (Vodka)**입니다.
맨하탄 (Manhattan Cocktail) 가니시: **체리 (Cherry)**입니다.
싱가폴 슬링 (Singapore Sling): 드라이 진, 체리 브랜디, 레몬 주스 등이 들어가며 토닉 워터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4.2. 바 기물 및 관리
믹싱글라스 (Mixing Glass) 사용 기물: 믹싱글라스에서 제조된 칵테일을 잔에 따를 때 **스트레이너 (Strainer)**를 사용합니다.
글라스 잡는 부위: 스템 (Stem)이 있는 글라스는 스템을, 스템이 없는 글라스는 밑 부분을 잡아 청결을 유지합니다.
바 카운터 요건: 높이 120cm, 넓이 40cm 가량이 적당합니다. 너무 넓으면 고객과의 서비스가 힘들어집니다.
바텐더의 주문 접수: 고객의 글라스가 비기 전에 추가 주문 여부를 여쭤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ortable Bar: 룸 서비스 바, 뱅큇 바, 케이터링 바 등 이동 가능한 바를 말합니다. (웨스턴 바는 해당되지 않음)
저장 관리 원칙: 저장위치 표시, 분류저장, 품질보전. (매상 증진은 직접적인 저장관리 원칙이 아닙니다.)
바 작업대 및 가터레일: 바텐더 정면에 시설하고 높이는 술 붓는 것을 고객이 볼 수 있는 위치가 좋습니다.
5. 영어 표현 및 서비스
'I beg your pardon?' (다시 한번 말씀해 주시겠어요?)의 대체 표현: Excuse me.
Change의 의미:
잔돈 (예: Do you have change for a dollar? / Keep the change.)
변화, 기분 전환 (예: Let's try a new restaurant for a change.)
Bartender의 역할 (Supervisor & Record Management):
A Bartender must supervise his helpers, waiters and waitress.
He must also handle various kinds of records, such as stock control, inventory, daily sales report, purchasing report and so on.
Bartender의 지식: A Bartender should be familiar with the English names of all stores of liquors and mixed drinks.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