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조리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양식조리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식품 위생 및 안전 관리


A. 미생물 생육 및 식중독 관리

  • 미생물 생육 조건: 수분, 온도, 영양분. (햇빛은 미생물 생육의 필수 조건이 아님)

  • 중온세균 최적 발육 온도: 25~37ºC. (일반적 발육 가능 범위는 15 ~55ºC)

  • 세균성 식중독 vs. 경구 감염병:

    • 식중독: 잠복기가 짧음.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를 제외하고는 2차 감염이 거의 없음.

    • 경구 감염병: 잠복기가 일반적으로 길고, 2차 감염이 많음.

  • 단백질 부패 생성물: 단백질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황화수소(H2S), 인돌, 아민류, 암모니아 등 악취를 내는 유해 물질이 생성됩니다. (레시틴은 인지질로 부패 생성물이 아님)

  • WHO 식품위생 정의: 식품의 생육, 생산 및 제조로부터 인간이 섭취하는 모든 단계의 안전성 및 건전성이 요구됨.


B. 유해 물질 및 식품 첨가물

  • 인공 감미료 (사카린나트륨): 사용이 금지된 것이 아니라, 김치, 절임류, 청량음료(유산균 음료 제외), 어육가공품 등 일부 식품에 사용이 제한됩니다.

  • 벤조피렌: 육류의 직화구이나 훈연 중에 발생하는 발암 물질입니다. 화석 연료의 불완전 연소나 태운 식품, 훈제품에 함량이 높습니다.

  • 식품 첨가물의 목적: 식품의 기호성 증대, 부패 및 변질 방지, 제조 및 품질 개량. (유해성 입증은 목적이 아님)

  • 발색제 (색소 고정제): 소시지 등 가공육 제품에서 육색을 고정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합니다.

  • 화학적 식중독 물질 (유독 성분): 포르말린, 붕산, 승홍. (만니톨은 다시마 등에 있는 천연 감미 성분임)

  • 납 (Pb): 700ºC 이하로 구운 옹기독에 음식물을 넣을 경우 용출될 수 있는 유독 성분입니다.

  • 방사선조사식품: 보존성과 위생 품질 향상을 위해 방사선을 쬐인 식품입니다.


C. 개인 및 시설 위생

  • 집단 급식소: 1회 50명 이상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급식소를 말합니다.

  • 집단 급식소 수질 검사: 수돗물이 아닌 지하수 등을 사용할 경우, 2년마다 먹는 물의 수질 기준에 따른 모든 항목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식중독 보고: 식중독 환자를 진단한 의사/한의사는 지체 없이 관할 특별자치시장,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 바퀴벌레 특성: 야간 활동성, 질주성, 군거성(무리 지어 사는 성질), 잡식성. (독립성은 아님)

  • 자외선의 인체 작용: 살균 작용, 구루병 예방, 피부 색소 침착. (열사병 예방과는 거리가 멈)

  • 소화기 보관: 습기가 적고 건조하며 서늘한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 차아염소산나트륨: 과실류나 채소류 등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되는 염소계 살균 소독제입니다.



2. 영양학 및 식품학


A. 영양소의 기능 및 특성

  • 조절소: 신체의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영양소로 비타민, 무기질, 물이 있습니다.

  • 열량소: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1g당 각각 4kcal, 4kcal, 9kcal의 열량을 냄).

  • 지방: 물에 잘 녹지 않고 유기 용매에 녹으며, 포화 지방산은 이중 결합이 없고 상온에서 고체로 존재합니다.

  • 탄수화물: 포도당과 이성체(Isomer) 관계이며 단맛이 가장 강한 당은 과당입니다.


B. 비타민 및 무기질

  • 비타민 D: 햇볕에 말린 생선이나 버섯에 특히 많으며, 자외선이 피부의 프로비타민 D에 작용하여 생성됩니다.

  • 아이오딘 (I): 미역, 다시마 등 갈조류 해조류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카로티노이드 색소:

    • beta-카로틴: 당근, 녹황색 채소 (노란색/주황색)

    • 라이코펜: 토마토, 수박 (붉은색)

    • 푸코잔틴: 다시마, 미역 (갈색)

    • 아스타잔틴: 연어, 새우, 도미 (붉은색)



3. 조리 원리 및 가공


A. 탄수화물 및 단백질 조리

  • 전분의 노화 억제 방법:

    • 수분 함량 조절 (10~15% 이하로 유지)

    • 설탕 첨가 (탈수제로 작용)

    • 0ºC 이하에서 급속 냉동

    • 유화제 사용 (교질 용액의 안정성 증가)

  • 단백질의 열변성: 보통 60~70ºC에서 발생합니다. 단백질에 설탕을 넣으면 응고 온도가 높아져 변성이 늦춰집니다. 전해질이 존재하면 변성 속도가 빨라집니다.

  • 효소:

    • 인버테이스 (Invertase): 설탕을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하여 전화당을 만드는 효소입니다.

    • 아밀레이스 (Amylase): 탄수화물 분해 효소.

    • 라이페이스 (Lipase): 지방 분해 효소.

  • 머랭 (Meringue): 달걀 흰자(난백)의 기포성을 이용하여 만듭니다.

  • 두부 제조: 응고제의 양이 많거나 가열 시간이 길면 두부가 딱딱해집니다.


B. 유지 및 기타 조리

  • 연화 작용력 (버터, 쇼트닝, 마가린, 라드): 라드 > 쇼트닝 > 버터 > 마가린 순으로 연화 작용력이 강합니다.

  • 유지 발연점: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낮을수록 발연점이 높아지고, 유리지방산 함량이 높거나 이물질이 많거나 산패되면 발연점이 낮아집니다.

  • 튀김 시 흡유량: 튀김 재료의 당/지방 함량이 많거나 표면적이 넓을 때 흡유량이 많아집니다.

  • 습열 조리법: 삶기, 끓이기, 찌기. (볶기, 튀기기, 부치기는 건열 조리법임)

  • 영양소 손실: 튀김옷에 알칼리 성분(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면 비타민 B1, B2의 손실을 가져옵니다.


C. 향신료 및 재료 활용

  • 월계수 잎 (Bay Leaf): 상록 관목수의 진녹색 잎으로 상큼한 향과 다소 쓴맛이 나며, 부케가르니를 만들 때 필수적이고 육류나 생선의 냄새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 육류 향미 성분: 질소 함유물,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등이 관계되며 아밀로스는 전분의 노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 생선 비린내 제거: 산(식초, 레몬즙 등), 알코올(술), 우유, 양념(생강, 된장 등)을 사용합니다. 소다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산 (식초/레몬즙) 첨가 효과: 방부성, 생선 가시 연화, 생선 비린내 제거, 어육질 단백질 응고 (육질을 단단하게 함). 콩의 연화에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을 사용합니다.

  • 잼 제조 적합 과일: 사과, 딸기 등은 펙틴유기산이 함유되어 잼 제조에 적합합니다.


4. 급식 및 원가 관리

  • 총 발주량 계산:

    총 발주량 = (정미중량 × 100)/(100 - 폐기율) × 인원수
  • 원가의 종류:

    • 직접 원가: 직접 재료비 + 직접 노무비 + 직접 경비

    • 제조 원가: 직접 원가 + 제조 간접비

    • 총 원가: 제조 원가 + 판매 관리비

    • 판매 가격: 총 원가 + 판매 이익



5. 조리 기구 및 서양 요리 용어

  • 조리 기구:

    • 초퍼 (Chopper): 육류, 채소 등 식품을 다질 때 사용합니다.

    • 슬라이서 (Slicer): 육류, 생선, 야채 등을 일정한 크기로 얇게 썰 때 사용합니다.

    • 브로일러 (Broiler): 열원이 위에 있어 육류, 생선 등을 직접 구울 때 사용합니다.

  • 토마토 가공품:

    • 토마토 페이스트: 토마토 퓌레를 농축시켜 만든 것으로, 가용성 고형분 25%가 기준이며 조미하지 않은 것입니다.

  • 샐러드 기본 구성: 바탕(Base), 본체(Body), 드레싱(Dressing), 가니시(Garnish).

  • 접시의 모양과 느낌:

    • 원형: 완전함, 부드러움, 친밀감.

    • 타원형: 여성적인 기품, 우아함, 원만한 느낌 (전채 요리에 적합).

    • 사각형: 안정되고 세련된, 모던한 느낌.

  • 파스타 종류:

    • 라자냐 (Lasagna): 수제비 밀듯이 넓적하게 네모로 자른 형태.

    • 라비올리 (Ravioli): 만두처럼 소를 넣어 빚은 형태.

    • 푸실리 (Fusilli): 나선형의 파스타.

    • 펜네 (Penne): 마카로니 끝을 대각선으로 자른 모양의 튜브형 파스타.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