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건설기계 기관 및 연료 장치 (Engine and Fuel System)

건설기계의 심장부인 엔진과 그 작동 원리, 그리고 주요 장치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기관 및 냉각 시스템

  • 부동액의 종류: 냉각수의 어는점을 낮추는 부동액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알코올(메탄올) 등이 사용됩니다. 다만, 가연성 가스인 메탄은 부동액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보조 탱크 (리저브 탱크): 냉각수가 온도 변화에 따라 체적이 팽창하거나 수축할 때 이를 흡수하고 보충하는 역할을 합니다. 냉각수 온도를 직접 조절하는 기능은 서모스탯(Thermostat)이 합니다.

  • 공기청정기 역할 및 관리: 공기청정기가 막히면 실린더에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어들어 혼합비가 농후해지고 불완전 연소가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배기 가스가 흑색을 띠게 되고, 기관 출력은 감소하며, 실린더 마멸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디젤 기관 4행정 사이클:

    • 흡입 행정: 실린더 내부에는 공기만이 흡입됩니다.

    • 동력 행정: 압축 행정 말기에 고온의 공기 속에 연료를 분사하면 압축열에 의해 자연 착화하며 연소가 시작됩니다. 연료 분사는 분사됨과 동시에 연소가 시작되는 것은 아닙니다.

  • 밸브 장치: 밸브 스팀(스템)은 밸브 가이드 내부를 왕복 운동하며 밸브 헤드가 받는 열을 방출하고 밸브 개폐를 돕는 부품입니다.


윤활 및 연료 시스템

  • 엔진 오일의 구비 조건:

    • 응고점은 낮아야 시동 시 오일 순환이 원활합니다.

    • 인화점과 발화점은 높아야 안전합니다.

    • 비중과 점도는 적당해야 하며, 기포 발생과 카본 생성에 대한 저항력이 커야 합니다.

  • 유압계: 기관 내부 오일의 순환 압력을 표시하는 계기로, 오일의 양이나 누설 상태를 직접적으로 알려주지는 않습니다.

  • 엔진 오일 압력 경고등 점등 원인: 오일량 부족, 오일 필터나 통로 막힘, 오일 압력 스위치 배선 불량 등으로 압력이 낮아졌을 때 켜집니다.

  • 직접 분사식 디젤기관의 특징:

    • 구조가 간단하고 열효율이 높아 연료 소비량이 적습니다.

    • 냉각 손실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연료 누출 염려가 적다는 설명은 일반적인 장점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2. 건설기계 전기 장치 및 동력 전달 (Electrical and Power Train)

배터리, 발전기 등 전기 장치의 기본 원리와 지게차 동력 전달 장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전기 장치

  • 교류 발전기 (Alternator) 특징:

    • 저속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며, 소형·경량입니다.

    • 교류를 직류로 바꾸기 위해 다이오드를 사용하며, 직류 발전기에서 사용하는 정류자(Commutator)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축전지 연결 및 용량:

    • 직렬 접속: 전압은 2배가 되고 용량은 같습니다. (예: 12V 배터리 2개를 연결하면 24V가 됨)

    • 병렬 접속: 전압은 같고 용량은 2배가 됩니다.

  • 축전지 관리:

    • 단자 식별: 양극(+)은 지름이 굵고, 음극(-)은 가늘며, 부호나 문자(P, N)로 식별합니다. 요철(울퉁불퉁한 정도)로 구별하지 않습니다.

    • 전해액 중화: 축전지 커버에 묻은 전해액(황산)을 중화할 때는 베이킹소다수와 같은 중화제를 사용합니다.

    • 전해액 제조: 반드시 증류수에 황산을 천천히 부어 혼합해야 하며,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비금속제 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 기동 전동기 (스타터 모터): 토크를 발생시켜 엔진을 시동시키는 핵심 부분은 전기자 코일입니다.

  • 연료 잔량 센서: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부특성 서미스터를 이용하여 연료 잔량을 측정합니다.


동력 전달 장치

  • 토크 컨버터 (Torque Converter): 자동 변속기 차량에 설치되며, 유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므로 클러치 페달 조작이 필요 없습니다. 브레이크를 밟고 저속 레버를 위치시킨 후 가속 페달을 서서히 밟아 기동합니다.



3. 유압 장치 및 작동유 (Hydraulic System)

지게차의 작업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장치와 오일의 특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유압 부품 및 작동

  • 유압 장치의 장점: 작은 동력원으로 큰 힘을 낼 수 있고, 운동 방향 변경 및 과부하 방지가 용이합니다. 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 원인 발견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유압 펌프 종류: 액시얼 피스톤 펌프는 플런저(피스톤)가 구동축 방향(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형식입니다.

  • 무부하 밸브 (Unloading Valve): 고압 소용량, 저압 대용량 펌프를 함께 사용하는 조합 운전 시, 작동 압력이 규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저압 펌프를 무부하 상태로 만들어 동력을 절감하는 밸브입니다.

  • 방향 제어 밸브 (Direction Control Valve): 유압 실린더나 유압 모터의 작동 방향을 바꾸고 유체의 흐름 방향을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액추에이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유량 제어 밸브입니다.

  • 쿠션 기구 (Cushion Mechanism): 유압 실린더에서 피스톤의 행정이 끝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합니다.

  • 여과기 (필터) 위치: 흡입 여과기는 탱크용 여과기(스트레이너)에 포함되며, 관로용 여과기에는 라인, 압력, 리턴 여과기가 있습니다.


작동유의 특성

  • 점도 지수: 유압 오일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이 지수가 높을수록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적어 우수한 오일입니다.

  • 보일의 법칙: 온도가 일정할 때 윤활유에 흡수되는 가스의 체적은 가스 압력에 반비례합니다.



4. 건설기계 관리 법규 및 안전 운전 (Regulations and Safe Driving)

법규 위반 시 벌칙, 면허 기준, 도로 통행 방법 등 시험에 자주 나오는 법규 내용입니다.


건설기계 관리법

  • 면허 관련 벌칙: 건설기계 조종사 면허를 받지 않고 조종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 면허 적성 검사 기준:

    • 시력: 두 눈을 동시에 뜨고 잰 시력이 0.7 이상이며,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3 이상이어야 합니다.

    • 시야: 시각은 150° 이상이어야 합니다.

    • 청력: 10m 거리에서 55dB의 소리를 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보청기 사용 시 40dB)

  • 면허 취소 기준: 과실로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인명피해를 입힌 경우 면허는 취소됩니다.

  • 건설기계 등록: 건설기계의 소유자는 취득한 날부터 2개월 이내에 소유자 주소지의 시·도지사에게 등록 신청을 해야 합니다.


도로교통법 및 안전 운전

  • 지게차 주행 시 포크 간격: 화물을 적재하고 주행할 때는 포크 끝단과 지면과의 간격이 20~30cm 정도가 되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 주차 금지 장소: 도로 공사 구역의 왕복 가장자리로부터 5m 이내의 지점에는 주차할 수 없습니다.

  • 서행 의무 장소: 도로가 구부러진 부근, 가파른 비탈길의 내리막, 비탈길의 고갯마루 부근 등 시야 확보가 어렵거나 위험한 장소에서는 서행해야 합니다. 교통정리를 하고 있는 교차로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감속 의무 (최고 속도의 50% 감속): 노면이 얼어붙은 때, 폭우·폭설·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인 때, 눈이 20mm 이상 쌓인 때 등 극단적으로 위험한 상황에 적용됩니다. 단순한 습기가 있는 노면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 조향 (Steering): 조향 기어의 **백래시(Backlash, 유격)**가 클수록 핸들의 유격이 커져 조종이 불안정해집니다.



5. 산업 안전 및 재해 예방 (Industrial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사고의 원인과 예방 대책, 작업 시 안전 수칙에 대한 중요 내용입니다.


사고 예방 이론 및 원인

  • 산업 재해 정의: 근로자가 업무와 관련된 작업이나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합니다.

  • 사고의 직접 원인: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가 가장 직접적인 원인입니다. 사회 환경, 유전적 요소, 성격 결함 등은 간접 원인에 속합니다.

  • 하인리히의 사고 예방 원리 5단계:

    1. 조직 (Organization)

    2. 사실의 발견 (Fact Finding)

    3. 평가 분석 (Evaluation and Analysis)

    4. 시정책의 선정 (Selection of Corrective Policy)

    5. 시정책의 적용 (Application of Corrective Policy)

  • 위험 요인 발견 방법: 산업 재해 방지 대책 수립을 위한 위험 요인 발견에는 안전 점검이 가장 적합합니다.


작업 안전 수칙

  • 해머 작업 안전: 장갑을 끼고 해머 작업을 하지 말아야 하며, 특히 열처리된 장비 부품은 파손 위험이 크므로 해머로 강하게 때리지 않아야 합니다.

  • 장갑 착용 금지: 회전하는 기계(벨트, 기어, 체인)에 신체가 끼일 위험이 있는 작업에는 장갑 착용을 금지합니다.

  • 감전 재해 조치 순서: 가장 먼저 설비의 전기 공급원 스위치를 내려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전원 차단이 불가능할 경우에만 고무 장갑이나 고무 장화 등의 절연 도구를 사용하여 피해자를 구출합니다.

  • 정전 시 조치: 작업 중 정전이 되면 안전을 위해 즉시 스위치를 끄고, 전기가 다시 들어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스위치를 켜두는 행위는 위험합니다.

  • 기계 시설 안전: 기어, 벨트 등 회전 부분에는 반드시 방호 덮개를 씌워야 합니다. 발전기, 용접기, 엔진 등 장비는 작업 동선을 고려하여 분산 배치하는 것이 화재나 작업성을 위해 유리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