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화훼장식의 기초 및 디자인 원리
1.1. 화훼장식의 기본 요소 및 기법
몸 장식의 종류
레이 (Lei): 낚싯줄 같은 끈으로 꽃을 꿰어 행사 때 목에 걸어주는 하와이식 장식입니다.
코사지 (Corsage): 각종 연회나 모임에 사용하는 작은 꽃다발 형태의 몸 장식입니다.
리슬렛 (Wrislet): 손등을 장식하는 코사지입니다.
펜던트 (Pendant): 목걸이, 귀걸이 등 아래로 늘어뜨린 장신구 형태입니다.
디자인 기법
그루핑 (Grouping): 비슷한 종류, 색상, 질감의 재료를 한 곳에 모아 서로의 길이를 다르게 표현하여 꽂는 기법입니다. (향기는 그루핑의 대상에서 가장 거리가 뭅니다.)
베이싱 (Basing): 디자인의 아래쪽을 시각적인 흥미를 위해 장식하는 방법으로, 필로잉, 테라싱, 파베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플로랄폼을 가려줍니다.
파베 디자인 (Pavé Design): 작은 보석을 빽빽하게 배치하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편평한 용기에 꽃, 잎, 줄기 등을 플로랄폼이 보이지 않도록 조밀하게 배치하여 높낮이 차이가 거의 없도록 구성하는 기법입니다.
디자인 요소
리듬 (Rhythm): 조형상의 색, 형태, 질감, 선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나 시각적인 움직임이 연속적으로 되풀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간의 유형
양성적 공간 (Positive Space): 작품에서 소재들이 사용되어 채워진 부분입니다.
음성적 공간 (Negative Space): 디자이너가 의도하지 않은 꽃과 꽃 사이에 생긴 빈 공간을 의미합니다.
선 (Line)의 특성
수직선: 힘, 위엄, 엄격함, 형식적인 분위기를 표현하며 정적인 선에 해당합니다.
수평선: 평화롭고 고요한 분위기, 안정감을 줍니다.
대각선: 동적인 에너지, 강한 시선의 이동을 유도합니다.
깊이감을 주는 방법
줄기선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꽃을 부분적으로 겹치게 배열합니다.
색, 크기, 질감의 변화를 이용합니다.
명도가 낮은 색 (짙은 색)은 앞부분에 낮게, 명도가 높은 색 (밝은 색)은 뒷부분에 높게 배치해야 깊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1.2. 화훼장식의 역사 및 의사전달
서양 미술 양식의 연대 순서
비잔틴 → 고딕 → 르네상스 → 바로크 → 로코코 → 신고전주의 → ...
로코코 시대: 우아하고 가벼운 느낌의 색채와 장식, 곡선 위주이며 파스텔보다 원색을 주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 전통 화훼장식의 발전: 불교장식과 궁중의례장식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화훼장식의 효과: 근조용 헌화 장식은 애도와 같은 감정을 전달하는 의사전달 효과에 해당합니다.
공간 장식 계획 순서: 대상 공간의 특징 및 규모 파악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2. 식물 소재학 및 특징
2.1. 식물 분류 및 생리
난과 식물: 덴파레, 심비디움, 팔레놉시스(호접란), 카틀레야, 반다, 시프리페디움, 덴드로비움 등이 있습니다. (필로덴드론은 관엽식물로 난과가 아닙니다.)
무한화서: 꽃이 꽃대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차례대로 피는 꽃차례입니다. (예: 심비디움, 총상화서)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식물: 산수유가 대표적입니다.
잎의 형태: 한련화(원형), 소나무(침형), 팬지(장타원형), 콜레우스(심장형).
인경 (구근) 분류
무피인경 (비늘줄기): 두터운 인편들이 나선형으로 겹쳐있고 막질이 없는 구근 (예: 나리/백합).
유피인경 (외피 있는 구근): 구의 외부가 막질로 감싸여 있는 구근 (예: 수선, 튤립, 아마릴리스, 무스카리).
꽃의 형태에 따른 분류
폼 플라워 (Form Flower, 형태 꽃): 꽃 모양이 특수하여 시각의 유도가 큰 꽃 (예: 백합, 수선, 안스리움).
필러 플라워 (Filler Flower, 채우기 꽃): 공간을 채워주는 작은 꽃 (예: 안개꽃, 솔리다스터).
2.2. 절화 관리 및 생리 작용
절화 보존제의 역할
에틸렌 발생 억제 및 작용 억제.
에너지원 (당) 제공.
미생물 증식 억제.
수분 증발 억제 (촉진이 아님).
절화 수명 연장 방법
보존 용액은 pH 5 정도의 약산성 용액을 사용합니다.
열대성 절화는 8℃~15℃에서 저장합니다.
절화는 과일 (에틸렌 발생원)과 함께 보관하지 않습니다.
절화 수명연장을 위한 최적의 공중습도는 80~85%입니다.
줄기 처리: 절화의 줄기는 절단면의 면적을 늘려 수분 흡수면적을 넓히기 위해 45° 각도로 사선으로 자릅니다.
호흡 작용과 품질 저하: 저장/운송 시 호흡 작용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양분이 소실되며 포장 내 에틸렌이 집적되어 품질이 저하됩니다. (온도가 저하되는 것이 아니라 높아지는 것이 문제).
식물 호르몬: 에틸렌은 무색무취의 기체로, 식물의 성숙 및 노화를 일으키는 화학구조가 매우 단순한 호르몬입니다.
광중단: 식물의 일장 반응에 있어 야간 동안 광을 쬐어주어 긴 밤의 효과를 없애는 것을 의미합니다.
2.3. 분화 및 환경 관리
배양토의 조건: 일반적으로 pH 5.5~6.0의 약산성이 좋습니다. (산도가 너무 높으면 안 됩니다.) 보수력, 보비력, 배수성, 통기성이 모두 좋아야 합니다.
비료 결핍: 질소 (N) 는 왕성한 생육을 유도하며, 부족하면 잎이 연한 색으로 변하고 오래된 잎에서 결핍 증상이 빨리 나타납니다.
엽면시비: 토양 조건이 나쁘거나 뿌리 기능이 약할 때, 초세를 빨리 회복하기 위해 잎을 통해 액체비료를 흡수시키는 방법입니다.
관엽류 관리: 대부분 열대식물로 그늘에서 잘 자라지만, 저온다습한 조건보다는 적정 온도(8~15℃ 이상)와 습도에서 생육이 왕성합니다. 겨울철 동해나 저온 장해에 주의해야 합니다.
관수 요령: 물을 조금씩 자주 주는 것이 아니라, 한 번 줄 때 흠뻑 주어 화분 밑의 배수공으로 물이 흘러나오게 합니다. 겨울철에는 정오에 관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DIF (주야간 온도차): 주간온도 - 야간온도를 의미합니다. (예: 16℃ - 23℃ = -7℃).
토피어리: 식물의 가지를 전정하여 동물 모양이나 기하학적 형태로 디자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3. 색채학 및 배색의 원리
3.1. 색채 이론
오스트발트 색체계:
노랑, 빨강, 파랑, 초록을 4원색으로 설정합니다.
4원색 사이에 주황, 보라, 청록, 연두의 네 가지 색을 합하여 8색을 기본으로 합니다.
총 24색상으로 이루어지며, 8가지 기본색을 3단계씩 나누어 이 중 2번이 중심 색상이 되도록 합니다.
오방색 (음양오행):
황 (黃): 중앙, 토(土)
청 (靑): 동쪽, 목(木)
백 (白): 서쪽, 금(金)
적 (赤): 남쪽, 화(火)
흑 (黑): 북쪽, 수(水)
색 혼합
가법 혼합 (가산 혼합): 두 가지 이상의 빛을 혼합하며, 혼합할수록 밝아집니다.
감산 혼합: 두 가지 이상의 색소를 혼합하며, 혼합할수록 어둡고 채도가 낮아집니다.
3.2. 배색과 감정 효과
색의 온도감: 가장 차가운 한색은 파랑 계통입니다. (빨강, 주황, 노랑은 난색, 연두, 보라, 자주는 중성색).
보색 관계: 주황색의 나리를 주소재로 사용할 때, 꽃을 가장 강하고 뚜렷하게 보이게 하려면 보색인 파랑색 포장지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배색 비율 (가장 아름다울 때): 주색 70%, 보조색 25%, 강조색 5%의 비율을 사용합니다.
4. 화훼장식 도구 및 소재
철사의 굵기: 철사의 번호는 짝수로 매겨지며, 수가 증가할수록 가는 철사입니다.
코사지 와이어링: 장미 꽃잎은 헤어핀 메서드, 장미꽃은 피어스 메서드, 아이비 잎은 헤어핀 메서드 등이 사용됩니다. 솔리다스터처럼 작은 꽃은 트위스팅법이 적당합니다.
건조법: 실리카겔 건조는 꽃의 자연스러운 색상을 보다 잘 보존해주고 신속하게 말리기 때문에 장미와 같은 꽃을 건조하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포푸리 (Potpourri): 병 속에 향기를 가꾼다는 의미입니다. 꽃, 잎, 열매 등에서 자연적으로 향기가 나는 방향식물 자체를 지칭하는 것은 아닙니다.
부소재: 꽃다발 (Handtied Bouquet) 제작 시 줄기를 묶는 부소재로 라피아가 적합합니다.
테이블 장식 금기: 향기가 진한 꽃이나 꽃가루가 떨어지는 꽃은 테이블 장식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화기: 절화 장식에 사용되는 화기로는 병, 수반, 콤포트 등이 있으며, 테라리움 용기는 절화보다는 분화/식재 장식에 사용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