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주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주류 개론 및 와인 (Wine)
혼성주 (Liqueur): 증류주에 감미와 천연 추출물을 첨가한 술입니다.
증류주 (Spirits): 혼합물의 비등점 차이를 이용해 만드는 술입니다.
식후주: 코냑(Cognac)이 대표적입니다.
레드 와인 품종: 메를로, 삐노 누아, 카베르네 소비뇽이 있으며, 리슬링은 화이트 와인 품종입니다.
이탈리아 와인 등급: DOCG, DOC, IGT, Vino da Tavola의 4등급 체계입니다.
스페인 와인: 만사니야, 몬티야, 올로로쏘 등은 스페인산 백포도주(셰리)와 관련됩니다.
호크 와인: 독일 라인산 화이트 와인을 지칭합니다.
발포성 와인 (나라별): 스페인 - 카바(Cava), 독일 - 젝트(Sekt), 이탈리아 - 스푸만테(Spumante)입니다.
와인 용어: Nose (전체 향), Body (입안의 무게감), Dry (단맛 없음) 등.
아이스 와인: 디저트와 잘 어울리는 단맛이 특징입니다.
2. 증류주 (Spirits) 상세
위스키 원료: 맥아, 보리, 호밀이 주로 사용되며, 감자는 보드카의 원료입니다.
콘 위스키: 원료의 80% 이상 옥수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브랜디 등급: 법적 보증 연수는 코냑의 '별 셋(Three Star)' 등급 정도만 보장됩니다.
럼 (Rum): 사탕수수/당밀로 만든 증류주이며, 일반적으로 단식 증류기(Pot Still)를 사용합니다.
보드카 생산지: 러시아 외에도 폴란드,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생산됩니다.
슬로우 진: 진(Gin)에 야생자두(Sloe Berry) 성분을 첨가한 리큐르입니다.
테킬라: 아가베(용설란)를 주재료로 합니다.
3. 맥주, 리큐르 및 기타
맥주 숙성 온도: -1℃ ~ 3℃가 적합합니다.
호프 (Hop) 사용 목적: 맥아즙의 단백질 등 질소화합물 제거 (응고 및 침전 유도)입니다.
밀맥주: 호가든(Hoegaarden)이 대표적입니다.
샤르트뢰즈: '리큐르의 여왕'이며, 프랑스 수도원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베네딕틴: 병에 D.O.M. (Deo Optimo Maximo)이 표기됩니다.
비터 (Bitter): 앙고스투라, 캄파리, 아메르 피콘 등이 있으며, 갈리아노는 달콤한 약초 술입니다.
청주 제조: 주로 멥쌀이나 찹쌀을 사용하며 현미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탄산음료: 토닉 워터는 뒷맛이 쌉쌀한 맛이 남습니다.
생수 생산지: 셀처수(Seltzer)는 독일산입니다. (비시, 에비앙, 페리에는 프랑스산입니다).
커피 로스팅 순서: American → German → French → Italian 순으로 강해집니다.
에스프레소 추출: 커피 양이 많으면 추출 시간이 길어집니다.
4. 칵테일 조주 기법 및 레시피
휘젓기 (Stirring) 기법: 믹싱 글라스를 사용하며, 알코올 도수가 높고 투명한 술을 섞을 때 사용합니다.
휘젓기 칵테일 예시: 맨하탄, 마티니, 깁슨 (단, 김렛은 셰이킹 기법을 사용합니다.)
흔들기 (Shaking) 기법: 잘 섞이지 않는 재료 (계란, 크림, 시럽)를 섞을 때 셰이커를 사용합니다.
플로팅 (Floating): 비중 차이를 이용해 층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B&B, Pousse Cafe, B-52).
푸스 카페 조주: 브랜디는 밀도가 가장 낮아 가장 나중에 따라 층을 만듭니다.
럼 베이스 칵테일: 다이키리, 쿠바 리브레, 마이 타이 (스팅거는 브랜디 베이스입니다).
보드카 베이스 칵테일: 블랙 러시안, 코스모폴리탄, 애플 마티니 (마가리타는 테킬라 베이스입니다).
달걀 흰자 포함 칵테일: 밀리어네어, 핑크 레이디 (드라이 진 + 달걀 흰자 + 그레나딘) 등.
진 앤 토닉: 하이볼 글라스에 레몬 슬라이스 장식.
5. 바 운영 및 서비스
구매 부서 기능: 검수, 저장, 불출이며, 판매는 영업 부서 기능입니다.
클래식 바: 정중함과 정확한 조주에 중점을 둡니다. 화려한 바텐딩 기술 (플레어)은 지양합니다.
소믈리에 임무: 와인 판매 및 서비스 (Wine Steward)입니다.
객단가 공식: 객단가 = 매출액 ÷ 고객수입니다.
바 기물 아닌 것: **체이서 (Chaser)**는 독한 술 뒤에 마시는 음료수입니다.
글라스 세척: 중성세제와 더운물로 씻고 찬물로 헹구는 순서입니다.
코키지 (Corkage): 외부 반입 주류 서비스 요금이며, 스크류캡 와인에도 부과됩니다.
서비스 영어:
통화 중: The line is busy, so I can’t put you through.
내가 낼게: It's my treat this time. / I'll pick up the tab. / It's on me.
더치페이: Let's go Dutch.
바텐더 역할: 조수(helpers)를 **감독(supervise)**하고 기록을 **관리(handle)**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