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2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2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화훼장식 디자인 요소 및 원리


(1) 디자인 요소 용어 정의

  • 양감(Mass): 화훼장식 대상물에서 만져서 느낄 수 있는 촉각과 더불어 덩어리감, 중량감, 부피감을 말합니다.

  • 질감(Texture): 재료의 조직, 밀도감, 질량감, 빛의 반사도 등에 따른 시각적 및 촉각적 느낌을 말합니다.

    • 예시: 아킬레아, 솔리다고는 삼베 같은 거칠고 까칠한 질감을 가집니다.

  • 균형 (Balance):

    • 대칭균형: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쪽에 같은 요소로 동일하게 배열하는 것으로, 공식적이고 안정된 느낌을 줍니다.

    • 비대칭균형: 자연스럽고 비정형적이며 생동감이 있는 배열입니다.


(2) 색채 이론 (먼셀 및 대비)

  • 먼셀 색표계 기호: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의 순서로 HV/C로 표기합니다.

  • 색채의 강약: 색채의 강하거나 약한 느낌은 주로 **채도(Chroma)**에 의해 결정됩니다. (색상이 아님)

  • 색채의 명시성: 두 색을 대비시켰을 때 멀리서도 잘 보이는 성질로, 교통표지판(검은색과 노란색)은 색채의 명시성을 이용한 것입니다.

  • 보색 대비:

    • 빨강(R) - 청록(GB)

    • 노랑(Y) - 남색(PB)

    • 파랑(B) - 주황(YR)


(3) 디자인 형태 및 줄기 배열

  • 리스 (Wreath)의 유래: 고대 그리스 시대에 충성과 헌신의 상징으로 신이나 영웅에게 바치던 장식물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피라미드형 (Pyramid Style): 전후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감상할 수 있는 디자인 형태입니다.

  • 고전적 삼각형 꽃꽂이: 하나의 생장점을 중심으로 줄기가 뻗어 나오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 줄기 배열 - 방사선 배열: 모든 줄기의 선이 한 개의 초점에서 사방으로 전개되는 배열입니다.

  • 줄기 배열 - 교차선 배열 (Cross): 여러 개의 초점에서 나온 줄기의 선이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배열된 형태입니다.



2. 화훼장식 소재 관리 및 생리


(1) 절화 수명 연장 및 처리 기술

  • 절화 수분 흡수 촉진: 절화를 사온 후 가장 먼저 절화의 아랫부분을 물속자르기로 재절단해야 물 흡수를 돕습니다.

  • 물속 잎 제거: 줄기의 아랫잎을 제거해야 합니다. 잎이 물에 잠기면 부패하여 에틸렌가스가 발생하고 노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 산성화 처리: 절화 수명 연장을 위해 물을 산성화하여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은 구연산입니다.

  • 절화보존제의 역할: 에틸렌 발생을 억제하고, 절화 수명을 연장하며, 꽃의 개화를 돕습니다.

  • 특수 처리:

    • 열탕 처리 (끓는 물): 국화, 백일홍, 스토크 등에 효과적입니다.

    • 탄화 처리 (불에 태움): 유액이 많이 나오는 식물(장미, 수국, 포인세티아)의 수명 연장을 위해 줄기 절단면을 불에 살짝 태운 후 찬물에 넣습니다.

  • 꽃 목굽음: 절화의 수분 균형이 깨져 물올림이 잘되지 않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에틸렌 민감도:

    • 민감 꽃: 카네이션, 백합, 프리지어, 스위트피 등

    • 둔감 꽃: 안스리움, 거베라, 국화, 튤립 등

  • 소매상 취급: 생산자에 의해 질산은 전처리가 되었다면, 소매상에서는 재절단해서는 안 됩니다. 재절단 시 질산은의 효과가 상실됩니다.

  • 수송 방법: 글라디올러스와 같이 길고 가느다란 수상화서는 반드시 세워서 저장 및 수송해야 합니다.


(2) 식물 분류 및 소재 선택

  • 장일성 식물: 스위트피, 보리, 밀 등이 해당됩니다. (코스모스, 포인세티아, 칼랑코에는 단일성 식물입니다.)

  • 다육식물: 용설란, 칼랑코에, 유카 등 (맥문동은 관엽식물입니다.)

  • 구경 (Corn) 류: 줄기가 비대해져 알뿌리 모양이 된 것으로 글라디올러스, 프리지아, 크로커스가 있습니다.

  • 선형꽃 (Line Flower): 골격을 형성하며 주로 이용되는 소재는 스토크, 글라디올러스, 금어초 등입니다. (장미는 매스 플라워입니다.)

  • 절화 시점: 거베라는 개화 시작 후 2일 정도, 즉 개화가 진행된 상태에서 절화합니다.

  • 압화 소재:

    • 가장 좋은 꽃: 팬지 (구조가 간단하고 꽃잎 수가 적음)

    • 사용 어려운 꽃: 주름이 많거나, 꽃잎이 두껍고 수분 함량이 많은 꽃


(3) 식물 생리 및 재배

  • 배양토의 적정 pH: 일반적으로 pH 5.0~7.0의 약산성이 적정합니다. (pH 5.5~6.0이 이상적)

  • 수분의 역할: 식물 체온 조절은 증산작용을 통해 물이 기화열을 갖고 나가면서 체온 상승을 막는 원리입니다.

  • 인공 토양:

    • 피트모스: 습지의 수태가 퇴적하여 만들어진 유기질 용토입니다.

    • 펄라이트: 진주암을 고온 가열하여 팽창시킨 백색의 가벼운 입자입니다.

    • 버미큘라이트: 화강암 속의 흑운모를 고온에서 팽창시킨 것입니다.



3. 화훼장식 디자인 기법 및 문화사


(1) 화훼장식 기법 및 용구

  • 테라리움 (Terrarium): 밀폐된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용기 속에 식물을 심어 재배 관상하는 화훼장식 이용 형태입니다.

  • 번들링 (Bundling): 볏단, 밀짚다발 등 같은 재료를 단단히 묶는 기법입니다.

  • 테라싱 (Terracing): 동일 소재를 크기에 따라 앞, 뒤, 수평으로 배치하여 계단식 단계처럼 연속적인 층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 포푸리 (Potpourri): 말린 꽃에 향기 나는 식물, 향료 등을 혼합하여 용기 속에 넣어 이용하는 장식화훼 형태입니다.

  • 플로랄폼 고정: 플라스틱 핀 홀더를 용기에 접착시킬 때 접착용 점토를 이용합니다.

  • 갈란드 (Galand): 절화와 절엽 등을 길게 엮은 장식물입니다. (원형 고리 모양은 화환/리스)

  • 밀 드 플레 디자인: '1,000송이 꽃'이라는 뜻으로, 다양한 꽃을 밀집되게 장식하며 둥근형이 일반적입니다. (다양한 꽃, 잎, 과일, 채소 밀집 장식은 더치플레미시 디자인에 가깝습니다.)


(2) 화훼장식 문화사

  • 삼국시대 꽃꽂이 기록: 무용총의 벽화, 안약2호분 동벽의 비천상, 강서대묘 현실북벽의 비천상 등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해인사 대적광전 벽화는 고려시대 작품입니다.)

  • 고려시대 꽃 문화: 꽃 문화가 생활 속에 정착하고 발전하였으며, 불전에 바치는 공양으로 꽃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 분식물 역사: 분토에 이끼를 생겨나게 하는 요령 등은 **박세당의 '색경증집'**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 아르누보 (Art Nouveau): '신미술'이라는 의미로, 자연을 모티브로 하여 식물의 곡선을 주제로 한 장식 양식입니다.

  • 조각적 디자인: 일본의 오하라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발전한 현대 화훼장식입니다.


(3) 화훼장식의 기능

  • 환경적 기능: 실내공간의 유해 물질 정화, 습도 유지, 온도 조절, 음이온 발생 등을 통해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입니다. (병든 빌딩 증후군, 새집 증후군 완화)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