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화훼장식 디자인의 원리와 요소


A. 디자인 원리 (Principles of Design)

화훼장식 디자인의 주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균형 (Balance): 디자인의 대칭과 비대칭을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입니다. 중량감, 색채, 재질 등의 균형을 통해 시각적인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 강조 (Emphasis): 부분적이고 소극적인 표현을 통해 특정 부분을 강하게 부각시켜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하는 디자인의 중심입니다.

  • 조화 (Harmony): 둘 이상의 요소가 서로 분리하거나 배척하지 않고, 통일된 전체로서 미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현상입니다.

  • 리듬 (Rhythm): 소재의 반복적인 사용, 크기의 점진적인 변화, 곡선적인 흐름 등을 통해 시선이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B. 디자인 요소 (Elements of Design)

  • 색 (Color): 시각적 효과가 가장 크며, 균형, 깊이, 강조 등을 이루는 데 사용됩니다.

    • 색채의 강약: 주로 채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채도가 높으면 색이 선명해지고, 낮으면 탁해집니다.

    • 명도 효과: 명도가 높은 색은 가볍고 앞으로 진출되어 보입니다. 백색은 흑색보다 가볍게 느껴집니다.

  • 질감 (Texture): 소재의 표면 조직이나 재질감을 나타냅니다.

    • 예시: 장미와 팬지는 벨벳 같은 부드러운 질감을, 팜파스그라스는 순모의 털처럼 포근한 질감을, 안스리움은 크롬 같은 금속의 질감을 표현합니다.

  • 깊이감 표현 방법:

    • 줄기의 각도를 뒤로 젖히거나 밑으로 늘어뜨려 점진적으로 변화시킵니다.

    • 큰 꽃은 아래에, 작은 꽃은 위에 배열하여 원근감을 극대화합니다.


C. 디자인 기법 및 형태

  • 테라싱 (Terracing): 같은 재료를 아래위로 배치하고 사이에 공간을 두어 계단 모양이 되도록 하는 베이싱 기법입니다.

  • 바인딩 (Binding): 세 줄기 이상의 많은 줄기들을 함께 묶어 줄기 고정을 목적으로 하며, 묶인 끈으로 소재가 지탱되게 하는 기법입니다.

  • 평행 배열: 여러 개의 초점으로부터 나온 줄기가 모두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뻗어 있는 배열입니다.

  • 구조적 (Structure) 디자인: 소재 자체의 형태, 재질감, 그리고 소재의 배열이 나타내는 구조의 효과를 전면에 부각시키는 화훼장식 구성입니다.



2. 화훼장식의 역사 및 문화 (History & Culture)

  • 동양 화훼장식 (꽃꽂이): 주지의 삼각구성 이론은 동양사상인 천지인 삼재(三才) 사상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 전통 용어: **복형(복합형)**은 두 개 이상의 화기를 복합적으로 배치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는 방법입니다.

  • 꽃 뿌리기 (산화):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강서대묘 비천상), 외국에서는 그리스시대부터 시작된 전통입니다.

  • 영국 조지아 시대: 노즈게이 (Nosegay) 또는 **터지머지 (Tuzzy-Muzzy)**가 유행했으며, 작은 원형 디자인으로 꽃향기가 전염병을 예방한다고 믿었습니다.

    • 참고: 코르누코피아 (Cornucopia)는 '풍요의 뿔'에서 유래된 풍요의 상징 장식 모티브입니다.

  • 오방색:

    • 흑색: 북쪽을 상징하며, 생명의 종식을 의미합니다. (생을 상징하는 색은 아닙니다.)



3. 화훼장식의 기능 및 분류

  • 화훼장식의 기능: 공간장식, 메시지 전달, 환경조절, 심리적 효과 (정서 함양 등) 등이 있습니다.

    • 근조용 헌화장식: 고인에 대한 추모의 마음을 전달하는 의사전달 효과에 해당합니다.

  • 목적별 분류: 상업용, 혼례용, 근조용, 장식용 등으로 구분됩니다.

  • 이용 형태 분류:

    • 생산화훼: 절화, 절엽, 절지, 분화, 종묘, 구근 등이 포함됩니다.

    • 취미화훼: 가정원예, 실내원예, 베란다원예 등이 포함됩니다.

    • 후생화훼 (미화 서비스): 원예치료, 향기치료 등이 포함됩니다.



4. 소재의 분류 및 특성 (Plant Materials)

  • 라인 플라워 (Line Flower): 디자인의 골격이 되며 선을 구성하는 소재입니다. (예: 글라디올러스)

  • 매스 플라워 (Mass Flower): 꽃의 형태를 이용하여 양감을 표현하는 소재입니다. (예: 장미, 카네이션, 수국)

  • 다육식물 및 선인장:

    • 선인장: 잎이 가시로 변한 식물입니다.

    • 다육식물: 잎이나 줄기가 육질화된 식물입니다.

    • 두 식물 모두 건조지방에서 잘 자라며, 다습하면 썩기 쉬워 잦은 관수를 피해야 합니다.

  • 엽면시비: 뿌리의 흡수 기능이 약할 때, 초세를 빨리 회복시키기 위해 액체 비료를 식물 지상부(잎)에 살포하는 방법입니다.

  • 나팔꽃: 에 파종하는 일년초이며, 대체로 단일조건하에서 개화가 촉진됩니다.



5. 절화 및 건조화 관리 (Post-Harvest Care & Drying)

A. 절화 수명 연장

  • 물올림:

    • 사용하는 물의 pH는 3~4로 산성화시켜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고 수분 흡수력을 증가시킵니다. (식초 몇 방울 첨가 효과)

    • 냉장 보관 (5℃ 내외): 노화 방지 및 에틸렌 민감도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 습도: 시드는 것을 막기 위해 **85~95%**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에틸렌 (Ethylene): 성숙한 과일, 노화된 꽃, 불완전 연소 부산물 등에서 발생하며 절화의 노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저온에서 민감도가 감소됩니다.

  • 질산은 처리 절화: 생산자에게 이미 질산은제가 함유된 전처리제가 사용된 경우, 소매상에서는 재절단해서는 안 됩니다. 재절단은 질산은의 효과를 상실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B. 건조화 제작

  • 자연건조: 통풍이 잘되고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한 곳이 적합하며, 꽃의 성숙 정도는 활짝 피기 전이 좋습니다.

  • 실리카겔 건조: 꽃을 신속하게 말리고 자연스러운 색상을 보다 잘 보존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건조제입니다. (장미 등에 적합)

  • 글리세린 건조: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을 돕고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윈 80과 같은 습윤제를 첨가합니다.

  • 압화 소재: 색이 선명하고 변화가 많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두께가 적당하며 수분량이 적은 꽃이 적합합니다.



6. 재배 및 식물 생리 (Cultivation & Physiology)

  • 화아분화: 식물체가 영양조건, 기간, 기온, 일조시간 등의 필요조건을 다 채워서 꽃눈을 형성하는 현상입니다.

  • 배양토: 통기성, 보수력, 보비력이 양호해야 하며, 뿌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가벼운 경량토를 혼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거워야 하는 것은 잘못된 설명)

  • 비바리움 (Vivarium): 유리용기에 도마뱀, 개구리 등과 식물을 함께 생육시키는 식물 장식입니다.

  • 필수 영양소 분류:

    • 다량 영양소: 질소 (N), 인 (P), 칼륨 (K), 칼슘, 마그네슘, 황.

    • 미량 영양소: 염소, 구리, 철, 망가니즈, 아연, 붕소, 몰리브덴.

  • 관수 방법:

    • 저면관수: 화분의 배수공을 통해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수분을 흡수시키는 방법입니다. 비용이 저렴하고 화분 크기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식물성 색소: 클로로필 (엽록소), 플라보노이드, 베타사이아닌, 카로티노이드 등이 있습니다. (멜라닌은 동물성 색소입니다.)

  • 식재재료:

    • 바크 (Bark): 소나무나 전나무 껍질을 부수어 만든 것으로, 주로 서양란의 식재재료로 이용됩니다.

  • 협죽도: 유도화라고도 불리며 내한성이 약해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는 노지 월동이 어렵습니다.



7. 공간 연출 및 장식

  • 공간 연출 디자인 과정: 기획 → 조사분석 → 구상 → 계획 → 시공 → 관리 순으로 진행됩니다.

  • 테이블 장식 주의사항: 디너 테이블을 포함한 식사용 테이블 장식에는 꽃향기가 강하고 짙은 식물은 피해야 합니다.

  • 코사지 (Corsage): 여성의 의복이나 신체를 꾸미는 꽃장식물입니다.

  • 부토니아 (Boutonniere): 남성의 상의 칼라 단추구멍에 다는 꽃장식 (남성용 코사지)입니다.

  • 갈란드 (Garland): 고대 이집트와 로마시대부터 사용된, 절화와 절엽 등을 길게 엮은 장식물입니다.

  • 콜라주 (Collage): 평면적인 화면에 생화나 건조소재 등을 반평면적으로 배치하여 표현하는 장식물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