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여행안내사 필기시험 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한국사 (역사적 사실 및 연표 정리)
1.1. 고대 국가의 성립과 특징
고조선 (8조법 관련): 도둑질한 자를 노비로 삼고 용서를 위해 50만 전을 내게 한 법률은 고조선의 8조법을 보여줍니다. 고조선은 왕 아래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을 두어 통치 체제를 정비했습니다.
삼국 시대 역사서 편찬:
백제 《서기》: 근초고왕 때 고흥이 편찬했습니다.
고구려 《신집》: 영양왕 때 태학박사 이문진이 편찬했습니다.
광개토대왕과 호우명 그릇: 경주 호우총에서 출토된 호우명 그릇의 명문은 광개토대왕이 신라의 구원 요청으로 왜군을 격퇴하고 신라에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보여줍니다.
발해의 전성기: 신라와 대치했던 북국(北國) 발해는 전성기 때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 불렸습니다.
1.2. 고려와 조선 시대의 특징
원 간섭기 고려의 통치 기구: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라고 했습니다. 원은 다루가치를 파견하고 공녀를 요구하며 내정을 간섭했습니다.
과전법 시행 시기: 과전법은 고려 후기 공민왕 때 시작된 토지제도 개혁으로, 원 간섭기가 아닌 조선 건국 직전에 시행되었습니다.
고려 사회의 특징:
노비 제도: 부모 중 한쪽이 노비면 그 자식도 노비가 되는 일천즉천의 원칙이 적용되었습니다.
음서 제도: 5품 이상 관료의 아들이나 손자는 음서의 혜택으로 관리로 진출했습니다.
조선 후기 농업/경제: 지대를 정액으로 납부하는 도조법이 나타났습니다.
조선 왕의 업적 (정조 vs 영조):
영조: 『속대전』을 편찬했습니다.
정조: 수원 화성 축조, 초계문신 제도 실시, 친위 부대인 장용영 설치, 『대전통편』을 간행했습니다.
사건 발생 순서 (가장 마지막):
4군 6진 설치 (1432년, 세종)
기묘사화 (1519년, 중종)
임진왜란 (1592년, 선조)
인조반정 (1623년, 광해군 폐위) → 시간 순서상 가장 마지막입니다.
1.3.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
신간회 (1927년): 비타협적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세력이 연합하여 창립한 항일 단체입니다.
유신 헌법 (1972년): 통일 주체 국민회의에서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3분의 1 선출, 대통령의 국회 해산권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제정되었습니다.
현대사 사건 순서:
4·19 혁명 (1960년)
5·16 군사정변 (1961년)
7·4 남북공동성명 (1972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1980년)
일제의 경제 침탈 정책 (아닌 것): 물산장려운동은 1920년대에 우리 민족이 전개한 경제 자립운동이므로 일제의 침탈 정책이 아닙니다.
2. 관광자원론 (자연 및 문화유산)
2.1. 관광자원의 개념 및 분류
자연관광자원의 개념: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레크리에이션 기능을 갖춘 자연적인 대상입니다. 인위적으로 제작된 문화유산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자연환경 요인 (중요):
주요 요소: 기후, 지질, 지형, 토양, 식생, 야생동물 등이 있습니다.
제외 요소: 사적, 문화유산 등은 인문/문화적 요소입니다.
전통 세시 풍속: 정월대보름, 칠월칠석, 설날 등은 세시풍속에 속합니다. 곶자왈은 제주도의 독특한 화산 지형 및 숲을 지칭하는 제주어이므로 세시풍속이 아닙니다.
축제의 기능: 종교적, 정치적, 예술적, 경제적 등 사회·문화적 기능에 초점을 맞춥니다. 자연적 기능은 축제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국가 지정 문화재: 보물 및 국보, 천연기념물, 국가민속문화재 등이 해당됩니다. 문화재자료는 국가 지정 문화재가 아닙니다.
2.2. 주요 문화유산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세계 유일의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15세기 건축물입니다.
상원사 동종: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종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고, 한국 종의 고유한 특색을 갖춘 문화재입니다.
판소리: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장단)에 맞추어 **소리(노래), 아니리(말), 너름새/발림(몸짓)**을 섞어 서사적인 이야기를 푸는 국가무형문화재입니다.
정선 (겸재):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정선이 그린 그림으로는 **〈인왕제색도〉**가 있습니다.
국보 지정 석비 (정확한 명칭): 국보 제33호는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이며, 창녕 백제 진흥왕 척경비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3. 관광법규 및 관광산업 (제도와 트렌드)
3.1. 관광 관련 법규 및 정책
관광기본법:
관광진흥에 관한 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시행합니다.
관광진흥계획 보고서는 정기국회가 시작하기 전까지 국회에 제출해야 합니다.
국가관광전략회의는 국무총리 소속으로 둡니다.
관광진흥개발기금 조성 재원 (아닌 것): 정부 출연금, 카지노 사업자 납부금, 출국 납부금, 보세판매장 특허수수료 등이 재원입니다. 한국관광협회중앙회의 공제 분담금은 해당 재원이 아닙니다.
관광진흥법상 개발 계획:
관광개발기본계획은 10년마다 수립합니다.
권역별 관광개발계획은 5년마다 수립합니다.
유원시설업의 인허가: 종합유원시설업 및 일반유원시설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관할관청에 신고가 아닌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과태료 부과 대상: 관광사업자로 잘못 알아볼 우려가 있는 상호를 사용한 자는 과태료 부과 대상입니다.
청문 실시 제외 대상: 관광사업 허가 취소, 품질인증 취소 등은 청문 대상이지만, 국외여행 인솔자 자격 취소는 청문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관광특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관광특구에 대한 평가를 3년마다 실시해야 합니다.
서울특별시의 경우 외국인 관광객 수가 최근 1년간 50만 명 이상이어야 합니다 (다른 지역은 10만 명).
관광객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관광 편의시설업은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의 지정을 받아야 합니다.
3.2. 관광 산업 및 시장 트렌드
여행업의 산업적 특성: 여행업은 계절성이 높고, 고정자산 비중이 낮으며, 창업이 용이합니다. 소비자의 소득 수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수요 탄력성이 높은 산업입니다.
여행업 종류: **홀세일러(wholesaler)**는 여행상품을 만들어 소매여행사에 판매하는 도매 여행사입니다.
의료 관광 허용: 우리나라가 의료법 개정을 통해 외국인 환자 유치를 허용한 연도는 2009년입니다.
여행 예약 시스템: 대한항공이 개발한 국내 최초의 항공 예약 시스템은 TOPAS입니다.
HMR (Home Meal Replacement): 바쁜 현대인들에게 간편성을 제공하고 가정의 식사를 대체하는 음식 개념입니다.
복합리조트 (IR): 카지노뿐만 아니라 호텔, 컨벤션, 쇼핑 등이 복합적으로 통합된 리조트를 의미하며, 라스베이거스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싱가포르에는 마리나베이샌즈를 포함하여 여러 복합리조트가 있습니다.
관광 발전사: 국제관광공사는 1962년에 발족되었습니다.
관광의 정의: 관광현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는 것은 시스템적 정의입니다.
국제 관광: 관광객 수용국 입장에서 자국으로 들어오는 외국인은 인바운드, 자국민이 해외로 나가는 것은 아웃바운드로 구분됩니다.
제품의 3가지 수준 (코틀러): 핵심제품, 실제제품, 확장제품으로 나눕니다.
마케팅 용어: 표적시장은 세분시장 특성별로 각각 적합한 마케팅 믹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마케팅 믹스는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의 4P입니다.
국민 관광: 국민 관광은 1970년대에 경제성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2000년대 아님).
4. 관광 코스 유형
안전핀형 (옷핀형): 목적지와 인접 지역을 둘러보고 새로운 길로 돌아오는 형태.
스푼형 (키이형): 목적지에서 활동 후 근거리에 있는 두 곳 이상을 관광하고 동일 교통로로 돌아오는 형태.
탬버린형 (순환형): 목적지까지 직행 후 다른 목적지로 이동하는 형태를 반복하여 순환하는 형태.
피스톤형: 목적지까지 직행하여 관광 후 동일 경로를 통하여 거주지로 되돌아오는 형태.
방황형은 일반적인 관광 코스 유형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