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화훼 식물학 및 재배 관리 핵심 정리


화서(꽃차례)의 종류 및 특성

화서는 꽃이 줄기에 달리는 배열 형태를 말합니다. 유한화서는 꽃이 꽃대의 위에서부터 밑으로, 또는 중앙에서부터 가장자리로 피는 특징이 있으며, 주요 식물로는 베고니아, 범부채, 미역취 등이 있습니다.


관상용 소재의 구분과 학명

  • 열매 관상 소재: 피라칸타, 낙상홍, 호랑가시나무.

  • 꽃 관상 소재: 박태기나무.

  • 숙근성 초화류: 여러 해 동안 뿌리가 살아남아 개화하는 식물로, 꽃창포, 원추리, 작약, 국화, 샤스타데이지 등이 있습니다.

  • 구근류 형태: **비늘줄기(인경)**는 줄기의 일부가 변형된 잎이 양분을 저장하는 형태로, 백합, 나리, 튤립, 양파 등이 속합니다.

  • 학명 (이름 확인): 과꽃의 학명은 Callistephus chinensis L. 이며, 일일초의 학명은 Vinca rosea L. 입니다.

  • 선인장 대목: 접목용 대목으로는 용신목, 와룡, 삼각주 등이 사용됩니다.


화훼의 생리 반응과 환경 조건

  • 일장 반응: 장일식물은 낮의 길이가 길어지면 개화하는 식물로, 금어초, 카네이션, 스위트피 등이 해당됩니다.

  • 화색 발현 색소: 장미의 적색이나 분홍색은 주로 안토시아닌 색소에 의해 발현됩니다.

  • 인공 토양: 피트모스는 습지의 수태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유기질 용토이며, 버미큘라이트는 흑운모를 고온 팽창시킨 것, 펄라이트는 진주암을 고온 팽창시킨 것입니다.

  • 증산 작용: 식물체 내의 물이 수증기 형태로 배출되는 증산 작용은 주로 잎의 기공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광 조건:

    • 광보상점: 광합성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호흡에 의한 방출량이 같아지는 광도입니다.

    • 분지 증가 파장: 식물의 분지를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는 광의 파장 범위는 400~450nm (청색광)입니다.

  • DIF (주야간 온도차): 주간 온도에서 야간 온도를 뺀 값으로, DIF = 주간온도 - 야간온도입니다. (예: 16℃ - 23℃ = -7℃)



2. 화훼장식 디자인 원리 및 요소


디자인의 원리와 요소의 구분

  • 디자인 요소: 점, 선, 면, 형태, 방향, 명암, 질감, 크기, 색채.

  • 디자인 원리: 구성, 초점, 통일, 균형, 율동, 조화, 강조, 비례, 대비, 반복.


균형, 비례 및 황금분할

  • 균형(Balance): 둘 이상의 힘이 서로 평균되는 것으로, 대칭과 비대칭을 결정짓는 핵심 원리입니다.

  • 비례(Proportion): 전체 구성에 대한 부분 구성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 황금분할: 가장 이상적인 비율(1:1.618)로 알려져 있으며, 화훼장식에서는 **주그룹(8) : 대항그룹(5) : 보조그룹(3)**의 비율이 가장 적절합니다.


색채의 감정적 효과와 대비

  • 색채의 강약: 주로 채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 진출색/후퇴색: 명도가 높은 색은 가볍고 진출색으로 보이며, 노란색은 난색이자 시각적으로 가까이 느껴지는 진출색입니다. 저명도색은 후퇴색으로 느껴집니다.

  • 노란색 특성: 난색이며 진출색으로 크게 보입니다. 보색은 남색(PB)입니다.

  • 연변대비: 두 색이 인접해 있을 때 경계 부분에서 색상, 명도, 채도 대비가 더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 선의 방향:

    • 수직선: 강한 힘, 위엄을 강조합니다.

    • 곡선: 부드럽고 온화하며 유동적인 느낌을 줍니다.

    • 수평선: 평화, 고요, 안정감을 줍니다.

    • 대각선: 동적인 에너지와 강한 시선의 이동을 유도합니다. (과다 사용 지양)


디자인 구성 기법

  • 방사선 배열: 모든 줄기의 선이 한 개의 초점에서 부채살처럼 사방으로 전개되는 배열입니다.

  • 식생적 구성(Vegetative): 식물의 생리·생태를 고려하여 자연 상태와 같이 재현하며, 생장점(출발점)이 하나 이상 있을 수 있습니다.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습니다.)

  • 형-선적 구성: 소재의 형, 선, 각도를 강조하고, 여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소재의 아름다움을 부각하는 형식입니다.

  • 시퀀싱(Sequencing): 색상이 밝고 작은 소재를 바깥쪽에, 어둡고 무거운 소재를 중앙을 향해 배치하여 시각적 균형과 점진적 변화를 창조하는 기법입니다.



3. 화훼장식 실무 및 관리


절화 보존 및 품질 유지

  • 절화 보존 환경: 수질은 pH 3~4약산성 용액이 수분흡수 촉진과 미생물 증식 억제에 효과적입니다. 공중습도는 80~85%가 좋습니다.

  • 절화보존제 성분: 당분(탄수화물), 살균제, 에틸렌 발생 억제제 등이 포함됩니다. (개화촉진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물 올리기: 수분차단 방지를 위해 물속에서 줄기 끝을 사선으로 자르고, 물에 잠기는 잎은 제거해야 합니다. 많은 양을 한 통에 빽빽하게 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수확 후 처리:

    • 예냉: 수확 직후 신속히 온도를 낮춰 호흡을 억제하고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STS 처리: Ag 이온이 에틸렌 작용을 억제하여 수명 연장에 효과적입니다.

    • 목굽음 현상: 장미의 경우 꽃목의 경화가 덜 된 시기나 너무 조기에 수확했을 때, 또는 수분 불균형 시에 잘 발생합니다. 늦게 수확하면 목굽음은 적지만 수명이 짧아집니다.

  • 수송 관리: 글라디올러스처럼 길고 가느다란 수상화서는 꽃줄기가 휘어지지 않도록 반드시 세워서 저장 및 수송해야 합니다.


장식 기법 및 실무

  • 와이어링 기법: **후킹(Hooking)**은 과꽃이나 소국 등 작은 꽃의 줄기에 철사 끝을 1cm가량 구부려서 꽂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장식물 형태:

    • 갈란드(Garland): 절화나 절엽 등을 줄처럼 길게 이어서 만든 장식물.

    • 리스(Wreath): 절화를 이용하여 고리 모양으로 만든 장식물.

    • 포푸리(Potpourri): 건조된 방향성 식물에 에센셜 오일 등을 첨가하여 숙성시킨 건조소재 장식입니다.

  • 테이블 및 식공간 장식:

    • 주의사항: 화분(꽃가루)이 떨어지는 꽃, 향이 진한 꽃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화형 높이는 시야를 방해하지 않아야 합니다. 감상은 **여러 방향(사방화)**에서 가능하도록 제작합니다.

    • 분화장식 고려: 실내 환경 조건, 실내 기능, 이용자 기호도에 맞추어 제작하며, 유행하는 식물의 선택이 가장 우선적인 고려 사항은 아닙니다.

  • 꽃다발 마무리: 묶음점은 부드러운 노끈을 사용하여 필요한 만큼의 폭으로 단단하게 묶습니다. 철사로 단단하게 묶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화훼장식 역사 및 고정 재료

  • 한국 꽃꽂이: 직립형, 경사형, 하수형이 기본 화형이며, 나뭇가지 선의 아름다움을 강조합니다. 초생달형은 서양식 꽃꽂이 화형에 속합니다.

  • 서양 전통 장식: 기하학적이고 꽃이 주재료인 표현 기법이 특징입니다. 선과 여백의 아름다움 강조는 동양식의 특징입니다.

  • 역사적 장식:

    • 영국 조지아시대: 전염병 예방 목적으로 꽃의 향기를 이용한 노즈게이(터지머지) 꽃다발이 유행했습니다.

    • 로코코시대: 화려하고 여성스러운 스타일, 파랑/자주빛의 색상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 조선시대 관련: 산림경제의 양화편, 성소부부고의 병화인, 오주연문장전산고의 당화병화변증설. (수덕사 대웅전의 수화도는 고려시대입니다.)

  • 고정 재료: 글루(글루건, 생화본드), 핀 홀더, 침봉 등이 주된 고정 재료이며, 리본은 장식용 소재입니다.



4. 건조 및 보존 처리

건조화 제작 방법

  • 동결 건조: 자연적인 형태와 색상이 그대로 유지되나, 공기 중 습기를 쉽게 흡수하므로 코팅제를 뿌리거나 유리용기 속에 밀폐시켜 장식해야 합니다.

  • 매몰 건조: 실리카겔을 이용하며, 형태와 색상 변화가 적습니다. 마찬가지로 습기에 약하여 밀폐 장식이 필요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