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제과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제과 재료의 이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제과에 사용되는 주요 영양소와 재료의 특성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구성 요소: 탄수화물과 지방은 기본적으로 탄소, 산소, 수소로 구성되어 있지만, 단백질은 이 외에 질소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질소는 근육이나 혈액을 합성하는 체조직의 주요 구성 영양소인 단백질의 핵심 요소입니다.


당류의 분류: 당류 중 이당류에 속하는 대표적인 예는 **설탕(자당, 서당)**입니다. 이 외에도 맥아당(엿당), 유당(젖당)이 이당류에 해당합니다. 과당이나 갈락토스는 단당류이며, 전분은 다당류입니다.


단백질의 변성: 단백질이 변성되면 용해도는 감소하고, 점도는 증가하며,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풀어집니다. 중요한 점은, 대부분의 천연 단백질은 소화효소인 트립신에 의해 잘 소화되지 않지만, 변성되면 오히려 소화효소의 작용을 쉽게 받는다는 것입니다.


달걀과 유제품: 전란(껍질을 제외한 전체 달걀)은 일반적으로 수분 **75%**와 **고형질 25%**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유의 주된 단백질인 카세인은 열에 비교적 안정하며, 산과 만나면 응고되는 성질이 있습니다. 버터에서 신맛을 내는 성분은 카세인이 아니라 젖산입니다.


밀가루의 종류와 전분 특성: 박력분은 단백질 함량이 6%에서 8.5% 사이로 가장 낮아 과자류 제조에 주로 사용됩니다. 전분을 구성하는 아밀로스는 아밀로펙틴보다 분자량이 작고, 호화(젤화)되는 경향이 빠르며, 아이오딘 용액에 청색 반응을 일으킵니다.



2. 제과 이론 및 제조 공정의 핵심


반죽 제조 및 온도

반죽의 온도는 제품의 최종 품질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반죽 온도가 높을 때의 문제점: 반죽 온도가 너무 높으면 기공이 열리고 큰 구멍이 생겨 조직이 거칠어지며 노화가 빨라집니다. 퍼프 페이스트리(약 20ºC)의 반죽 온도가 파운드 케이크, 마들렌, 버터스펀지 케이크(약 23ºC) 등 다른 제품보다 가장 낮게 관리됩니다.


반죽형 반죽 (파운드 케이크, 머핀): 반죽형 반죽의 유지 함량은 달걀 무게의 ½ 이상입니다. 파운드 케이크나 쿠키 등에 사용되는 크림법은 처음에 유지와 설탕, 소금을 넣고 믹싱하여 크림 상태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머랭의 종류: 달걀흰자를 거품 낸 후 뜨겁게 끓인 설탕 시럽(115~118ºC)을 조금씩 부어 만들면 이탈리안 머랭이 됩니다. 이는 열 응고를 일으켜 기포가 매우 단단하고 안정적입니다.


계산과 비중

비중과 비용적 개념은 정확한 제품 제조에 필수적입니다.


반죽의 비중 계산: 과자 반죽의 비중은 (동일한 부피의 반죽 무게)를 (동일한 부피의 물 무게)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물 1L의 무게가 200g이고 반죽 1L의 무게가 100g이라면 비중은 100/200, 즉 0.5입니다.


반죽의 양 계산: 팬에 넣을 반죽의 양은 (팬 용적)을 (팬 비용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파운드 케이크의 비용적은 약 2.40cm³/g이므로, 용적이 1,640cm³인 팬에는 1,640/2.40 ≒ 683g의 반죽이 적당합니다.


굽기와 냉각

굽기 전 처리: 파운드 팬에 깔아주는 위생지는 팬 높이와 같게 재단해야 하며, 만약 팬 높이보다 낮게 재단하면 구운 후 반죽이 팬에 붙어 잘 떨어지지 않습니다. 팬 오일은 무색, 무미, 무취이며, 발연점이 높고, 산패에 잘 견디는 것이 좋은 조건입니다.


오버 베이킹: 오버 베이킹은 일반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장시간 굽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고배합의 제품에 적용됩니다.


오븐 온도와 제품: 호두파이처럼 충전물이 있는 제품이 구운 뒤에도 눅눅하고 색이 제대로 나지 않는다면 오븐 아랫불의 온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데크 오븐은 선반에서 독립적으로 상하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가장 일반적입니다.


도넛 튀김과 문제점: 도넛을 튀기는 동안 껍질이 터지는 주된 이유는 저율 배합으로 반죽을 잘못 만들어 너무 많이 팽창했기 때문입니다.


냉각 및 보관: 오븐에서 꺼낸 약 100ºC의 제과류를 상온에 방치하여 온도가 35ºC~40ºC 정도가 된 상태를 냉각이라고 합니다. 무스와 같은 냉과류를 빨리 냉각하여 장식하기 위해서는 냉동고를 사용합니다. 생크림 케이크는 포장 박스에 담아 10ºC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냉동고 용량은 식품 보관 시 70%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3. 식품 위생, 안전 및 법규

식품을 다루는 제과기능사는 위생과 법규에 대한 지식이 필수입니다.


갈변 반응과 산패: 환원당과 아미노화합물의 축합으로 인해 갈색 중합체인 멜라노이딘을 만드는 반응은 메일라드 반응입니다. 반면, 유지가 산화되어 점성이 증가하고 색깔이 변색되는 현상은 산패입니다.


식중독 원인균:

  • 신경 마비: 사시, 동공 확대 등 특유의 신경 마비 증상을 보이는 것은 클로스트리듐 보툴리눔균이 생성하는 뉴로톡신 때문입니다.

  • 알레르기성: 알레르기성 식중독은 모르가니균이 생성하는 히스타민이 원인 물질입니다.


첨가물 및 독소:

  • 빵과 케이크류에 사용이 허가된 보존료는 프로피온산입니다.

  • 식품 첨가물의 안전성 평가에서 고려하는 ADI1일 섭취 허용량이며, MNEL최대 무작용량을 의미합니다.

  • 독버섯에 함유된 독소인 아마톡신은 식품 위생을 위협하는 화학적 요소 중 자연독에 해당합니다.


작업 환경 및 위생 관리:

  • 조리사 면허가 취소되었을 때 면허증 반납은 특별자치시장,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합니다.

  • 제과기능사는 시계와 팔찌를 포함하여 몸에 부착된 모든 장신구를 제거해야 합니다.

  • 작업장의 창문은 청소와 오염 방지를 위해 나무 재질 사용을 지양하고, 안쪽 창문에 문지방이 있다면 선반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경사가 있어야 합니다.

  • 배수로는 오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청결 구역에서 일반 구역으로 흐르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