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조주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증류주 (Distilled Spirits) 요약


1-1. 테킬라 (Tequila)

  • 원산지: 멕시코.

  • 원료: 용설란(Agave)을 발효시킨 풀케(Pulque)를 증류하여 만듭니다.


1-2. 위스키 (Whisky)

  • 스카치 위스키 (Scotch Whisky) 정의:

    • 숙성기간은 최소 3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 병입 시 알코올 도수는 최소 40% 이상이어야 합니다.

    • 첨가물은 물과 캐러멜 외에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전통적 숙성통: 스페인의 **셰리 캐스크(Sherry Cask)**를 사용합니다. (리무진 오크 캐스크는 주로 브랜디에 사용됨)

    • 싱글 몰트 (Single Malt): 하나의 증류소에서 생산된 몰트(Malt)를 100% 사용한 위스키입니다.

  • 버번 위스키 (Bourbon Whisky) 도수:

    • Proof 계산: 미국식 Proof는 알코올 도수(%)의 2배를 의미합니다.

    • 80 Proof는 알코올 도수 **40%**를 뜻합니다.


1-3. 기타 증류주

  • 진 (Gin):

    • 핵심 풍미: **두송자(Juniper Berry)**를 첨가하여 풍미를 냅니다.

    • 주요 제조사: 비피터(Beefeater)는 진(Gin) 회사입니다. (보드카 회사가 아님)

  • 보드카 (Vodka):

    • 주요 제조사: 스톨리치나야(Stolichnaya), 핀란디아(Finlandia), 스미노프(Smirnoff).

  • 브랜디/코냑 (Brandy/Cognac):

    • 코냑의 정의: 브랜디는 포도주를 증류하여 만든 모든 술을 통칭하지만, **코냑(Cognac)**은 프랑스 코냑 지방에서만 생산된 브랜디를 의미합니다.

  • 한국 소주:

    • 증류식 소주: 안동 소주, 제주 한주, 경기 문배주 등이 있습니다.

    • 약주: 금산 삼송주는 약초를 넣어 빚은 약주이며, 증류식 소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소주 원료가 아닌 것: 맥아(Malt)는 보통 맥주나 위스키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2. 와인 (Wine) 및 리큐르 (Liqueur) 요약


2-1. 와인 핵심 품종 및 제조

  • 레드 와인 품종 (적포도): 시라(Syrah), 네비올로(Nebbiolo), 그르나슈(Grenache), 피노 누아(Pinot Noir).

  • 화이트 와인 품종 (청포도): 세미용(Semillion)은 프랑스 보르도에서 주로 재배되는 화이트 품종입니다.

  • 피노 누아 (Pinot Noir):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의 대표적인 품종이며, 기후에 민감하고 재배가 까다로운 것이 특징입니다. (로마네꽁띠의 주 품종)

  • 클라렛 (Claret): 프랑스 보르도 지방의 **적포도주(Red Wine)**를 일컫는 용어입니다.

  • 샴페인 (Champagne) 제조: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 재배된 포도로만 만들어야 합니다. 다른 지역 포도 사용은 금지됩니다.

  • 블러시 와인 (Blush Wine): 적포도를 착즙하여 주스만 발효시켜 만든 와인입니다.

  • 감미 와인 (Sweet Wine) 제조 방법: 귀부포도 사용, 발효 도중 알코올 강화, 햇빛에 말린 포도 사용 등이 있습니다. 발효 시 설탕을 첨가하는 것은 감미를 위한 방법이 아닙니다.


2-2. 와인 산지

  • 이탈리아: 키안티(Chianti).

  • 프랑스: 루아르, 보르도.

  • 독일: 모젤.

  • 미국: 나파 밸리(Napa Valley).

  • 셰리 (Sherry) 숙성: **보데가(Bodega)**는 스페인어로 '와인 저장고'를 뜻하며, 셰리 숙성에 적합한 장소입니다.


2-3. 리큐르 (Liqueur)

  • 스카치 위스키 베이스: 드람부이(Drambuie). 스코틀랜드산 리큐어로 위스키에 꿀과 허브를 첨가하여 만듭니다.

  • 리큐어의 여왕: 샤르트뢰즈(Chartreuse). 프랑스의 전통 리큐어이며, 여러 허브를 증류하여 만듭니다.

  • 용도에 따른 분류:

    • 식전주 (Aperitif): 캄파리(Campari), 시나(Cynar) (아티초크 리큐어).

    • 식후주 (After Drink): 드람부이, 크림 셰리, 알렉산더(Alexander), 러스티 네일(Rusty Nail).

  • 제조 원료:

    • 약초/향초류: 압생트, 베네딕틴, 샤르트뢰즈 등.

    • 종자류: 크렘 드 카카오(Creme de Cacao) (약초가 사용되지 않음).



3. 맥주, 커피 및 비알콜 음료 요약


3-1. 비알콜성 음료 분류

  • 종류: 청량 음료, 영양 음료, 기호 음료로 구분됩니다.

  • 영양 음료: 우유와 주스류가 해당됩니다. (예: 토마토 주스).

  • 무색/무미/무취 탄산음료: 소다수(Soda Water).


3-2. 맥주 (Beer)

  • 거품의 작용: 탄산가스 발산을 막고, 산화작용을 억제하며, 신선도를 유지시켜 줍니다. 맥주 용량을 줄이는 것과는 거리가 멉니다.

  • 독일 맥주: 뢰벤브로이, 벡스, 크롬바허 등이 있으며, **밀러(Miller)**는 미국 맥주입니다.


3-3. 커피 (Coffee)

  • 제조 가공 요소: 로스팅(roasting), 블렌딩(blending), 그라인딩(grinding) 등이 있습니다. 웨더링(weathering)은 관련이 없습니다.

  • 커피 제조 방법: 퍼콜레이터식, 사이폰식, 드립식, 에스프레소식이 있습니다. **디캔터식(Decanter)**은 와인 제조에 사용됩니다.

  • 에스프레소 거품: **크레마(Crema)**는 완벽하게 추출된 에스프레소 표면에 뜨는 황금빛 거품입니다.

  • 블랙 커피 (Black Coffee): 크림이나 설탕이 들어가지 않은 커피를 말합니다.


3-4. 한국의 전통주 및 차

  • 두견주: 진달래꽃(두견화)과 찹쌀 등으로 빚어 병을 고쳤다는 전설이 있는 충남 서북부 해안지방의 전통 민속주입니다.

  • 차(Tea) 분류: 한국의 작설차는 녹차(불발효차)이며, 인도의 다르질링, 스리랑카의 우바, 중국의 기문차는 모두 홍차(발효차)입니다.



4. 칵테일 제조 및 바 (Bar) 운영 요약


4-1. 칵테일 제조 기법 및 글라스

  • 셰이커 (Shaker) 사용: 브랜디 알렉산더(Brandy Alexander)는 셰이킹 기법을 사용합니다.

  • 믹싱 글라스 (Mixing Glass) 사용 (Stirring):

    • 비중이 가벼운 술이나 혼합하기 쉬운 술을 섞을 때 사용합니다.

    • 드라이 마티니(Dry Martini), 맨해튼(Manhattan), 롭 로이(Rob Roy) 등이 해당됩니다. (진 피즈는 해당되지 않음)

  • 리밍/프로스팅 (Rim/Frosting): 글라스 가장자리에 소금이나 설탕 등을 묻히는 기법입니다.

    • 소금 (Salt Frost): 마가리타(Margarita).

    • 설탕 (Sugar Frost): 키스 오브 파이어(Kiss of Fire), 아이리시 커피.

    • 프로스팅 사용 안 함: 하비 월뱅어(Harvey Wallbanger).

  • 칵테일 재료:

    • 앙고스트라 비터(Angostura Bitter): 맨해튼, 올드 패션 등 칵테일에 사용되는 뛰어난 풍미의 고미제입니다.

    • 사이드카 (Sidecar): 브랜디(Brandy), 화이트 큐라소, 레몬 주스로 만듭니다. (테킬라 사용 안 함)

    • 모스코 뮬 (Moscow Mule): 보드카, 라임 주스, 진저 엘로 만듭니다. (럼 사용 안 함)

    • 블러디 메리 (Bloody Mary): 주로 토마토 주스를 사용합니다.

    • 진 베이스 칵테일: 밀리언 달러(Million Dollar).


4-2. 바 용품 및 서비스

  • 지거 (Jigger): Measure Cup이라고도 불리며, 계량을 위해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작은 쪽은 1oz, 큰 쪽은 1.5oz입니다.

  • 글라스:

    • 온 더 락스 (On the Rocks)용: 올드 패션드 글라스(Old Fashioned Glass).

    • 리큐어 글라스 (Liqueur Glass): **코디얼 글라스(Cordial Glass)**라고도 불립니다.

  • 바 용품이 아닌 것: 딥 프리저(초저온 냉동고), 수프 스푼(Soup Spoon). (아이스 큐브 메이커, 머들러, 디캔터 등은 바 용품)

  • 얼음 명칭 (부피가 큰 순서): Lumped Ice > Cracked Ice > Cubed Ice > Crushed Ice 순입니다. **럼프드 아이스(Lumped Ice)**가 단위당 부피가 가장 큽니다.

  • 체이서 (Chaser): 독한 술이나 칵테일을 내놓을 때, 다른 글라스에 물이나 음료를 담아 함께 내놓는 것입니다.

  • 센터 피스 (Center Piece): 테이블의 분위기를 돋보이게 하거나 편의를 위해 중앙에 놓는 장식물 배열을 말합니다.

  • 바 헬퍼 (Bar Helper): 칵테일 재료 준비, 청소 및 업장 보조를 담당하는 조주 보조원입니다.

  • 스탠다드 레시피 (Standard Recipe): 표준 제조표를 의미합니다.

  • 계산서 트레이 (Bill Trays): 계산서, 거스름돈, 신용카드 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 클래식 바 (Classic Bar): 위스키나 코냑과 같은 하드리큐르 판매를 위주로 하며, 마티니, 맨해튼 등 전통적인 칵테일에 중점을 둡니다.



5. 영어 표현

  • Postponed와 같은 의미: Put off (연기하다).

  • **'I feel like throwing up.'**의 의미: 토할 것 같다.

  • 가장 공손한 표현: "Would you like..." (~하시겠습니까?)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