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어조리기능사 필기시험 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식품 위생 및 안전 관리
복어 조리 기능사는 무엇보다 위생과 안전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법규, 소독, 식중독 관련 핵심 사항을 숙지해야 합니다.
식품 소독 및 법규 기준
역성 비누 사용 순서: 보통 비누(때 제거) → 역성 비누(살균) 순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두 비누를 섞어 사용하면 살균력이 약해지므로 반드시 분리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음료수 소독: 가장 적합한 소독제는 **염소(Cl)**입니다.
발색제: 식품 본래의 색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며,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유해 첨가물:
유해 착색료: 아우라민
유해 감미료: 둘신
유해 표백제: 롱가릿
유해 보존료: 붕산
식품 안전관리인증기준 (HACCP): 식품의 원료 관리부터 제조, 조리, 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 요소를 방지하기 위해 중점 관리하는 기준입니다.
영업 신고: 일반음식점의 영업 신고는 관할 시장 · 군수 · 구청장에게 해야 합니다.
식중독 및 미생물
식중독 예방 기본: 식중독을 방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사항은 식품의 냉장과 냉동 보관입니다. 미생물 증식 온도인 위험 온도대(5℃ ~ 60℃)를 벗어나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곡물 저장 수분 함량: 미생물에 의한 변패를 억제하기 위해 수분 함량을 13%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웰치균 (Clostridium perfringens): 혐기성 균주입니다. 아포는 내열성이 강하여 가열해도 쉽게 사멸하지 않습니다.
알레르기성 식중독 원인 물질: 단백질이 탈탄산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아민류가 주원인입니다.
환경 위생 및 감염병
채소 감염 기생충: 편충, 동양모양선충, 회충, 구충 등이 있으며, 이들은 중간 숙주 없이 채소를 통해 감염됩니다.
만성 중독 증상 (비중격천공): 크롬의 만성 중독 시 비점막 염증, 피부 궤양, 비중격 천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과량 조사 시 열사병 유발: 적외선에 장시간 과다하게 노출되면 열사병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수 오염도 측정 (BOD):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수중의 유기물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입니다.
감염병 구별:
세균성: 장티푸스, 콜레라, 이질 등
바이러스성: 폴리오, 인플루엔자, 유행성 감염 등
유행성출혈열: 쥐(설치류)에 의해 전파됩니다.
면역 종류: 예방 접종을 통해 얻는 면역은 인공능동면역입니다.
건강의 정의 (WHO): 육체적 · 정신적 및 사회적 안녕의 완전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2. 식품 과학 및 영양학
조리에 필요한 영양소의 기본 지식과 식품의 색, 맛 변화에 대한 화학적 원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영양소 및 대사
단당류 vs 이당류:
단당류: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이당류: 설탕(자당), 유당, 맥아당
유도 지질: 단순 지질, 복합 지질이 분해되어 생성되며, 지방산이 대표적입니다.
주요 영양소: 육류, 생선류, 알류, 콩류의 주된 영양소는 단백질입니다.
칼슘 흡수 방해 인자: 옥살산은 칼슘과 결합하여 흡수를 방해합니다.
비타민 결핍증:
비타민 C 결핍 시: 괴혈병 발생 (각기병은 비타민 B1 결핍)
비타민 B12는 코발트를 함유합니다.
알코올 열량: 알코올 1g당 열량 산출 기준은 7 kcal입니다.
식품의 화학적 변화
커피의 쓴맛/자극성: 알칼로이드성 물질인 카페인이 주된 성분입니다.
녹색 채소의 갈변: 김치 숙성 시 오이나 배추의 녹색이 갈변하는 것은 클로로필 색소의 변화 때문입니다.
식초의 작용:
생선: 살이 단단해집니다.
붉은 비츠: 선명한 적색이 됩니다.
양파/무: 흰색을 유지하거나 변합니다. (황색으로 변하는 것이 아님)
마요네즈: 유화액을 안정시킵니다.
갈변 반응:
간장/된장 착색: 아미노카르보닐 반응 (마이야르 반응)
마이야르 반응 영향 인자: 온도, pH, 당의 종류, 수분, 농도 등 (효소는 직접적인 영향 인자가 아닙니다.)
3. 조리 실무 및 경영 관리
특히 복어 독의 특성, 일식 조리 용어 및 식재료 관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복어 독(테트로도톡신)의 특성
복어 독 명칭: 신경 독으로 마비, 두통, 구토 등을 동반하는 독은 테트로도톡신입니다.
다른 독소: 시큐톡신(독미나리), 무스카린(독버섯), 베네루핀(모시조개)
독의 성질 (중요):
무색, 무미, 무취의 결정입니다.
산에 강합니다.
열에 매우 강하여 일반적인 가열 조리로 무독화가 어렵습니다.
일식 조리 용어 및 식재료 지식
대바보쵸 (出刃包丁): 칼등이 두껍고 무거운 일식 칼로, 생선의 머리, 뼈 절단 등 밑 손질에 사용됩니다.
다이묘오로시 (大名おろし): 작은 생선을 머리 쪽에서 꼬리 쪽으로 단번에 포 뜨는 방식입니다. (보리멸, 학꽁치 등에 적합)
연간장 (薄口醤油): 옅은 색을 내기 위해 철분이 적은 물을 사용하며, 재료 본연의 색과 맛을 살리는 요리에 적합합니다.
야쿠미 (薬味): 요리의 풍미를 증가시키거나 식욕을 자극하기 위해 첨가하는 채소나 향신료(파, 와사비, 생강 등)를 말합니다.
조우스이 (雑炊): 밥을 씻어 해물이나 야채를 넣고 다시로 끓인 일본식 죽입니다.
오로시의 기능: 생선 비린내 제거, 해독 작용, 풍미 증가 (매운맛 부여는 오로시의 기능이 아닙니다.)
사이교미소 (西京味噌): 크림색에 가깝고 향기가 좋으며 단맛이 나는 일본식 된장입니다.
마멀레이드: 과일즙에 설탕, 과일의 껍질, 과육의 얇은 조각이 섞여 가열 · 농축된 것입니다.
콩의 단백질: 콩의 주요 단백질은 글루테닌/레구민 계통입니다. (글루텐은 밀의 단백질)
알긴산: 해조류에서 추출하며, 식품에 점성을 주고 안정제, 유화제 역할을 합니다.
마가린/쇼트닝: 식물성 유지에 수소를 첨가하여 경화시켜 만듭니다 (수소 첨가 반응).
식재료 구매 및 재고 관리
구매 방법: 필요한 품목, 수량을 표시하여 업자에게 견적서를 제출받고 낙찰자를 정하는 것은 경쟁 입찰입니다.
재고 관리 의의: 급식 생산에 필요한 최소한의 재고량을 유지해야 합니다. 가능한 많이 보유하는 것(자산으로 간주)은 재고 관리의 올바른 의의가 아닙니다.
원가 구성: 판매 가격 = 총원가 + 이익입니다. (총원가 + 판매경비가 아님)
식품 신선도:
계란: 껍질이 거칠고 윤기가 없는 것이 신선합니다. (반들반들하고 매끄러운 것은 오래된 것)
채소 보관: 껍질을 벗기거나 씻은 채소는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해야 합니다. 실온에 두면 안 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