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용사(일반)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미용의 역사 및 이론
미용의 과정 순서: 소재의 확인 → 구상 → 제작 → 보정
우리나라 미용 역사:
고려시대: 얼굴용 화장품인 면약 사용과 두발 염색이 최초로 행해진 시기입니다.
이집트: 헤나를 진흙에 혼합하여 두발에 바르고 태양광선에 건조시켜 염색했던 최초의 나라입니다.
2. 피부 과학 및 생리학
알칼리 중화능: 피부 본래의 산성 표면(pH)으로 알칼리성 용액을 환원시키는 표피의 능력입니다.
피부 감각: 피부가 느낄 수 있는 감각 중 가장 예민한 감각은 통각이며, 가장 둔한 감각은 온각입니다.
피부 기능:
체온 조절: 모세혈관의 수축 및 확장, 땀 분비를 통해 체온을 조절합니다.
보호 작용, 노폐물 배설(땀과 피지), 호흡 작용 등이 있습니다.
멜라닌 색소: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색소형성세포(멜라닌세포)는 주로 표피의 기저층에 위치합니다.
피지선:
피지를 분비하며 진피의 망상층에 위치합니다. 모낭선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피지선은 손바닥에는 전혀 없습니다.
성인의 피지 1일 분비량은 약 1~2g 정도입니다.
피부 질환:
태선화: 표피 전체와 진피의 일부가 건조해지고 가죽처럼 두꺼워지는 현상입니다.
기계적 손상에 의한 질환: 굳은 살, 티눈, 욕창 등이 있으며, 종양은 원발진에 속합니다.
지성피부: 피지 분비가 많아 모공이 넓고 블랙헤드가 잘 생기며, 여드름이나 뾰루지가 잘 생기는 피부 타입입니다.
3. 두발 및 영양학
두발 구조: 피부 밖으로 나와 있는 부분은 모간이며, 모표피, 모피질, 모수질로 구성됩니다.
열량 영양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을 총칭하는 명칭으로, 3대 영양소라고도 합니다.
비타민 D: 표피에서 자외선에 의해 합성되며, 칼슘과 인의 대사를 도와 발육을 촉진시킵니다.
퍼머넌트 웨이브 관련:
웨이브 형성과 직접 관련 있는 아미노산은 모발의 황결합을 이루는 시스틴입니다.
웨이브가 잘 나올 수 있는 경우는 와인딩 시 텐션을 적당히 준 경우입니다.
테스트 컬: 제1액의 작용 정도를 판단하여 정확한 프로세싱 타임을 결정하고 웨이브의 형성 정도를 조사하는 것입니다.
4. 미용 기구 및 헤어 시술
보습제의 조건: 다른 성분과의 혼용성이 좋고, 적절한 보습 능력이 있으며, 응고점이 낮아야 합니다. 휘발성이 없어야 합니다.
헤어 브러시: 탄력 있고 털이 촘촘히 박힌 강모로 된 제품이 적합합니다.
브러시 세정법: 세정 후 털을 아래로 하여 음지에서 말립니다.
커트용 가위: 양날의 견고함이 동일한 것이 좋습니다.
샴푸 종류:
에그 샴푸: 두발이 건조해 있거나 염색에 실패했을 때, 민감성 피부에 적합합니다.
커트 순서: 위그/두발에 수분 → 빗질 → 블로킹 → 슬라이스 → 스트랜드 → 커트.
원랭스 커트형: 평행 보브형, 이사도라형, 스파니엘형, 머시룸 커트 등이 있습니다. 레이어형은 원랭스형이 아닙니다.
얼굴형과 헤어스타일 (사각형): 딱딱한 느낌을 피하고 곡선적인 느낌을 갖는 헤어스타일을 구상하며, 두발형을 높게 하여 옆선이 강조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베이스 및 컬:
오블롱 베이스: 장방형 베이스입니다.
버티컬 웨이브: 웨이브의 흐름이 수직인 웨이브입니다.
스컬프쳐 컬은 두발의 끝이 컬 루프의 중심이 되는 컬이며, 반대는 메이폴 컬입니다.
헤어 블리치 주의사항: 사후 손질로 헤어 리컨디셔너 사용이 권장됩니다.
스캘프 트리트먼트: 비듬성 두피에는 댄드러프 스캘프 트리트먼트를 실시합니다.
가발 손질법: 두발이 빠지지 않도록 두발 끝 쪽에서 모근 쪽으로 서서히 빗질을 해 나갑니다.
5. 공중보건 및 직업 위생
공중보건학의 목적: 질병 예방, 수명 연장,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입니다. 질병 치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건강 수준 지표: 한 국가의 건강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는 영아사망률입니다.
예방접종: 디피티(DPT)는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에 해당합니다.
법정 감염병: 성홍열은 제2급 감염병입니다.
B형 간염 감염 방지: 이/미용업소에서 혈액이나 체액이 닿을 수 있는 면도칼 등을 철저히 소독해야 합니다.
쾌적 환경: 이/미용업소의 실내 쾌적습도 범위는 **40~70%**입니다.
수질 오염 지표: 하수 오염이 심할수록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수치는 높아집니다.
직업병: 식자공의 대표적인 직업병은 근시안입니다.
6. 소독 및 멸균
소독의 정의: 비교적 약한 살균력을 작용시켜 병원 미생물의 생활력을 파괴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없애는 조작입니다.
물리적 소독법: 건열소독 (150~160°C 건열 멸균기 사용) 등이 있습니다.
자비소독 첨가제: 금속제품 자비소독 시 살균력을 강하게 하고 녹을 방지하기 위해 1~2%의 탄산나트륨을 첨가합니다.
열에 약한 액체 멸균: 당이나 혈청과 같이 열에 의해 변성되거나 불안정한 액체 멸균에는 여과멸균법이 이용됩니다.
배설물 소독: 주로 3% 크레졸 비누액을 사용합니다.
상처 표면 소독: 피부 자극이 적어 상처 소독에 적당한 것은 3% 과산화수소입니다.
농도 계산: 소독약 10ml + 물 40ml = 총 50ml. (10/50) × 100 = 20% 수용액입니다.
아포 형성 세균: 탄저균, 파상풍균, 보툴리누스균 등이 아포를 형성합니다. 젖산균은 아포를 형성하지 않습니다.
7. 공중위생관리 법규 및 행정처분
이/미용업자 변경신고 사항: 영업소의 명칭 또는 상호, 영업소의 소재지, 대표자의 성명 등이 포함됩니다. 영업정지 명령 이행은 신고 사항이 아닙니다.
면허증 재교부 사유: 성명 또는 주민등록번호 등 기재사항 변경, 면허증 분실, 헐어 못쓰게 된 때 등입니다. 영업장소 상호 및 소재지 변경은 변경신고 사항입니다.
면허증 게시 의무자: 이/미용업을 하는 자는 영업소 안에 신고증, 면허증 원본, 최종지불요금표를 게시해야 합니다.
영업소 폐쇄명령 후 조치: 간판 제거, 위법 게시물 부착, 필수 기구 봉인 등은 가능하나, 영업 시설물의 철거 조치는 할 수 없습니다.
위생관리 등급: 최우수 업소에 내려지는 등급은 녹색등급입니다.
행정처분 기준 (1차 위반 시):
1회용 면도날을 2인 이상에게 사용: 경고
이/미용업소에서 음란행위 알선 또는 제공: 영업정지 3월
벌칙:
면허가 취소된 후 계속하여 업무를 행한 자: 300만원 이하의 벌금
관계공무원의 출입, 검사 기타 조치를 거부, 방해 또는 기피한 자: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징역 또는 벌금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 영업소 폐쇄명령을 받고도 계속하여 영업을 한 자. (이는 과태료 대상이 아닙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