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화훼장식 디자인의 기본 요소와 원리
화훼장식 디자인은 시각적 요소와 그 요소들을 배열하는 원리를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1.1 디자인 요소: 형태와 선의 역할
디자인의 **선(Line)**은 감상자의 시선을 움직여 전체 구성을 통합하는 **골격(Framework)**이 됩니다. 선은 물체의 형태를 강하게 표현하며 방향에 따라 역동적 또는 정적인 감정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점, 면, 형태(Form), 방향, 명암, 질감, 크기, 색채, 공간 등이 디자인의 요소에 해당합니다.
형태(Form)의 특징: 형태는 3차원적인 입체 공간을 의미합니다. 자연적 형태는 사실적이고 비조형적이며 정적인 속성을 가지며, 기하학적 형태는 안정감, 간결함, 명료함을 제공합니다.
1.2 디자인 원리: 조화와 균형
**균형(Balance)**은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 중 하나로, 둘 이상의 힘이 서로 평균을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칭 균형 (Symmetrical Balance):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쪽 요소가 동일하게 배열되어 편안하고 안정적이며 공식적인 느낌을 줍니다. 위엄적이지만 다소 단조로울 수 있습니다.
비대칭 균형 (Asymmetrical Balance): 양면에 다른 요소가 배치되지만, 전체적으로 동등한 시각적 무게감을 주어 균형을 이룹니다. 자연스럽고 비정형적이며 시각적 움직임으로 인한 생동감을 만들어내며 흥미를 오래 지속시킵니다.
재질의 균형: 직선과 곡선, 딱딱함과 부드러움, 강함과 약함 등 재료가 가진 촉감이나 시각적 특성에서 오는 대비를 조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리듬(Rhythm)과 통일(Unity)
리듬: 같은 요소(선, 색, 형태 등)의 반복이나 점진적인 변화를 통해 시각적인 움직임(율동감)이 연속적으로 되풀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사색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변화를 주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통일: 디자인의 여러 요소들 속에 조화나 일치감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유사한 선적인 요소, 형태, 색상 등의 반복 속에서 비롯됩니다.
비례: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의 길이, 크기, 양 등의 비율을 다루는 원리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황금비율은 8 : 5 : 3 또는 1 : 1.618로 표현됩니다.
2. 화훼장식 제작 기법 및 분류
2.1 절화 줄기의 고정 및 보강 기법
절화 줄기의 고정 방법으로는 플로랄폼, 침봉, 철망, 격자(Grid), 끈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글루포트는 접착제로 꽃을 붙이는 기법으로 줄기 고정 방법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와이어와 줄기가 분리되는 것을 막거나 와이어를 감추기 위해 사용하는 자재는 **플로랄 테이프(Floral Tape)**입니다. 와이어링 후 접착성 있는 이 테이프를 감아 줄기와 와이어를 단단히 고정하고 보호합니다.
2.2 부케 제작 방법의 종류
신부 부케의 제작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핸드타이드 부케 (Hand-tied Bouquet): 절화, 절지, 절엽의 자연 줄기를 모으는 점을 중심으로 **나선형(Spiral)**으로 가지런하게 배열한 뒤 끈으로 묶어주는 방법입니다. 줄기를 잘라 세웠을 때 반듯하게 설 수 있도록 하여 증정 받은 후 바로 화기에 꽂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와이어링 부케 (Wiring Bouquet): 절화 줄기를 자르고 **철사(와이어)**로 대체하여 줄기를 마음대로 구부릴 수 있게 한 뒤 배열하여 묶는 방법입니다. 형태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습니다.
부케 홀더: 플로랄 폼이 있는 홀더에 꽃꽂이 하듯이 꽃을 꽂아 꽃다발 형태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2.3 소재 구성 및 배열 기법
트위스팅(Twisting)법: 필러 플라워 등 작은 꽃이나 가지를 한 번에 모을 때 꽃잎 기부나 절지 부분을 철사로 감아 보강하는 기법입니다. 숙근안개초, 미스티블루, 소국과 같이 잔가지가 많은 소재에 주로 사용됩니다.
묶는 기법 (Banding, Binding, Bundling):
밴딩(Banding): 묶는 행위 자체에 장식적인 목적이 강합니다.
바인딩(Binding): 단순하게 끈 등으로 묶어 고정하는 것입니다.
번들링(Bundling): 볏단처럼 같은 재료를 단단히 묶어 다발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꽂는 기법 (Sequencing, Grouping):
그루핑(Grouping): 같은 종류의 재료를 모아 꽂음으로써 재료의 형태, 색채, 양감, 질감 등을 강조하는 기법입니다.
시퀀싱(Sequencing): 크기, 색, 질감 등 요소에 점진적인 변화를 주어 배열하는 기법입니다.
평행선(병행선) 배열: 여러 개의 초점으로부터 나온 줄기가 모두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뻗어 있는 줄기 배열입니다.
식생적 구성 (Vegetative): 식물이 자연 상태에서 살아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조형하며, 식물의 생리적 생장점(출발점)을 고려하여 구성합니다.
3. 필수 원예학: 식물 생리와 관리
3.1 절화의 수명 연장 및 관리
물올림(Water Uptake) 촉진: 절화를 수확한 후 또는 구입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줄기의 아랫부분을 **물속에서 사선(45° 각도)**으로 재절단하는 것입니다. 사선으로 자르는 이유는 절단면의 면적을 늘려 수분 흡수 면적을 넓히기 위함이며, 물속에서 자르는 것은 줄기 내의 공기 유입을 막아 물 흡수를 돕기 위함입니다.
노화 촉진 물질: 식물이 상처를 입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에틸렌(Ethylene) 가스가 증가하여 노화를 촉진합니다. 장미는 급격한 수분 감소로 인해 물올림이 잘되지 않으면 꽃목굽음 현상이 발생합니다.
절화 보존제: 주성분은 당류(탄수화물, 자당), 살균제, 생장조절물질, 에틸렌 억제제, 무기질 등이며, 살충제는 주성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열탕/탄화 처리: 국화, 라일락 등은 열탕 처리로 물 흡수를 촉진하며, 장미는 탄화 처리가 주로 사용됩니다.
3.2 식물 생육 환경 및 관수
산성토양 적합 식물: pH 5 이하의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는 식물로는 철쭉류, 블루베리, 에리카, 치자나무 등이 있습니다.
구근류 분류:
괴근(덩이뿌리): 달리아
인경(비늘줄기): 수선화, 백합, 튤립
구경(줄기비대): 글라디올러스, 프리지아, 크로커스
괴경(덩이줄기): 칼라
시비(비료 주기) 방법:
엽면시비: 뿌리 기능이 약하거나 신속한 효과를 원할 때 식물의 **잎(엽면)**을 통해 양분을 흡수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저면관수: 화분을 물통에 담가 아래에서부터 물을 흡수하게 하는 관수 방법입니다.
배양토의 특징: 부엽토는 활엽수의 잎이 썩어 만들어진 유기질 토양으로, 보수성과 보비력이 매우 우수합니다. 마사토는 화강암의 풍화로 생긴 흙으로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습니다.
3.3 화훼의 일반적 특성
화훼는 국제성이 높은 작물이며, 노동집약적이고, 종과 품종수가 매우 다양하며, 높은 재배 기술이 필요한 작물입니다.
4. 화훼장식 역사, 형태 및 용도별 분류
4.1 화훼장식의 역사적 배경
바로크 시대 (Baroque, 17세기):
S자형 꽃꽂이 (호가디안 선) 형태가 유행했습니다. 영국의 화가 윌리엄 호가스가 정립했습니다.
곡선이 직선보다 많이 이용되었으며, 복잡하고 흘러넘치는 듯한 운율적인 비대칭 균형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원추형 디자인은 르네상스 시대의 형태이며, 바로크 시대의 특징이 아닙니다.
르네상스 시대 (Renaissance, 15세기):
종교적인 상징을 표현하는 장식이 성행했으며, 대칭 삼각형, 원추형, 피라미드형과 같은 명확한 기하학적 형태가 대표적입니다.
플레미시형은 17세기 네덜란드 예술가들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양식입니다.
고전적 화형: **초승달형(Crescent)**은 양 끝이 이어지려는 듯이 곡선과 공간의 균형이 아름다우며 동적인 느낌을 주는 고전적 형태입니다.
4.2 문화와 기능
오방색: 우리나라 동양권의 오방색(적, 흑, 청, 백, 황) 중 **황(黃)**은 중앙을, 적(赤)은 남쪽(火), 흑(黑)은 북쪽(水), 청(靑)은 동쪽(木), 백(白)은 서쪽(金)을 상징합니다.
화훼장식의 기능:
환경적 기능: 공기 정화, 습도 유지, 온도 조절, 음이온 발생 등 실내 환경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심리적 기능: 회사원의 스트레스 감소, 일의 효율성과 창의성 증진 등 정신적 안정과 활력에 기여합니다.
조선시대 문헌: 분식물 장식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산림경제, 양화소록, 임원십육지 등이 있으며, 동국이상국집은 고려시대 문신 이규보의 시문집입니다.
4.3 용도별 화훼장식 및 소재
테이블 장식 (Centerpiece): 앉아서 좌담하는 테이블 장식용으로는 높이가 낮고 좌우로 퍼지는 수평형(Horizontal) 화형이 주로 활용됩니다. 마주 앉은 사람의 시선을 가리지 않도록 높이를 낮게 하며, 식욕을 방해하거나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향기가 강한 꽃이나 꽃가루가 떨어지는 꽃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몸 장식: 결혼식에서 남성의 상의 칼라 단추구멍에 꽂는 몸 장식용 꽃은 **부토니아(Boutonnier)**라고 합니다.
분식물 장식: 유리 용기에 도마뱀, 개구리, 거북 등 동물과 식물을 함께 생육시키는 식물 장식은 **비바리움(Vivarium)**입니다. **테라리움(Terrarium)**은 식물만을 이용합니다.
테라리움 관리 유의사항: 직사광선은 잎에 화상을 입히므로 피하고 걸러진 밝은 빛에 두어야 합니다.
걸이화분 소재: 우리나라 자생화류 중 걸이화분용으로 적합한 소재는 아래로 늘어지는 형태를 가진 산호수 등이 있습니다.
가공화: **건조화(Dried Flower)**는 생화의 지속 시간이 짧은 단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보존화(Preserved Flower)**는 생화를 특수 보존액으로 처리하여 건조화에 비해 생화에 가까운 탄성과 유연성을 지니게 한 것입니다.
5. 색채학 및 기타 이론 정리
5.1 색채의 혼합 및 대비
색료의 3원색 (CMY): 색료(물감, 잉크)의 3원색은 Cyan, Magenta, Yellow이며, 혼합할수록 명도가 낮아져 검은색(흑색)에 가까워집니다.
빛의 3원색 (RGB): 스펙트럼의 3원색(빨강, 녹색, 파랑)을 전부 혼합하면 백색이 됩니다.
먼셀 색체계 (Munsell Color System): 먼셀 색체계에서 보색 관계로 짝지어진 것은 주황(YR) - 파랑(B) 등입니다. (빨강-청록, 노랑-남색, 보라-연두)
색의 대비:
색상 대비: 두 색이 나란히 있으면 서로의 보색 방향으로 영향을 미쳐 채도가 더 높아 보입니다.
명도 대비: 주위 색과의 명도차가 클수록 강해집니다.
한난 대비: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이 대비되는 현상으로, 원근 암시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청색/보라색은 수축되어 보이고 노란색/주황색은 팽창되어 보입니다.)
5.2 채도와 색조의 감정 효과
파스텔 색조 (Pastel Tone): 채도가 낮고 명도가 높은 색조를 의미하며, 화사하고 안정적이며 흥분을 가라앉히는 감정 효과가 있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