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과기능사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재료 과학 (Ingredients Science) 핵심
1.1. 계량 및 배합의 기본
재료 계량 시 유의사항:
반드시 수평한 곳에서 계량해야 합니다.
재료 손실이 없도록 유의하며, 계량 후 배합표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유산지 등 용기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용기키(Tare)를 눌러 0으로 맞춘 후 순수한 재료의 무게만 측정해야 합니다.
베이커스 퍼센트 (Baker's Percent):
**밀가루 무게를 100%**로 기준으로 하여 각 재료의 사용량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입니다. (트루 퍼센트는 전체 재료 합을 100%로 함)
1.2. 주요 성분 특징
단백질:
인단백질: 단순단백질에 인산이 결합한 단백질.
지단백질: 지질과 단백질이 결합.
당단백질: 단백질과 탄수화물이 결합.
핵단백질: 핵산과 단백질이 결합.
당 (Sugar):
환원당: 포도당, 과당, 맥아당, 유당, 갈락토스 (갈변 반응에 참여).
비환원당: 설탕 (자당), 전분. 설탕은 환원성이 없습니다.
유지 (Fat/Oil):
발연점: 유지가 연기를 내기 시작하는 최저 온도입니다.
유리지방산 함량이 많을수록, 노출 표면적이 클수록, 불순물이 많을수록 발연점은 내려갑니다. (용해도는 영향이 적음)
좋은 튀김유는 산패를 일으키기 쉬운 리놀렌산 함량이 적은 것이 좋습니다.
전분의 노화 억제 (빵/떡의 노화 방지):
설탕 및 유화제 첨가.
수분 함량을 15% 이하로 조절하여 건조 보관.
80ºC 이상에서 급속히 건조.
주의: 전분의 노화는 수분 30~60%, 온도 0~5ºC일 때 가장 일어나기 쉽습니다. (냉장 보관은 노화 촉진)
젤라틴:
농도가 높을수록 빨리 응고됩니다.
설탕은 젤라틴 분자 망상구조 형성을 방해하여 농도가 높을수록 젤리 강도를 감소시킵니다.
2. 제과 제조 공정 핵심
2.1. 케이크 및 반죽 제조
반죽형 케이크 vs. 거품형 케이크:
반죽형: 머핀, 파운드 케이크, 과일 케이크 (유지 함량이 높아 반죽 온도가 중요).
거품형: 스펀지 케이크 (전란 또는 흰자 거품 사용).
고율 배합 (High Ratio)의 특징:
믹싱 중 공기 혼입 정도가 높습니다.
비중이 낮고, 화학 팽창제의 사용량도 적습니다.
굽는 온도는 낮고 장시간 굽습니다.
믹싱법:
설탕/물법: 액당을 사용하여 제조 공정을 단축하는 믹싱법입니다.
반죽형 반죽 제조 시 주의사항:
설탕은 분리되지 않도록 양이 많을 경우 두세 번에 나누어 투입해야 합니다.
달걀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유지가 분리되기 쉽습니다.
2.2. 쿠키 및 파이 제조
쿠키의 분류:
반죽형 쿠키: 드롭 쿠키, 스냅 쿠키, 쇼트브레드 쿠키.
거품형 쿠키: 머랭 쿠키, 스펀지 쿠키.
퍼프 페이스트리:
반죽 재료에 이스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유지와 밀가루의 층으로 팽창)
정형 시 파지(자투리)를 최소화하고 예리한 기구로 절단합니다.
정형 후 유지가 녹지 않도록 30~60분간 휴지시키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굽기 온도: 온도가 너무 높으면 껍질이 먼저 생겨 제품이 갈라지고, 낮으면 부피가 작고 묵직해집니다.
타르트 반죽 (파트 브리제, 파트 쉬크레):
유지가 녹기 쉬우므로 반죽에 사용하는 재료는 차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3. 기타 공정 및 용어
마찰계수 공식:
마찰계수 = (반죽 결과 온도 × 6) - (실내 온도 + 밀가루 온도 + 설탕 온도 + 유지 온도 + 달걀 온도 + 수돗물 온도)
팬닝량 (Fan Volume):
반죽 분할량 = 팬 용적 / 비용적
적정 패닝 양: 커스터드 푸딩 약 95%, 반죽형 반죽 70~80%, 거품형 반죽 50~60%.
정형의 중요성:
제품 정형 시 균일하게 나누어야 굽기 과정에서 열전달이 일정하게 이루어집니다.
템퍼링 (Tempering):
초콜릿을 안정화시키는 과정입니다. 맨 처음 초콜릿을 녹이는 공정의 적정 온도는 50~55ºC입니다.
아이싱 (Icing):
폰당 (Fondant): 설탕 시럽을 115ºC까지 끓인 후 40ºC로 식혀서 만든 아이싱입니다.
오븐 종류:
컨벡션 오븐: 고온의 열을 강력한 팬을 이용하여 강제 대류시키며 제품을 굽는 오븐입니다.
3. 위생 및 안전 관리 핵심
3.1. 화학 반응 및 저장
메일라드 반응 (Maillard Reaction):
포도당이나 설탕(환원당)과 아미노산이 만나 갈색 물질(멜라노이딘)을 형성하는 비효소적 갈변 반응입니다.
영향 인자: pH, 수분, 온도, 당의 종류. 효소는 영향이 없습니다.
산패 (Rancidity):
유지가 산화되어 역한 냄새가 나고 점성이 증가하며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입니다.
식품 보존 방법:
장기간 보존법: 배건법 (건조), 염장법, 산저장법.
단기 저장법: 냉장법 (평균 5ºC)은 장기 보존법과 거리가 뭅니다.
베이킹파우더 과다 사용 시:
세포벽이 열려 속결이 거칠어집니다.
오븐 팽창이 커서 찌그러들기 쉽고, 속색이 어둡고 건조가 빠릅니다.
3.2. 식중독 및 감염병
식중독 분류:
독소형: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클로스트리듐 보툴리눔균 식중독.
감염형: 살모넬라 식중독,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황색포도상구균: 식품 취급자의 화농성 질환 (고름)에 의해 감염됩니다.
식중독 위기 대응 단계:
Orange 단계: 전국에서 동시에 원인 불명의 식중독이 확산되는 단계.
곰팡이 독소: 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파툴린. (엔테로톡신은 세균 독소입니다.)
감염병 발생 3대 요인: 병인 (병원체), 숙주 (감수성), 환경. (예방접종은 요인이 아닌 예방책입니다.)
3.3. 위생 관리 및 법규
소독 방법:
자외선 소독: 2,537Å의 파장에서 30~60분 동안 소도구, 용기류 등에 이용됩니다.
복장 위생:
위생 장갑은 즉석식품을 다룰 때 사용하고, 재료를 가열하는 공정에는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장갑 착용 전에는 반드시 손을 세척해야 하며, 교차 오염을 막기 위해 작업 변경 시 교체가 필수입니다.
작업실 바닥:
내구성 및 내수성이 있어야 합니다.
액체가 흘러 배수되기에 충분한 구배를 확보해야 합니다.
작업장 바닥의 이음새에는 틈이 없어야 하고, 모서리는 세정이 용이한 구조로 해야 합니다.
식품위생법 (목적):
식품으로 인한 위생상의 위해 방지.
식품 영양의 질적 향상 도모.
국민 보건의 증진에 이바지.
식품위생감시원 직무:
영업소 폐쇄 조치, 건강진단 및 위생교육 이행 확인, 조리사/영양사 법령 준수 확인 및 지도.
주의: 영업의 건전한 발전과 공동의 이익 도모는 직무가 아닙니다.
유통기한 영향 요인:
수분 함량 및 수분활성도, pH 및 산도, 포장 재질 및 방법 등이 영향을 줍니다. 제조사명은 영향이 없습니다.
식품첨가물:
소포제: 식품 제조 공정 시 거품을 제거하거나 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발색제 (허가):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아질산칼륨은 허가된 발색제가 아닙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