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용사(네일) 필기시험 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공중위생 및 감염병 관리 (총론 및 소독)
1-1. 감염병 및 보균자 관리
보균자의 특징: 병원체를 체내에 보유하고 있으나 겉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사람입니다. 전염병 관리 시 색출이 어렵고, 활동 영역이 넓으며, 격리가 어렵다는 점 때문에 관리가 까다롭습니다.
감염병 매개체:
모기 매개: 말라리아, 황열, 일본뇌염.
이 매개: 발진티푸스.
법정 감염병 급수:
제1급 감염병: 디프테리아 등.
제2급 감염병: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등.
1-2. 소독 및 방부의 개념
방부 (Antiseptic): 병원성 미생물의 발육을 정지시켜 음식의 부패나 발효를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멸균 (Sterilization): 병원균이나 포자까지 완전히 사멸시켜 제거하는 가장 강력한 소독 방법입니다.
소독 (Disinfection): 유해한 병원균 증식과 감염 위험성을 제거합니다. (포자는 제거되지 않음).
1-3. 물리적 소독법의 종류
건열 멸균법: 화염 멸균법, 소각법, 건열 멸균법.
습열 멸균법: 자비 소독법 (끓는 물), 고압 증기 멸균법 (오토클레이브), 저온 살균법.
화학 소독제:
과산화수소: 3% 수용액 사용, 구내염, 입안 세척 및 상처 소독에 발포 작용으로 효과적입니다.
크레졸수 (3%): 석탄산보다 소독 효과가 높으며, 이·미용실의 객담, 배설물, 바닥 소독에 주로 사용됩니다.
알코올 (70%): 네일 도구 소독에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농도입니다.
1-4. 미생물 환경
세균 성장의 최적 pH: pH 6.5~7.5 (약산성에서 중성에 가까운 범위)에서 세균이 가장 잘 자랍니다.
병원성 미생물: 동물이나 사람에 감염되어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을 말합니다. (질병을 치료하는 미생물이 아님)
대소변, 배설물 소독: 소각법, 생석회, 석탄산수, 크레졸수를 사용합니다. (증기 소독은 사용하지 않음).
2. 해부생리 및 피부과학
2-1. 피부 및 노화
색소성 피부 질환:
과색소 침착: 기미, 검버섯, 오타 모반.
저색소 침착: 백반증, 백색증.
피지선 활성 호르몬: 안드로겐 (남성 호르몬)은 피지선 활동을 높여 여드름 등을 유발합니다.
노화의 종류:
내인성 노화 (자연 노화): 유전, 혈액순환 저하 등 내부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외인성 노화 (광노화, 환경적 노화):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수면 습관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멜라닌 세포 증가(색소 침착)를 유발합니다.
화상:
1도 화상: 표피만 손상.
2도 화상: 진피의 일부까지 손상.
3도 화상: 피부의 진피층까지 모두 손상되어 괴사되는 상태.
2-2. 광선 및 온도 효과
자외선 (UV):
긍정적 효과: 비타민 D 합성, 살균 및 소독, 강장 효과 및 혈액순환 촉진.
부정적 효과: 노화, 홍반, 일광 화상, 색소 침착.
UV-B (중파장): 표피 기저층까지 침투하며, 홍반 발생, 일광 화상, 색소 침착의 주원인입니다.
적외선: 혈액순환 촉진, 신진대사 촉진, 근육 이완 및 수축에 도움을 줍니다. (색소 침착 및 홍반은 자외선의 영향임).
자외선 차단 지수: SPF (Sun Protection Factor)는 UV-B의 차단 효과를 나타냅니다.
2-3. 손의 해부학적 이해
뉴런 접속 부위: 뉴런과 뉴런이 만나는 접합 부위는 시냅스입니다.
골격계의 기능:
보호 기능 (주요 장기 보호).
신체 지지 기능 (각 부위 지지).
운동 기능 (관절과 근육 부착).
저장 기능: 인과 칼슘을 저장하고 필요 시 공급합니다. (혈구 생성은 조혈 기능).
손의 주요 신경:
액와 신경: 삼각근 상부의 피부 감각 지배.
정중 신경: 손바닥 외측 1/2의 피부 감각 지배.
척골 신경: 앞팔 내측 피부 감각 및 새끼손가락 쪽 지배.
요골 신경: 손등의 감각과 엄지 쪽 지배.
3. 네일의 구조 및 이상
3-1. 네일 구조 (조직)
네일 보디 (조체): 눈으로 볼 수 있는 손톱 전체를 말하며, 여러 층의 각질로 구성되어 네일 베드를 보호합니다.
네일 루트 (조근): 새로운 세포가 만들어지면서 손톱 성장이 시작되는 부분입니다.
매트릭스 (조모): 손톱의 뿌리로, 손상을 입으면 성장을 저해시키거나 기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모세혈관과 신경 세포가 분포합니다.
네일 베드 (조상): 네일 밑부분이며 네일 보디를 받치고 있는 부분입니다. 네일의 신진대사와 수분 공급을 담당합니다.
루눌라 (반월): 네일에서 반달 모양 부분이며, 네일 베드와 매트릭스가 만나는 부분으로, 케라틴화가 불완전하게 된 상태입니다.
3-2. 네일 주위 피부 및 특성
큐티클 (조소피): 네일 주위를 덮고 있는 피부로, 외부의 병원물이나 오염 물질로부터 네일을 보호합니다.
하이포니키움 (하조피): 프리에지 아래 네일 베드를 끝막는 부분으로, 세균으로부터 네일 베드를 보호합니다.
네일 그루브 (조구): 네일 베드의 양 측면에 좁게 패인 홈을 말합니다.
네일의 특성:
단백질 (주로 케라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손톱에는 신경, 혈관, 털이 없습니다.
경도는 함유된 수분의 양이나 케라틴 조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3-3. 네일의 형태 및 시술 제한
이상적인 형태: 라운드 스퀘어형이 고객이 가장 선호하는 형태입니다.
오벌형: 여성적이며 손가락이 길고 가늘어 보이지만, 약하고 파손되기 쉬운 형태입니다.
포인트형: 손끝을 뾰족하게 만든 형태로 개성이 강하지만, 대중적이지 않습니다.
네일 시술 불가 질환:
몰드 (사상균증): 손톱이 황록색으로 시작하여 검은색으로 변하는 질환으로, 전염성이 있어 시술이 불가능합니다.
주의 필요 질환: 멍든 손톱, 조갑 변색, 니버스(검은 반점) 등은 보통 시술이 가능하지만 상태에 따라 주의가 필요합니다.
4. 네일 미용 재료 및 도구
4-1. 네일 재료
베이스 코트 (Base Coat): 폴리시 도포 전에 손톱에 발라 착색을 방지합니다.
탑 코트 (Top Coat): 폴리시 도포 후에 발라 광택과 지속성을 높여줍니다. (손톱에 색을 부여하지는 않습니다).
큐티클 오일 (Cuticle Oil): 큐티클에 유분과 수분을 공급하여 굳은살 제거 시 유연하게 만듭니다.
4-2. 네일 도구의 기능
푸셔 (Pusher): 큐티클을 밀어 올릴 때 사용합니다.
네일 클리퍼 (Nail Clipper): 손톱을 자를 때 사용합니다.
니퍼 (Nipper): 큐티클을 잘라 정리할 때 사용합니다.
네일 버퍼 (Nail Buffer): 손톱의 표면을 정리하고 광택을 낼 때 사용합니다.
웰 (Well): 네일 팁이 자연 네일과 접착되는 부분으로, 네일 접착제를 바르는 곳입니다.
4-3. 화장품 및 성분
화장품 정의: 인체를 청결, 미화하고 매력을 더하며, 피부/모발의 건강 유지/증진을 위해 인체에 바르거나 뿌리는 제품입니다. 질병의 치료 및 진단이 목적이 아닙니다.
에멀션 (Emulsion): 물과 오일처럼 서로 녹지 않는 두 액체를 미세하게 분산시켜 놓은 상태입니다.
오일의 종류:
식물성 오일: 동백 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 오일 등.
광물성 오일: 실리콘 오일, 미네랄 오일 등.
화장수 알코올 함유량: 일반적으로 10% 전후입니다.
계면활성제 세정력 (강한 순서): 음이온성 > 양쪽성 > 양이온성 > 비이온성.
보습제의 조건: 적절한 보습력, 높은 피부 친화성, 다른 성분과 잘 섞일 것.
5. 네일 시술 및 역사
5-1. 네일 시술의 종류
습식 매니큐어: 물에 손을 담가 큐티클을 불려서 관리하는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파라핀 매니큐어: 건조한 손에 보습과 영양을 효과적으로 공급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합니다.
프렌치 매니큐어: 프리에지 부분에 다른 색상의 폴리시를 도포하여 깔끔한 이미지를 줍니다.
스컬프처 네일 (Sculpture Nail): 네일 폼을 이용하여 네일의 길이를 인위적으로 연장하는 방법입니다.
아크릴릭 네일: 인조 팁보다 내수성과 지속성이 좋으며, 물어뜯는 손톱에도 시술이 가능합니다.
5-2. 컬러링 기법
풀 코트 (Full Coat): 손톱 전체에 컬러링 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데이션 (Gradation): 프리에지 부분이 진하고 큐티클로 올라갈수록 연하게 색상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딥 프렌치: 손톱의 1/2 이상 스마일 라인을 형성하여 컬러링 합니다.
5-3. 네일 미용 역사
고려시대 (한국): 여성들의 풍습으로 봉선화로 손톱을 물들이기 시작했습니다.
15세기 명나라 (중국): 왕조들은 흑색과 적색을 손톱에 발라 신분을 과시했습니다.
1997년 (한국): 미국 크리에이티브 네일사의 제품이 국내에 출시되면서 네일 제품의 대중화가 이루어졌으며, 한국 네일 협회가 창립되었습니다.
2014년 (한국): 미용사(네일) 국가자격증 제도가 시작되었습니다.
6. 공중위생관리법 핵심 기준
6-1. 영업자 준수사항 및 행정처분
위생 교육: 이·미용업 영업자가 매년 3시간의 위생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받지 않은 자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게시 의무: 영업소 내부에 이·미용업 신고증 및 개설자의 면허증 원본을 게시해야 합니다.
시설 및 기구 관리:
소독한 기구와 하지 않은 기구는 각각 다른 용기에 넣어 보관해야 합니다.
조명은 75룩스 이상 유지되도록 해야 합니다.
소독기, 자외선 살균기 등 기구를 소독하는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밀폐된 별실은 둘 수 없습니다.
1회용 면도날 사용: 손님 1인에 한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위반 시 행정처분 (2인 이상 사용): 1차 위반 시 경고입니다. (2차는 영업정지 5일).
공중위생 감시원: 특별시, 광역시, 도 및 시·군·구에 두며, 보건소에는 두지 않습니다.
과태료 (200만원 이하): 위생 관리 의무 불이행, 영업소 외의 장소에서 영업 행위, 위생 교육을 받지 않은 자.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