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6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화훼장식 기초 원예 지식 및 식물 관리


1.1 식물의 분류와 생육 환경

식물은 수분요구도에 따라 건생식물과 습생식물로 나뉩니다. 건생식물은 물 요구도가 낮으며, 대표적으로 채송화, 돌나물, 바위솔, 선인장 등이 있습니다. 반면, 습생식물은 물 요구도가 높아 토란, 꽃창포, 억새 등이 이에 속합니다.

추위에 강해 노지 월동이 가능한 여러해살이풀을 내한성 숙근초라고 하며, 국화, 작약, 패랭이꽃, 아퀼레기아 등이 있습니다.

CAM 식물은 환경 적응 능력이 뛰어나 낮에는 기공을 닫고 밤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저장했다가 낮에 광합성을 하는 식물입니다. 산세비에리아, 선인장, 호야, 반다, 칼랑코에 등이 대표적입니다.

개화 특성에 따라 단일식물 (밤이 길 때 개화, 예: 코스모스, 국화, 포인세티아)과 장일식물 (낮이 길 때 개화, 예: 금어초, 카네이션, 피튜니아)로 구분됩니다.


1.2 광합성 및 비료

  • 광합성 증진 요소: 광(빛)이 충분한 조건에서 광합성량을 늘리려면 이산화탄소(CO₂)의 농도를 높여야 합니다. 이산화탄소는 광합성의 주요 원료입니다.

  • 엽면시비: 뿌리의 흡수 기능이 약해졌을 때 식물의 초세를 빨리 회복시키기 위해 액체 비료를 식물 잎(지상부)에 직접 살포하는 시비 방법입니다.


1.3 토양 및 배양토

좋은 토양은 보수력, 보비력, 배수성, 통기성이 모두 우수해야 하며, 특히 염류(소금기)가 적은 무병토여야 합니다. 토양에 염류가 많으면 뿌리 기능이 저하되어 식물 생육에 좋지 않습니다.

광물질 배양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사용됩니다:

  • 버미큘라이트: 질석을 고열로 가열하여 공극을 팽창시킨 것으로, 보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합니다.

  • 펄라이트: 진주암을 고열로 부풀게 한 것입니다.

  • 하이드로볼: 황토를 원료로 하여 고열로 살균 처리한 인공 배양토입니다. (현무암을 구운 다공질 소재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 암면: 용융된 암석을 섬유상으로 가공한 것입니다.


1.4 실내 식물의 환경적 영향

실내 식물은 환경에 여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공중 습도를 증가시키고, 실내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방지하며, 녹지 효과를 통해 시각적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가장 중요한 공기 정화 원리는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한다는 점입니다.



2. 화훼 디자인 요소 및 원리


2.1 디자인 요소

  • 양감 (Mass): 만져서 느낄 수 있는 촉각과 더불어 덩어리감, 중량감, 부피감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요소입니다.

  • 질감 (Texture): 재료의 조직, 밀도, 빛의 반사도 등에 따른 시각적 느낌을 말합니다.

  • 선 (Line): 수직선은 힘과 강함, 위엄, 엄격함 등 정적인 느낌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2.2 디자인 원리

  • 비례 (Proportion): 통일과 변화를 조성하는 원리이며, 많고 적음, 길고 짧음, 부분과 전체의 차이 비율을 다루어 조형적인 효과를 냅니다.

  • 균형 (Balance):

    • 대칭 균형 (Symmetrical): 상상 속 중앙 수직축을 기준으로 양쪽 요소가 동일하게 배열되어 편안하고 안정되며 공식적인 느낌을 주지만, 단조로울 수 있습니다.

    • 비대칭 균형 (Asymmetrical): 자연스럽고 비정형적이며 시각적 움직임으로 인한 생동감이 느껴집니다.

  • 리듬 (Rhythm): 형이나 색의 반복 또는 점진적인 변화를 통해 시선의 시각적 움직임(율동감)을 유도합니다. 옅은 색에서 진한 색으로의 변화 등 색깔 변화를 통해서도 충분히 리듬감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 통일 (Unity): 통일감을 주기 위해서는 동일 질감, 유사색 사용, 일관된 기술 사용 등을 활용해야 합니다. 반면, 대조되는 선의 이용은 통일감을 해치는 요소입니다.

  • 강조 (Emphasis): 시각적 무게가 무거운 어두운 색의 꽃을 중앙에 두고 주위를 옅은 색의 꽃으로 배치하는 것이 강조점을 두는 좋은 예입니다. 다만, 폼 플라워(색이나 형태가 특이한 꽃)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오히려 작품의 특성이나 인상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2.3 색채 이론

  • 가법 혼색 (Additive Color Mixture): 빛의 삼원색은 **빨간색(Red), 녹색(Green), 파란색(Blue)**이며, 혼합할수록 명도가 높아져 흰색이 됩니다.

  • 색채의 명시성: 두 색을 대비시켰을 때 멀리서도 잘 보이는 성질을 말합니다. 검은색과 노란색을 사용하는 교통 표지판은 명시성이 높은 색상, 명도, 채도 대비를 이용한 것입니다.

  • 연변 대비 (Edge Contrast): 어떤 두 색이 맞붙어 있을 때 그 경계 부분이 경계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분보다 색의 세 속성 대비(색상, 명도, 채도)가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 유사 색상 배색 (Analogous Color Scheme): 색상환에서 서로 인접해 있는 색들을 조합하여 부드럽고 통일감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는 배색입니다. (예: 노랑, 주황, 노랑주황).

  • 먼셀 표색계 (Munsell Color System): 색상(H), 명도(V), 채도(C)로 표기하며, 표기 순서는 HV/C입니다. 최초 색상 기준은 5원색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입니다.



3. 화훼장식 기법 및 제작 과정


3.1 절화 처리 및 수명 연장

  • 물올림 (Water Uptake): 수분 흡수면적을 넓히기 위해 줄기 기부를 45도 비스듬히 자릅니다. 이때 가위보다 예리한 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탄화 처리 (Carburization): 유액이 많이 나오는 절화(수국, 장미, 포인세티아 등)의 줄기 절단면 1~2cm 정도를 불에 태운 다음 찬물에 담가 유액 응고를 막고 물 흡수를 원활하게 하는 처리법입니다.

  • 노화 촉진: 절화의 성숙과 노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에틸렌 가스입니다. 피해 방지를 위해서는 냉장 보관이 효과적입니다.


3.2 와이어링 및 장식 기법

다양한 화훼장식 기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큐어링법: 줄기가 약하거나 줄기로 곡선을 나타낼 때 줄기 바깥쪽에 와이어를 감아 보강하는 기법입니다. 프리지어, 은방울꽃 등에 적용됩니다.

  • 파베 (Pavé): 작은 보석을 빽빽하게 배치하듯, 소재들을 높낮이 차이 없이 조밀하게 비치하여 색과 질감을 대비시키는 기법입니다. 플로랄폼이 보이지 않도록 마감하며, 테이블 중앙 장식에 사용됩니다.

  • 번들링 (Bundling): 볏단이나 밀짚 다발처럼 같은 재료 또는 비슷한 재료를 단단히 묶는 기법으로, 밀짚다발 형태의 부케 등에 활용됩니다.

  • 밴딩 (Banding): 묶는 기법 중 장식적인 목적이 강하며, 특정한 소재를 강조하거나 관심을 집중시키기 위해 컬러 와이어, 리본 등을 반복적으로 묶어주는 기법입니다.

  • 그루핑 (Grouping): 유사한 소재들을 무리지어 꽂음으로써 형태, 색채, 양감, 질감 등을 강조하는 기법입니다. 이때 같은 크기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그루핑의 대상에서 거리가 멉니다.

  • 클러스터링 (Clustering): 덩어리를 강조하기 위하여 소재들 사이의 공간을 제거하고 빈틈없이 모아 덩어리 모양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 조닝 (Zoning): 특정 소재를 다른 소재와 분리시킴으로써 제작 시 빈 공간이 존재하게 연출하여 구획을 정리하는 표현 기법입니다.

  • 시퀀싱 (Sequencing): 크기, 색, 질감 등 요소에 점진적인 변화를 주어 배열하는 기법입니다. 중심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어두운 색에서 밝은 색으로 배치하는 점층적인 색채 변화에 사용됩니다.

  • 베이싱 (Basing): 디자인의 아래쪽을 시각적인 흥미를 위해 장식하고 플로랄폼을 가려주는 기술입니다. 필로잉, 테라싱 등의 기술이 사용되며 베이스 마감에 중요합니다.


3.3 플라워 디자인 제작 과정

플라워 디자인의 제작 과정은 다음 순서로 진행됩니다: 

주제의 결정 → 물리적인 파악 → 작품의 결정 → 구상과 스케치 → 재료 구입 → 작품 제작.



4. 화훼장식 종류 및 역사


4.1 화훼장식의 종류 및 용도

  • 레이 (Lei): 낚싯줄 같은 끈으로 꽃을 꿰어 행사 시 목에 걸어주는 장식물로, 리스와 유사한 형태를 가집니다.

  • 숄더 (Shoulder): 코사지 종류 중 어깨에서 등까지 늘어뜨리는 장식입니다.

  • 노즈게이 부케 (Nosegay): 영국 조지 왕조 시대에 꽃향기가 전염성 균을 제거해 준다고 믿어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닌 작은 부케로, 향기를 맡기 위한 기능적 목적이 컸습니다.

  • 테이블 장식: 마주 앉은 사람의 시선을 가리지 않도록 디자인해야 합니다. 향기가 진한 꽃이나 꽃가루가 떨어지는 꽃은 부적합하며, 테이블의 정중앙뿐 아니라 양옆에도 위치할 수 있습니다.

  • 병문안용 꽃: 환자의 기분을 고려하고, 수명이 길고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꽃이 좋습니다. 향기가 강한 꽃과 꽃가루가 있는 꽃은 피해야 합니다.

  • 걸이 화분용 소재: 아래로 늘어지는 형태가 적합하며, 러브체인, 산호수 등이 적당합니다.

  • 코르누코피아 (Cornucopia): 그리스 신화 '풍요의 뿔'에서 유래한 원뿔 모양의 바구니(화기) 장식입니다. 풍요와 번영의 상징이지만, 대림절 장식에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 절화 장식: 절화류를 이용한 장식으로, **콜라주(Collage)**가 속합니다. (참고: 테라리움, 비바리움, 디시가든은 분화 장식입니다.)


4.2 화훼장식 역사

  • 삼국시대: 신수사상(자연숭배)에 기원을 둔 화훼장식이 불교 전래와 함께 불전 헌공화의 형태로 등장하였습니다.

  • 통일신라시대 (석굴암): 석굴암 십일면관음보살 입상에 나타난 헌공화의 형태는 삼각형 구성의 원초적 형태를 보여줍니다.

  • 수덕사 대웅전 야화도: 모란, 작약, 맨드라미, 치자, 들국화 등이 그려져 있으며, 부들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르네상스 시대: 종교적인 상징을 표현하는 화훼장식이 성행하였으며, 대칭 삼각형, 원추형, 피라미드형이 대표적입니다. 플레미시형은 17세기 네덜란드 양식입니다.


4.3 가공화 (건조화 및 보존화)

  • 보존화 (Preserved Flower): 생화를 특수 보존액을 사용하여 탈수, 탈색, 착색, 보존 및 건조 단계를 거쳐 제작합니다. 이는 자연 건조된 건조화에 비해 생화에 가까운 탄성과 유연성을 지니는 것이 특징입니다.

  • 건조 소재 조건: 건조 후에도 소재의 지속성, 원하는 색 유지가 필수입니다. 또한, 건조나 가공 후의 변형이 적고 유연성이 있어야 합니다. 변형이 클수록 좋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5. 화훼 디자인 구성 형식

화훼 디자인의 주요 구성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생적 구성 (Vegetative): 식물의 생리, 생태적인 면을 고려하여 자연에서 보듯 생장점(출발점)이 한 점 또는 그 이상 있는 듯이 구성합니다. 주로 세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그룹(주, 역, 부)으로 구성되는 비대칭적 질서가 일반적입니다.

  • 장식적 구성 (Decorative): 디자이너의 의도로 소재를 자유롭고 인위적으로 구성하며, 꽃의 양감과 장식성을 강조합니다.

  • 형-선적 구성 (Formal-linear): 소재의 형(Form)과 선(Line)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구성입니다.



6. 기타 필수 개념

  • 한국 꽃꽂이 기호: 한국 꽃꽂이에서 제2주지를 나타내는 기호는 (네모)입니다.

  • 화훼원예 특징: 종류와 품종수가 극히 많고 다양하며, 고도의 생산 기술을 요구하고 시설을 이용한 집약재배를 실시합니다.

  • 생물 분류 체계: 생명체의 분류 체계는 '종, 속, 과, 목, 강, 문, 계' 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가장 하위 단위입니다.

  • 제작 후 확인 사항: 냉방기(에어컨) 바람에 식물이 직접 노출되면 수분 증발로 인해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작품의 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직접적인 바람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플로랄폼과 사용한 철사의 끝은 반드시 마감 처리되어야 합니다.

  • 화훼장식 심리적 기능: 회사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일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하는 등 정신적 안정과 활력에 기여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