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경량비행장치(드론) 필기시험 7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초경량비행장치(드론) 필기시험 7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비행 원리 및 공기역학 (Aerodynamics)


항공기 평형 비행의 조건

항공기가 일정 고도에서 등속 수평비행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은 비행에 작용하는 네 가지 힘(양력, 중력, 추력, 항력)이 서로 평형을 이룰 때 성립합니다.

  • 수평 비행 (고도 유지): 양력 = 중력

  • 등속 비행 (속도 유지): 추력 = 항력

  • 따라서, 정답은 양력 = 중력, 추력 = 항력 입니다.


날개와 공기 역학 개념 (주요 용어)

  • 공력 중심 (Aerodynamic Center):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피칭 모멘트 계수값이 변하지 않는 지점입니다. 에어포일 설계 및 안정성 계산의 기준점으로 사용됩니다.

  • 압력 중심 (Center of Pressure): 에어포일 표면에 작용하는 분포된 압력의 총 합력(알짜 힘)이 작용하는 지점입니다. 받음각 변화에 따라 이동합니다.

  • 양력 받음각 (Angle of Zero Lift): 양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을 때의 받음각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마이너스 값입니다.

  • 종횡비 (Aspect Ratio): 날개의 길이와 폭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종횡비가 커지면 (날개가 길고 좁을수록) 유도항력이 감소하고 양항비가 증가하여 활공 성능이 좋아집니다. 유해항력은 상대적으로 감소합니다.


항공기 성능에 미치는 환경 요소

  • 착빙(Icing)의 영향: 착빙은 항공기 날개, 프로펠러, 피토관, 기화기(Carburetor) 등 기체 표면에 습한 공기가 부딪치면서 결빙되는 현상입니다.

    • 결과: 양력 감소, 무게 증가, 추력 감소, 항력 증가를 일으켜 비행 성능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줍니다.



2. 기상 및 대기 과학 (Meteorology)


표준 대기와 고도계

  • 해수면 표준 상태: 해수면에서의 표준 온도는 15°C, 표준 기압은 29.92인치 수은주 (in.Hg) 입니다.

  • 기압 고도 (Pressure Altitude): 고도계의 수정치를 표준대기압 (29.92in.Hg)에 맞췄을 때 지시하는 고도입니다.

  • 온도 구배 (기온 감률): 대류권에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은 하강합니다. 표준대기 상태에서 1000ft(약 300m)당 약 2°C씩 기온이 감소합니다.


고도계 지시와 실제 고도 (오차)

고도계는 표준대기(15°C)를 기준으로 설계됩니다. 온도가 표준과 다를 경우 지시 고도와 실제 고도(진고도) 사이에 오차가 발생합니다.

  • 추운 지역 비행 시 (표준 온도보다 낮을 때): 공기가 수축하여 밀도가 높아집니다. 고도계는 실제보다 높은 고도를 지시하며, **항공기는 고도계 지시보다 낮은 위치 (진고도 < 지시 고도)**에 있습니다. (추울수록 위험하다: 고도가 낮게 지시될 거라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더 낮게 비행 중)

  • 더운 지역 비행 시 (표준 온도보다 높을 때): 공기가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집니다. 고도계는 실제보다 낮은 고도를 지시하며, **항공기는 고도계 지시보다 높은 위치 (진고도 > 지시 고도)**에 있습니다.


기단 및 구름

  • 한국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

    • 겨울: 시베리아 기단

    • 봄/가을: 양쯔강 기단

    • 초여름: 오호츠크해 기단 (불연속적인 장마 전선 형성)

    • 여름: 북태평양 기단

  • 태풍의 소멸: 태풍(열대성 폭풍, Tropical Storm)은 세력이 약해지면서 열대성 저기압으로 변합니다.

  • 해풍/육풍:

    • 해풍 (Sea Breeze): 주간에 바다(고기압)에서 육지(저기압)로 붑니다.

    • 육풍 (Land Breeze): 야간에 육지(고기압)에서 바다(저기압)로 붑니다.

  • 안개의 종류:

    • 이류 안개 (Advection Fog): 차가운 지면이나 수면 위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이동해 오면서 밑부분이 냉각되어 발생하는 안개입니다. 주로 해안이나 해상에서 발생합니다.


북반구 고기압/저기압의 바람 방향

  • 고기압: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중심부에서 발산합니다.

  • 저기압: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중심부로 수렴합니다.



3. 비행 장치 구성 요소 및 조작 (UAS Components & Control)


조종 모드 및 센서

  • Mode 2 조종:

    • 왼쪽 조종간 (스로틀/러더): 상하 움직임(스로틀)은 상승/하강을, 좌우 움직임(러더)은 기체의 방향(Yaw)을 조종합니다. 수직 하강을 위해서는 왼쪽 조종간을 내립니다.

  • 자이로 센서: 동체의 좌우 흔들림이나 수평 자세를 감지하고 잡아주는 센서입니다.

  • ESC (Electronic Speed Controller): 전자 변속기로, 비행 컨트롤러의 명령을 받아 모터의 속도를 직접 제어하여 기체의 자세(피치, 롤, 요)를 잡는 핵심 장치입니다.

  • 모터 유형: 브러시리스 모터는 브러시가 없어 마모가 적고 반영구적이며, 안전성과 신뢰성이 중요시되는 대형 멀티콥터에 주로 사용됩니다. (브러시 모터는 ESC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배터리

  • 초경량 비행장치(드론)에 주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리튬 폴리머 (Li-Po)**이며, 과거에는 니켈 카드뮴(Ni-Cd), 니켈 수소(Ni-MH) 등도 사용되었습니다. 니켈 산화 수소 (Ni-CH)는 사용되지 않는 배터리 유형입니다.


안전 및 비행 운영

  • 착륙 지점: 착륙 지점은 평평하고, 고압선이나 장애물이 없으며, 바람에 날아갈 물체가 없는 안전한 곳을 선택해야 합니다. 경사진 곳은 프로펠러 파손의 위험이 있어 부적합합니다.

  • 비행 전 점검: 비행 전에 스로틀을 상승시켜 비행을 테스트하는 것은 안전 점검 사항이 아닙니다. 비행 전에는 기체와 조종기의 배터리 및 전선 상태, 부식 여부 등을 육안으로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조종 불능 시 대처: 비행 중 조작 불능 상황이 발생하면, 기체보다 주변 사람의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가장 먼저 소리를 크게 쳐서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려야 합니다.

  • 조종기 테스트: 조종기 점검 시에는 기체와 **약 30m 정도 떨어져서 레인지 모드(Range Mode)**로 테스트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4. 항공법규 및 공역 이해 (Aviation Regulations)


공역 분류 및 비행 승인 (핵심 요약)

  • 주의 공역: 훈련구역, 군작전구역, 위험구역, 경계구역 등이 포함되며, **비행제한구역(R)**은 통제 공역에 해당합니다.

  • 비행 가능 지역: **비행 전용 공역 (UA, Ultralight Area)**은 초경량 비행장치를 위해 지정된 공역입니다.

  • 비행 금지/제한 구역: P 구역 (비행 금지), R 구역 (비행 제한) 비행은 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관제권 지역:

    • 군 관제권 지역은 군에서 허가.

    • 민간 관제권 지역은 국토교통부의 비행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 공역 중복 시 허가: 공역이 두 개 이상 겹칠 경우, 모든 관련 기관에 각각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우선하는 기관만 받는 것이 아님에 유의)


초경량 비행장치 신고 및 절차

  • 소유 신고 면제 장치: 동력 비행장치, 초경량 헬리콥터, 초경량 자이로 플레인 등은 신고 대상이지만, 계류식 무인 비행장치는 소유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중량 기준 25kg 초과 시 신고 대상)

  • 주소 변경 신고 기한: 초경량 비행장치의 소유자가 주소를 변경할 경우 30일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 비행계획 승인 신청 시 불필요 사항: 비행계획 승인 신청 시 비행 경로, 고도, 조종자의 비행경력 등은 포함되지만, 동승자의 자격 소지 유무비행장치의 재원 (재원은 기체 등록 시 필요)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타 규정

  • 비행정보구역 (FIR) 지정 목적: 항공기의 수색/구조, 안전 운항, 효율적인 운항을 위한 정보 제공이 목적입니다. 영공 통과료 징수를 위한 경계 설정은 FIR 지정의 주된 목적과 거리가 멉니다.

  • 항공장애 등 설치 기준: 항공기 운항에 장애가 될 염려가 있는 높은 건축물이나 위험물에는 500ft (AGL, 지표면으로부터의 높이) 이상의 높이에 항공장애 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5. 기본 상식

  • 1마력: 1마력 (HP, Horse Power)은 약 75kg·m/s의 일률에 해당합니다.

  • 멀티콥터 기동: 기체를 내리려면 모터의 추력을 감소시키는 스로틀을 내립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