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제과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영양소와 생화학 반응


1.1. 주요 영양소와 기능

  • 탄수화물: 1g당 4kcal를 공급하며, 혈당 유지와 단백질 절약 작용을 합니다. (섭취 부족 시 체내 대사 조절에 영향이 큽니다.)

  • 필수 지방산: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반드시 섭취해야 합니다.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이 포함됩니다. (스테아르산은 필수 지방산이 아닙니다.)

  • 지방산 융점: 포화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보다 융점(녹는점)이 높습니다.

  • 무기질: 칼슘, 인, 철 등이 중요한 무기질입니다.

  • 열량 계산: (탄수화물 g + 단백질 g) × 4kcal + 지방 g × 9kcal를 통해 총 열량을 계산합니다.


1.2. 효소와 반응

  • 효소의 종류:

    • 폴리페놀 옥시데이스: 사과의 갈변 현상을 촉진합니다.

    • 라이페이스: 지방 분해 효소입니다. (단백질 분해 효소가 아닙니다.)

  • 갈색 색소 생성 반응:

    • 메일라드 반응: 당류와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갈색 색소를 생성합니다. (제과/제빵의 색과 향에 기여).



2. 제과 재료 및 반죽 이론


2.1. 재료의 분류 및 사용

  • 밀가루의 분류:

    • 강력분 (고단백): 제빵용 (식빵 등)에 적합합니다.

    • 박력분 (저단백): 제과용에 가장 적합합니다.

  • 안정제 기능: 아이싱 제조 시 끈적거림을 방지하고, 크림 토핑물에 부드러움을 제공합니다. (흡수율 감소(노화 지연)는 흡수제의 역할입니다.)


2.2. 반죽의 측정 및 믹싱

  • 비중 계산 공식: (반죽을 채운 컵 무게 - 빈 컵 무게) / (물을 채운 컵 무게 - 빈 컵 무게)

  • 반죽형 믹싱 시 달걀 투입: 달걀소량씩 나누어 투입해야 달걀의 수분으로 인해 반죽이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제과 제품별 공정 및 특징


3.1. 케이크 및 쿠키류

  • 비용적 비교 (부피): 스펀지 케이크 > 엔젤푸드 케이크 > 파운드 케이크 순으로 부피가 크고 가볍습니다.

  • 파운드 케이크 패닝: 틀 높이의 **약 70%**가 적당합니다. 반죽 양이 적으면 윗면의 발색이 느려집니다.

  • 마카롱 (패닝 및 굽기):

    • 패닝 후 충분히 건조시켜야 윗면이 매끄럽고 터지지 않으며 날개(꼬끄)가 생깁니다.

    • 굽는 중 옆면에 날개가 생기면 온도를 높이지 말고 불을 줄여 말리듯이 굽습니다.

  • 슈 굽기: 굽는 중에 찬 공기가 들어가면 슈가 주저앉게 됩니다.

  • 커스터드 크림 보관: 완성 후 얼음물을 사용해 급속 냉각하고, 보관 시 표면에 랩을 밀착시켜 건조 및 오염을 방지합니다.


3.2. 튀김 및 마무리

  • 튀김 (일반): 적정 온도와 시간은 180ºC, 3분 정도입니다.

  • 도넛 발한 제거: 튀김 시간을 증가시켜 수분 함량을 낮춤으로써 발한(땀 흘림)을 제거합니다.

  • 튀김 기름 회복: 기름의 열용량에 비해 재료의 열용량이 작을 경우 온도의 회복이 빠릅니다.

  • 글레이즈: 잼 또는 잼에 젤라틴을 섞어 케이크 표면에 발라 광택을 내는 마무리 재료입니다.

  • 오븐 (터널식): 대형 공장용, 온도 조절 용이하나, 넓은 면적이 필요하고 열손실이 많은 단점이 있습니다.



4. 위생 및 안전 관리


4.1. 법규 및 관리 기준

  • 식품첨가물: 감미, 착색, 표백, 산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식품에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 식품접객업: 제과점 영업, 위탁급식 영업, 일반음식점 영업이 해당됩니다. (식품냉동·냉장업은 보존업에 해당됩니다.)

  • HACCP 변경 신고: 인증받은 사항을 변경하는 때에는 변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변경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위생복 착용: 밝은색, 긴소매, 주머니가 없는 것을 착용하며, 각종 장신구 및 시계 착용을 금지합니다.

  • 냉장 보관 (달걀): 씻지 않고 냉장(5ºC) 상태로 2주 보관합니다.

  • 유통기한 요인: 진열 조건 (온도, 습도 등)은 유통기한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인입니다.


4.2. 식품 오염 및 중독

  • 산화방지제: 유지의 산패를 막기 위해 사용됩니다.

  • 표백제: 과산화수소, 아황산나트륨 등이 있습니다. (소브산은 보존료입니다.)

  • 자연 독성분:

    • 감자: 솔라닌

    • 복어: 테트로도톡신

    • 매실: 아미그달린

  • 식중독: 장염 비브리오균은 제대로 가열되지 않은 어패류를 통해 주로 발생합니다.

  • 세균 발육: 편성 혐기성 세균은 산소가 있으면 발육에 장애를 받습니다.

  • 보균자: 회복기 보균자는 질병 회복 후에도 병원체를 몸에 지니고 있는 사람입니다.

  • 교차오염: 원재료 상태로 들여와 준비하는 과정에서 교차오염 발생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5. 기타 사항

  • 총원가: 제조원가 + 판매관리비입니다.

  • pH 측정: 반죽의 산도, 품질 변화, 발효 정도 등을 확인합니다. 총산의 함량은 총산도(TTA)를 측정해야 알 수 있습니다.

  • 공장 입지 조건: 인원 수급, 폐수처리 시설, 상수도 시설 등 위생 및 운영 관련 조건이 중요합니다. (주변 밀 경작지 유무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