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빵기능사 필기시험 8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제빵의 기본 재료 및 영양학적 이해
1.1 물의 종류와 반죽에 미치는 영향
물은 빵 반죽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경도(Hardness)에 따라 반죽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집니다.
경수 (Hard Water, 180 ppm 이상): 글루텐이 단단해지고 신장성이 떨어지며, 발효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빵의 탄력성도 감소합니다.
아경수 (Medium Hard Water, 61 ~ 120 ppm): 빵류 제품에 가장 적합한 물로, 적절한 글루텐 경화와 이스트 영양 공급을 돕습니다.
연수 (Soft Water): 반죽이 연하고 끈적거리나, 이스트 활동이 활발해 발효 속도는 빠릅니다.
1.2 이스트와 발효 환경 조건
이스트는 출아법으로 증식하며, 증식에 가장 적합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적 온도: 24 ~ 35°C
최적 pH: 5.0 ~ 5.8
1.3 영양소와 열량 및 성분
에너지원 영양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 해당됩니다.
열량 기준: 단백질 1g = 4 kcal, 지방 1g = 9 kcal 입니다.
버터 열량 계산: 수분 함량 25%인 버터 100g은 지방 75g 이므로, 75 × 9 = 675 kcal 의 열량을 냅니다.
필수 지방산: 옥수수기름, 콩기름 등 천연 식물유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크림성 (Creaming): 반죽에 분산된 유지가 거품 형태로 공기를 포집하는 성질입니다.
콜라겐 (Collagen): 동물의 뼈, 가죽, 결합조직에 함유된 경단백질로, 가열에 의해 젤라틴으로 변합니다.
카세인 (Casein): 우유에 산을 넣으면 응고되는 주체입니다.
펙틴 (Pectin): 감귤류의 과피나 사과에서 분리 정제하여 얻으며, 겔화제로 이용되는 안정제입니다.
2. 제빵 공정 및 반죽 관리 이론
2.1 제빵법의 종류 및 특징
비상 스트레이트법: 발효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반죽 온도를 30°C로 높여 발효 속도를 촉진합니다.
연속식 제빵법: 액체 발효법을 한 단계 발전시켜 연속적인 작업이 하나의 제조 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 방법입니다.
2.2 반죽 단계 및 마찰 계수
반죽 마무리 단계:
최종단계 (Final Stage): 버터롤
발전단계 후기 (Late Development Stage): 찐빵, 더치빵, 베이글
소금의 영향: 글루텐 형성을 촉진하여 반죽의 탄력성을 키우기 때문에, 반죽 시간이 짧아집니다. (설탕, 탈지분유 등은 길어지게 합니다.)
마찰 계수 공식: 마찰계수 = (결과 반죽 온도 × 4) - (실내온도 + 밀가루 온도 + 수돗물 온도 + 스펀지 반죽 온도)
2.3 발효 및 정형 공정
최적의 발효 완료 시점: 반죽의 pH가 5.35에서 4.9로 내려갔을 때입니다. 손가락으로 찔렀을 때 모양이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가 최적입니다.
중간 발효 (Overhead Proof): 탄력성과 신장성을 회복/부여하며, 글루텐 구조를 재정돈합니다.
2차 발효 온도: 식빵류가 40°C로 가장 높습니다.
2차 발효 과다: 산의 생성으로 신 냄새가 나고 노화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반죽 정형 공정 순서: 분할 → 둥글리기 → 중간 발효 → 성형 → 패닝
밀어 펴기 시: 과도한 덧가루 사용은 2차 발효 시 이음매가 벌어지거나 줄무늬를 형성하여 품질이 나쁜 제품이 됩니다.
라운더 (Rounder): 분할된 반죽을 둥그렇게 말아 하나의 표피를 매끄럽게 형성하는 기기입니다.
3. 가열 조리 및 품질 관리
3.1 굽기 및 튀기기
풀먼 식빵의 비용적: 3.8 ~ 4.0 cm³/g이 가장 적합합니다.
반죽의 비중: 비중이 높으면 기공이 조밀하여 무거운 제품이 되며, 너무 낮으면 큰 기포가 형성되어 거친 조직이 됩니다.
튀김 시 흡유량: 튀기는 식품의 표면적이 클수록 흡유량은 증가합니다. 튀기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기름의 온도가 낮을수록 흡유량이 많아집니다.
찌기: 푸딩과 같이 조직이 부드러운 제품은 100°C보다 낮은 온도에서 쪄야 합니다.
3.2 냉각 및 노화 지연
냉각의 목적: 제품의 수분 활성을 낮추어 저장성을 증대하고, 절단 및 포장을 용이하게 합니다.
노화 지연 물질: 설탕, 레시틴, 계면활성제 등. 아밀로스는 전분의 노화를 촉진합니다. (아밀로펙틴이 노화를 지연시킵니다.)
4. 위생 및 안전 관리 (HACCP 및 법규)
4.1 위생 및 위해 요소
생물학적 위해 요소: 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입니다.
잔류 농약: 화학적 위해 요소에 해당합니다.
위생 복장: 위생복은 이물질이 잘 보이도록 밝은색으로 착용합니다.
청소 및 살균: 작업대 청소 시에는 70% 알코올 분무 또는 이와 동등한 효과가 있는 방법으로 살균해야 합니다.
작업장 환경: 작업장은 해충 혼입 방지를 위해 밀폐식 구조로 하며, 오염된 공기 배출을 위해 환풍기 등 강제 환기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4.2 식품위생법 및 감염병
영업 신고 제외: 양곡가공업 중 도정업은 식품위생법상 영업 신고를 하지 않는 업종입니다.
조리사 보수교육: 교육 실시 결과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행정 응원 절차: 출입, 검사, 수거 등의 행정 응원 절차, 비용 부담 방법은 대통령령으로 정합니다.
HACCP 효과 (소비자 측면):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의 선택 기회를 제공합니다.
식중독 위기 대응: 전국에서 동시에 원인 불명의 식중독이 확산되는 단계는 Orange (경계) 단계입니다.
감염병 관리: 예방 접종은 감수성 숙주를 관리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건강 보균자는 증상이 없어 가장 관리하기 어렵습니다.
제1급 감염병: 페스트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