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경량비행장치(드론) 필기시험 8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초경량비행장치(드론) 필기시험 8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드론 조종자 자격 및 법규

드론 조종은 항공 안전법을 준수해야 하는 엄격한 활동이므로, 관련 법규와 자격 요건을 정확히 숙지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1. 자격 및 응시 연령

  • 1종~3종 조종자 자격증명 최소 응시 연령: 만 14세 이상

  • 항공 종사자 혈중 알코올 농도 제한 기준: 0.02% 이상


2. 기체 신고 및 보험 가입

  • 신고 불필요 초경량 비행장치: 계류식 무인 비행장치

  • 의무 보험 가입 대상: 영리 목적으로 사용되는 동력 비행장치 (회전익기, 패러플레인, 유인 자유기구 포함)


3. 운용 제한 및 금지 행위

  • 비행 가능 시간: 일출부터 일몰까지 (야간 비행은 원칙적으로 금지)

  • 금지 비행 구역: 인구 밀집 지역 등 사람이 운집한 장소 상공에서 인명 또는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방법으로 비행하는 행위.

  • 낙하물 투여: 인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낙하물을 투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 시계 비행 원칙: 안개 등으로 인해 지상 목표물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비행할 수 없습니다.


4. 법규 위반 시 처벌 기준 (예시)

  • 영리 목적, 무자격 비행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5. 초경량 비행장치 범위 (동력 비행장치 기준)

  • 자체 중량: 1인승 150kg 이하, 2인승 225kg 이하

  • 연료 용량: 1인승 19리터 이하, 2인승 38리터 이하

  • 추진 방식: 프로펠러에서 추진력을 얻는 것


6. 사고 조사

  • 항공사고조사위원회 조사 대상: 비행 중 발생한 추락, 충돌 및 화재 사고, 초경량 비행장치로 인해 사람이 중상 또는 사망한 사고. (주기된 기체를 차량이 파손시킨 사고는 조사 대상이 아님)



II. 항공 역학과 비행 원리

드론을 포함한 비행장치에 작용하는 힘과 유체 역학적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조종에 중요합니다.


1. 비행에 작용하는 4가지 힘

모든 항공기에는 네 가지 기본 힘이 작용합니다.

  • 추력(Thrust): 기체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

  • 양력(Lift): 기체를 위로 뜨게 하는 힘

  • 항력(Drag): 기체의 운동 방향과 반대로 작용하는 공기 저항력 (비행 중 날개에 걸리는 응력의 주 성분)

  • 무게(Weight): 중력에 의해 기체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힘


2. 베르누이 정리 및 벤츄리 효과

양력 발생의 기초 원리입니다.

  • 원리: 관의 직경이 작아지면 공기의 흐름 속도가 빨라지고 동압은 커지며 정압은 작아집니다. (속도는 동압에 비례하고 정압에 반비례)

  • 실속(Stall): 받음각(AOA)이 실속각보다 클 때 발생하며, 날개에서 공기 흐름이 떨어져 양력 계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양력을 상실하는 현상입니다.


3. 회전익기 부양 관련

  • 주요 관련 요소: Vortex(볼텍스), 블레이드 양력, 모멘텀

  • 꼬리날개: 회전익기의 부양 자체보다는 주 로터 회전으로 발생하는 토크(비틀림력)를 상쇄시켜 기체의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III. 기상 및 비행 환경

안전한 비행을 위해 기상 변화를 예측하고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1. 대기권 구조

  • 대류권 계면(Tropopause): 평균 높이 약 17km에 위치하며, 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는 대기권의 층입니다.


2. 바람의 생성 원리

  • 바람의 원인: 기압 경도력의 차이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공기가 이동하며 발생)

  • 해륙풍: 주간에는 해수면(차가운 기압)에서 육지(따뜻한 기압)로 바람이 불고, 야간에는 육지에서 해수면으로 부는 국지풍입니다.


3. 구름의 분류와 특징

  • 하층운: St(층운), Sc(층적운). 지표면 가까이 낮게 형성됩니다.

  • 수직 발달 구름 (불안정한 공기): 적운(Cu), 난적운(Cb), 층적운(Sc) 등 적운형 구름.

  • 권층운(Ci): 상층운이며, 수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이 아닙니다.


4. 시정 및 안개

  • 수평 시정: 관측 지점으로부터 알려져 있는 목표물을 참고하여 측정한 수평 거리입니다.

  • 안개 기준: 수평 가시거리가 1km 이하가 되었을 때 안개라고 합니다. (3km가 아님)


5. 풍속의 체감

  • 나뭇잎이 흔들리기 시작할 때의 풍속: 1.6~3.3m/s (이 풍속에서는 드론 운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IV. 공역 및 관제

비행하는 공역의 종류, 규칙, 그리고 통신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1. 공역 정보 제공

  • 비행 금지/제한/위험 구역 등의 공역 정보: NOTAM(Notice to Air Missions)에서 정보를 제공합니다.

  • 비행 정보 구역(FIR) 지정 목적: 항공기의 안전 및 효율적인 운항을 위한 정보 제공, 수색 및 구조에 필요한 정보 제공. (영공통과료 징수와는 거리가 멂)


2. 공역 비행 승인

  • 비행 제한 공역 비행 시: 미리 비행 계획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합니다. (전문교육기관의 승인이 아님)


3. 진로의 양보 우선순위

진로 양보는 충돌 회피를 위한 필수적인 규정입니다.

  1. 착륙 우선: 착륙을 위해 최종 접근 중이거나 착륙 중인 항공기가 우선권을 가집니다.

  2. 비정상 상태 우선: 발동기 고장, 연료 부족 등 비정상 상태에 있는 항공기에 모든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합니다.

  3. 고도 우선 (접근 중): 상호 비행장에 접근 중일 때는 낮은 고도에 있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받습니다.

  4. 우측 회피: 다른 항공기를 우측으로 보는 항공기가 진로를 양보합니다.


4. 관제 용어

  • Say again: 교신 내용을 반복하라.


5. 비행장주 (Traffic Pattern)

  • 배풍로(DOWNWIND LEG): 착륙 활주로와 평행하며, 착륙 활주로와 반대 방향으로 비행하는 구간입니다.



V. 기체 시스템 및 운용

드론의 일상적인 운용 방법과 항법 지식을 요약했습니다.


1. 비행 전 조종기 테스트

  • 적절한 테스트 방법: 기체와 30m 떨어져서 레인지 모드로 테스트합니다.


2. 배터리 종류

  • 현재 사용하지 않는 배터리: Ni-Cd (니켈 카드뮴)


3. 고도 측정

  • 기압 고도(Pressure Altitude)란? 고도계 수정치를 **표준 대기압(29.92Hg)**에 맞춘 상태에서 고도계가 지시하는 고도입니다.


4. 항법 방식

  • 초경량 비행장치에 적합한 항법: 지문항법 (Pilotage, 지형지물을 참고하여 비행하는 가장 기초적인 항법)


5. 지상 활주 및 선회 주의사항

  • 배풍 시 활주: 배풍을 받고 지상 활주 중 정풍 방향으로 선회할 때는 급선회하는 현상(Weathervaning)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6. 일정한 원형 항적 유지

  • 배풍(Tailwind) 시: 대지 속도가 지시 속도보다 크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줄이고 원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큰 경사각을 사용하여 빨리 돌아야 합니다.


7. 항행 시설

  • 항행 안전 무선 시설: 전파를 이용하여 항공기의 항행을 돕는 시설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