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9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메이크업의 이해: 기법, 컬러, 시대적 특징
1-1. 전통 및 시대별 메이크업 특징
분대 화장 (粉黛化粧): 분대 화장은 조선 시대 기생들이 즐겨 했던 화장 기법입니다. '분(粉)'은 흰 가루(파우더), '대(黛)'는 눈썹을 그리는 먹을 의미하며, 신분이나 직업이 특별했던 여성의 화장을 상징합니다.
20세기 메이크업 역사:
1920년대: 창백한 얼굴과 짙은 눈 화장(스모키), 입술을 작게 그린 클라라 보우 스타일이 유행했습니다.
1930년대: 가는 활 모양의 눈썹과 우아한 이미지를 강조한 그레타 가르보 스타일이 대표적입니다.
1950년대: 가늘고 짧은 눈썹과 아이라이너로 눈꼬리를 올린 오드리 햅번 스타일이 유행했으며, 여성스러움과 우아함이 강조되었습니다.
1-2. 메이크업 연출 기법 및 컬러 이론
돌출/확대 표현: 아이섀도 중 눈 부위를 돌출되거나 넓어 보이게 표현할 때는 하이라이트 컬러를 사용합니다. 밝은색은 전진색 및 팽창색의 역할을 합니다.
얼굴형 보완: 긴 얼굴형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가로를 강조하는 직선적인 눈썹 모양이 적당합니다.
이미지별 립 컬러: 화려하고 활동적인 이미지를 연출할 때는 채도가 높은 **비비드 톤(Vivid Tone)**의 립 컬러가 어울립니다.
컬러 대비 현상: 어떤 색이 주위색이나 배경색의 영향으로 실제와 다르게 느껴지는 현상을 대비 현상이라고 합니다.
메이크업 도구 관리: 립 브러쉬는 브러쉬 클리너 또는 클렌징 크림으로 세척하는 것이 적절하며, 도구는 변형을 막기 위해 뉘어서 건조하거나 세척 후 건조대에 세워서 건조해야 합니다.
1-3. 전문가의 자세
백화점 시연 시, 고객이 이해하기 쉽게 제품 장점을 설명해야 하며, 전문 용어를 많이 사용하여 전문가다운 면모를 과시하는 행동은 옳지 않습니다. 고객과의 소통과 이해가 가장 중요합니다.
2. 피부 및 모발의 생리적 이해
2-1. 피부 구조 (표피)
표피층 구조 순서: 표피는 밖에서 안으로 각질층(가장 바깥), 투명층 (손바닥/발바닥에만 존재),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가장 안쪽)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유극층: 표피층 중에서 가장 두꺼운 층이며, 세포 표면에 가시 모양의 돌기를 가지고 있어 '가시층'이라고도 불립니다.
2-2. 피부 생리 및 영양
땀샘의 역할: 땀 분비, 체온 조절, 노폐물 등의 분비물 배출 역할을 하며, 피지 분비는 피지선의 역할입니다.
조절 영양소: 인체의 생리적 조절 작용에 관여하는 영양소는 비타민과 무기질입니다.
자외선 종류: 파장이 가장 길고 인공 선탠 시 활용되는 광선은 UV-A입니다. UV-A는 피부 깊숙한 진피층까지 침투하여 노화를 유발합니다.
단백질과 피부: 아미노산(단백질의 기본 단위)은 피부 재생에 관여하며, 단백질 섭취 부족은 피부 건강 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3. 모발의 건강
건강한 모발의 pH: 건강한 모발의 pH 범위는 약산성인 pH 4.5~5.5입니다.
모발 화장품 기능 (정발): 헤어의 정리 작업을 돕는 정발 기능을 가진 제품으로는 헤어 스프레이와 헤어 무스가 있습니다.
3. 화장품 원료 및 제품학
3-1. 기능성 화장품 및 정의
기능성 화장품 정의 (대한민국): 대한민국 법규상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의 미백에 도움, 주름개선에 도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제품을 말합니다. 피부를 검게 태우는 데 도움을 주는 제품도 기능성 화장품에 해당하지만, 문제의 맥락상 미백/주름/자외선 차단이 대표적인 기능성 범위입니다. (참고: 현행 법규상 '태닝' 제품도 기능성 범위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화장품의 정의: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또는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합니다.
3-2. 화장품 원료 및 성분
염료(Dye)와 안료(Pigment):
염료: 물이나 오일에 녹으며, 메이크업 화장품보다는 착색용으로 사용됩니다.
안료: 물과 오일에 모두 녹지 않으며, 커버력이 우수하여 메이크업 화장품의 착색 안료로 주로 사용됩니다. (예: 이산화티타늄, 산화철 등)
레이크 (Lake): 염료를 금속염에 침전시킨 것으로, 색채의 명암 조절 및 커버력을 높이는 착색 안료에 사용됩니다.
주요 성분:
콜라겐: 화장품에 사용할 경우 피부에 수분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바니싱 크림 주성분: 스테아린산이 주요 성분입니다.
캐리어 오일 (베이스 오일): 에센셜 오일을 희석하고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빛과 열에 약해 공기 중에 노출되면 **산패(산화)**가 쉽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안정성이 우수하여 산패가 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유성 원료: 고체 상태는 왁스, 액체 상태는 오일이라고 합니다. 실리콘 오일은 광물성 오일(석유에서 추출)에 속하지 않고 합성 오일에 속합니다.
3-3. 제품 사용 조건
보습제의 바람직한 조건: 고휘발성이 아닌, 휘발성이 낮아 흡수력이 지속되고 보습 효과가 뛰어나야 합니다.
로션의 제형: O/W(Oil in Water)형은 가볍고 산뜻하며, W/O(Water in Oil)형은 유분감이 높아 보습 효과가 우수합니다.
세안용 화장품의 구비 조건: 물이 묻거나 건조해져도 형과 질이 잘 변하지 않고 안정성이 우수해야 합니다.
4. 공중보건 및 위생 관리 (소독/멸균)
4-1. 공중보건 및 질병 관리
공중보건의 3대 요소: 질병 예방, 생명 연장,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이 주된 목적입니다. 감염병 치료는 공중보건의 3대 요소에 직접적으로 속하지 않습니다.
면역 종류: 콜레라 예방접종은 백신(약화된 병원체)을 주입하여 스스로 항체를 생성하게 하는 인공능동면역 방법입니다.
피부 질환 (농가진): **농가진(Impetigo)**은 전염성이 강하며 주로 2~10세 소아에게 많이 발생하는 피부 질환입니다.
4-2. 소독 및 멸균
소독의 정의: 병원성 미생물의 생활력을 파괴 또는 멸살시켜 감염 또는 증식력을 없애는 조작입니다.
소독 방법:
일반적인 수건 소독: 이·미용업소에서 일반적 상황에서 수건 소독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자비소독법(끓는 물 소독) 또는 증기 소독법입니다.
객담이 묻은 휴지: 병원성 미생물 감염의 위험이 높으므로 소각소독법이 가장 적절합니다.
화학적 vs 물리적 살균법: 자외선 살균법은 빛을 이용한 물리적 살균법에 속하며, 알코올, 염소, 과산화수소는 화학적 살균법입니다.
석탄산수 농도: 방역용 석탄산수(페놀)의 알맞은 사용 농도는 **3%**입니다.
5. 공중위생관리법 주요 규정
5-1. 영업 신고 및 위생 기준
공중위생영업: 이·미용업을 하고자 할 때는 관할 관청에 신고해야 합니다.
영업자 준수 위생관리 기준: 공중위생 영업자가 준수해야 할 위생관리 기준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영업소 내 위생 기준: 이·미용업소의 실내조명은 75럭스(Lux) 이상이어야 합니다.
변경 신고 사항: 영업소의 소재지와 신고한 영업장 면적의 3분의 1 이상의 증감이 있을 때 변경 신고를 해야 합니다.
5-2. 면허 및 업무 범위
면허 결격 사유: 이·미용사의 면허를 받을 수 없는 결격 사유에는 피성년후견인, 정신질환자, 공중위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염병 환자, 약물중독자 등이 있으며, 간질 병자는 면허 결격 사유에 해당합니다.
면허 없는 자의 업무: 이·미용사의 면허를 받지 아니한 자 중 업무에 종사할 수 있는 유일한 예외는 이·미용업소에서 이·미용사의 감독을 받아 이·미용업무를 보조하고 있는 자입니다.
영업소 외 업무 가능/불가: 관할 소재 동 지역 내에서 주민에게 이·미용을 하는 행위는 영업소 외 업무를 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며, 출장 이·미용은 질병, 의식(혼례 등), 시장·군수·구청장이 인정하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5-3. 벌칙 및 행정처분
면허 취소 후 영업 행위 벌칙: 이·미용사의 면허가 취소된 후 계속하여 영업을 행한 자에 대한 벌칙은 300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과징금 부과 기준: 영업정지 처분에 갈음하여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 금액 기준은 1억원 이하이며, 매출 금액 기준은 처분 전년도의 1년간의 총매출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출입 검사 공무원 제시 서류: 영업소 출입 검사 관련 공무원은 영업자에게 공중위생감시원증을 제시해야 합니다.
위생교육 기록 보관: 위생교육에 관한 기록은 2년 이상 보관해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