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시험 9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시험 9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디젤 엔진 및 기관 구조


1. 연료 및 연소 관련 핵심 지식

  • 조속기(Governor)의 역할: 디젤 엔진의 연료 분사량을 조정하여 엔진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 세탄가(Cetane Number): 디젤 연료의 착화성을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세탄가가 높을수록 착화가 잘 됩니다.

  • 디젤 엔진의 연소: 스파크 플러그를 사용하는 점화 방식이 아닌, 압축된 공기의 고온에 의한 연료의 자기 착화 방식입니다.

  • 연료 공급 방식: 분사 노즐을 통해 연료를 안개와 같이 무화(霧化)시켜 연소실에 분사합니다.

  • 연료 라인 공기 혼입 현상: 연료의 불완전 연소를 유발하여 엔진 부조현상이 발생합니다.

  • 커먼레일 디젤 엔진의 출력 요소: 연료를 연소실로 직접 분사하는 **인젝터(Injector)**입니다.


2. 엔진 부품 및 작동 원리

  • 4행정 1사이클: 흡입-압축-폭발-배기의 4행정은 크랭크축이 2회전할 때 완료됩니다.

  • 피스톤링 관련:

    • 실린더 벽과의 마찰 손상을 줄이기 위해 실린더블록보다 경도가 낮아야 합니다.

    • 주요 역할은 오일 제거, 피스톤 냉각 기여, 높은 온도에서 탄성 유지입니다.

  • 압축 압력 저하의 주요 원인: 피스톤링의 마모로 인해 실린더 벽과의 간극이 커지면서 발생합니다.

  • 예열 플러그 오염 원인: 불완전 연소 또는 노킹이 발생하여 카본이 축적된 것입니다.

  • 냉각수 온도 비정상(낮음): 수온 조절기(Thermostat)가 열린 채 고장 났을 때 발생합니다.

  • 오버플로 밸브 기능: 여과기 보호, 연료공급펌프 소음 억제, 운전 중 공기 배출. (인젝터 분사 시기 제어 기능은 없습니다.)

  • 공기 유량 센서(AFS) 방식: 디젤 엔진에서는 주로 칼만와류 방식이 사용됩니다.



II. 섀시, 유압 및 전기 장치


1. 섀시 및 조향 장치

  • 추진축 각도 변화: 각도가 있는 두 축 사이의 동력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이음은 **자재 이음(유니버셜 조인트)**입니다.

  • 토인(Toe-in) 조정: 타이로드를 조정하여 조향 바퀴의 토인을 맞춥니다.

  • 핸들 유격과 무관한 장치: 차체의 롤링(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는 핸들 유격과 관련이 없습니다.

  • 타이어 트레드 마모 시: 지면과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제동 성능이 저하됩니다. (제동 성능이 좋아지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 지게차용 통고무타이어: 튜브가 없는 솔리드식 타이어가 사용되며, 하중 지지력이 높고 마모가 잘 되지 않습니다.


2. 유압 장치

  • 유압탱크 유량 점검: 유압 장치의 압력 부하를 제거하기 위해 포크를 지면에 완전히 내려놓고 점검해야 합니다.

  • 유압 오일 점도: 점도가 너무 낮으면 유동 저항력이 낮아져 시동 저항은 감소합니다. (펌프 효율 저하, 오일 누설 증가는 발생합니다.)

  • 플로 프로텍터(Velocity Fuse): 배관 파손 시 적재물의 급강하를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장치입니다.

  • 펌프 토출 불량 원인: 오일탱크 유면 낮음, 흡입관으로 공기 유입. (토출 측 체결볼트 이완은 누설의 원인이며 토출은 됩니다.)

  • 토크 컨버터의 특징: 유체 클러치와 달리 스테이터를 추가하여 토크 증폭이 가능합니다.


3. 전기 장치

  • MF 축전지: 증류수를 보충할 필요가 없는 무보수용 배터리입니다. 격자는 주로 납과 칼슘 합금입니다.

  • 축전지 용량 증가: 병렬 연결법을 사용해야 전체 용량(A/h)이 커집니다.

  • 시동 전동기 불량 점검 항목: 축전지 방전, 단자 접촉 불량, 배선 단선. (발전기는 충전 불량 시 점검합니다.)

  • 옴의 법칙: 전압(V) = 전류(I) × 저항(R). (예: 12V / 6Ω = 2A)

  • 퓨즈 접촉 불량 현상: 전류의 흐름이 나빠져 과열로 인해 퓨즈가 끊어지거나 소손될 수 있습니다.



III. 건설기계 관리 및 안전 규정


1. 지게차 작업 및 주행 안전 수칙 (지게차로 팔레트 운반 시 안전 수칙에 해당)

  • 화물 적재 주행 시 포크 간격: 지면으로부터 20~30cm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 주행 시 포크 자세: 화물의 안전한 고정을 위해 포크 끝을 운전석 쪽(안으로)으로 경사지게 해야 합니다.

  • 금지 사항:

    • 화물이 무거워도 사람이나 중량물로 밸런스 웨이트(평형추)를 삼는 행위는 절대 금지됩니다.

    • 포크로 물건을 찌르거나 끌어올리지 않아야 합니다.

    • 적하장치에 사람을 태워서는 안 됩니다.

  • 주차 방법:

    • 시동을 끈 후 포크를 지면에 완전히 내려놓고 마스트를 전방으로 경사시킵니다.

    • 핸드 브레이크를 걸고, 잠시 자리를 비울 때도 반드시 시동 키를 운전자가 소지해야 합니다.


2. 도로교통 및 법규

  • 진로 변경 신호: 방향 지시 신호는 행위가 끝날 때까지 계속해야 하며, 제한 속도의 범위 내에서 진로 변경을 해야 합니다.

  • 좌석 안전띠 설치 기준: 타이어식 건설기계는 최대 속도가 30km/h 이상일 때 좌석 안전띠를 설치해야 합니다.

  • 야간 대향차 운전: 마주 보고 진행하는 경우, 상대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막기 위해 전조등 불빛을 하향으로 조작해야 합니다.

  • 악천후 감속 운전: 폭우, 폭설, 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일 때는 최고 속도의 50%를 감속하여 운전해야 합니다.

  • 건설기계 등록: 건설기계를 취득한 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등록 신청을 해야 합니다.

  • 계속 운행 검사: 검사 유효기간 만료 후에 계속 운행하려면 정기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3. 안전 및 재해 예방

  • 중대재해 기준:

    •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 3개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 현장 작업자 필수 사항: 작업이나 안전과 관련된 안전 규칙 및 수칙을 숙지해야 합니다.

  • 기계시설 안전 유의사항:

    • 회전 부분(기어, 벨트) 등은 반드시 커버를 씌워야 합니다.

    • 발전기, 용접기, 엔진 등 장비는 작업 동선을 고려하여 분산 배치해야 합니다. (한곳에 모아 배치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 스패너 작업 유의사항:

    • 스패너의 입이 너트 치수에 꼭 맞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를 이어서 사용하거나, 스패너와 너트 사이에 쐐기를 넣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4. 안전 표지 및 경고등

  • 교통안전표지 (좌/우회전 표지): 지시 표지(파란색 원형)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 화살표가 그려져 있으며, 해당 방향으로만 진행해야 함을 지시합니다. (이는 회전이 필요한 교차로 등에서 해당 방향으로 진행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 인화성 물질 경고 표지: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불꽃 모양이 그려져 있으며, 해당 구역에 인화성 물질이 있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음을 경고하는 표지입니다.

  • 냉각수 경고등 점등 시 조치: 작업을 즉시 중지하고, 엔진을 끈 후 점검 및 정비를 받아야 합니다. (작업 완료 후 보충하거나 오일량을 점검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