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경량비행장치(드론) 필기시험 9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드론 관련 법규의 이해: 항공안전법 및 운용 기준
드론 조종은 항공안전법을 기반으로 하며, 법의 목적과 비행장치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1. 항공안전법의 목적
항공안전법의 주 목적은 항공기, 경량 항공기, 초경량 비행장치의 안전한 항행 방법을 정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항공기술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입니다.
주의: 국제 민간항공기구(ICAO)에 대응한 국내 항공 산업 보호는 법의 주 목적이 아닙니다.
1.2. 초경량 비행장치 정의 및 무게 기준
무인 동력 비행장치: 무인 비행기, 무인 헬리콥터, 무인 멀티콥터가 포함됩니다. 무인 비행선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무인 멀티콥터 무게 기준: 최대 이륙중량 150kg 이하입니다.
행글라이더, 패러글라이더: 자체중량 70kg 이하입니다.
자체 기체 중량: 기체 무게, 로터 무게, 배터리 무게는 포함되지만, 탑재물은 제외됩니다. 탑재물을 포함하면 최대 이륙중량이 됩니다.
포함되지 않는 장치: 활공기 (활공기는 항공기에 포함됩니다.)
1.3. 신고 및 안전성 인증 기준
변경 신고 기간: 초경량 비행장치의 용도, 소유자 정보(성명, 명칭, 주소)가 변경되면 30일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 불필요한 초경량 비행장치: 군사 목적 사용, 판매 목적 제작 후 미판매 장치, 연구 개발 목적 제작 장치 등은 신고가 불필요합니다. 특히, 무인 비행선은 길이 7m 이하이고 자체무게 12kg 이하일 경우 신고가 불필요합니다.
안전성 인증 기준: 무인 멀티콥터의 무게가 25kg을 초과하는 경우 안전성 인증을 받아야 하며, 이 기준은 최대 이륙중량을 기준으로 합니다.
1.4. 조종자 자격 및 준수사항
조종자격 응시: 무인 멀티콥터 조종 시간은 총 20시간 이상이 필요합니다. 다만, 무인 헬리콥터 조종자 증명을 받은 경우, 무인 멀티콥터 조종 시간 10시간 이상이면 응시 가능합니다.
주류 및 약물 제한: 초경량 비행장치 조종자도 항공 종사자와 동일하게 혈중 알코올 농도 0.02% 이상 시 조종을 제한합니다.
과태료 순위 (1차 기준, 금액이 작은 순):
초경량 비행장치의 말소신고 위반 (1차 15만원)
조종자 준수사항 위반 (1차 100만원)
조종자 증명 위반 (1차 150만원)
비행안전의 안정성 인증 위반 (1차 250만원)
1.5. 비행 공역 및 승인
비행제한공역: 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비행활동에 제한이 필요한 공역입니다.
비행 승인 기관:
고도 150m 이상 비행: 공역에 관계없이 국토교통부에 승인 요청합니다.
군 관제권 지역: 국방부에 비행 계획 승인 요청합니다.
원자력 지역: 원자력발전소와 연구소 A 지역은 **국방부(합참)**에, B 구역은 각 지방항공청에 승인 요청합니다.
항공장애등 설치 기준: 500ft(AGL) (지표면으로부터 500피트)를 기준으로 합니다.
2. 드론 비행을 위한 핵심 기상학 및 항공역학
2.1. 기상학의 기본 원리: 고기압과 저기압 비교
고기압 (High Pressure) 특징
기류: 중심에서 하강하고 발산하는 기류입니다.
북반구 회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합니다.
날씨: 하강 기류로 인해 구름이 사라져 맑고 좋습니다.
바람: 중심 부근은 기압 경도가 작아 바람이 약합니다.
저기압 (Low Pressure) 특징
기류: 중심에서 상승하고 수렴하는 기류입니다.
북반구 회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합니다.
날씨: 상승 기류로 인해 구름과 강수 현상이 발생하여 흐립니다.
바람: 바람이 강합니다.
등압선과 바람: 일기도상 등압선이 조밀하면 기압 경도력이 커져 바람이 강합니다.
2.2. 국제 표준 대기 (ISA) 및 기온
ISA 해수면 조건: 대기의 온도는 따뜻한 온대지방의 해면상 15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대기압력은 수은주의 높이 760mm를 기준으로 합니다.
기온 감률: 국제표준대기 조건에서 기온은 1,000ft 상승할 때마다 약 2도씩 감소합니다.
예시: 해수면(15도)에서 1,000ft 상공의 기온은 13도입니다.
대류권: 지표면에서 평균 약 12km 높이까지이며, 대부분의 기상 현상이 발생하는 지역입니다.
이류: 유체(공기)의 수평적 이동 현상을 말합니다.
2.3. 착빙 및 비행 영향
과냉각수: 액체 물방울이 0도 이하의 기온에서 응결되거나 액체 상태로 지속되어 남아 있는 물방울입니다. 비행체에 붙으면 착빙이 됩니다.
착빙 종류: 거친 착빙, 맑은 착빙, 서리 착빙이 있으나 이슬 착빙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착빙의 영향: 착빙은 비행체에 양력 감소, 항력 증가, 추진력 감소를 유발하며, 결과적으로 실속 속도는 증가하게 됩니다.
2.4. 전선 및 난기류
온난 전선: 층운형 구름이 발생하며, 전선이 지나가면 기온이 올라가고 바람은 약해집니다. 넓은 지역에 걸쳐 적은 양의 비가 오랫동안 내립니다. (천둥과 번개, 돌풍을 동반한 강한 비는 온난 전선의 특징이 아닙니다.)
한랭 전선: 적운형 구름이 발생하며, 좁은 범위에 강한 비(소나기)를 쏟아내고, 천둥, 번개, 돌풍을 동반하며 기온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난류 강도 (보통 난류 MOD): 항공기가 동요를 느끼고 몸이 들썩할 정도로 평형 및 비행 방향 유지를 위해 극심한 주의가 필요한 상태를 말합니다.
시정 장애물: 안개, 황사, 먼지, 화산재, 연무 등이 시정을 방해하지만, 바람은 시정 장애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