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1급 필기시험 12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컴퓨터활용능력1급 필기시험 12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과목. 컴퓨터 일반 핵심 정리


1. 컴퓨터 그래픽 및 멀티미디어

  • 렌더링 (Rendering): 2차원 또는 3차원 물체의 모형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 사실감을 더해주는 그래픽 기법입니다.

  • 모델링 (Modeling): 3차원 개체의 형상을 정의하고 작성하는 작업입니다.

  • MP3 파일 크기 결정 요소:

    • 표본 추출률 (Sampling Rate, Hz)

    • 샘플 크기 (Sample Size, Bit)

    • 재생 방식 (Mono/Stereo)

    • 주의: 프레임 너비(Pixel)는 이미지 파일 크기 결정 요소입니다.


2. 네트워크 및 인터넷 기술

  • IPv6 주소 체계: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 128비트로, 16비트씩 8부분으로 구성됩니다.

    • 실시간 흐름 제어 및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합니다.

    • 주의: A, B, C, D, E 클래스로 나누어지는 것은 IPv4 주소 체계의 특징입니다.

  • 프록시 서버 (Proxy Server):

    • 외부와의 통신을 중개하는 서버로, 방화벽 기능과 자주 요청되는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캐시 기능을 제공합니다.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인터넷상의 자원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 주소 체계입니다.

    • 일반적인 형식: 프로토콜://호스트주소[:포트번호][/파일경로]

  • 프로토콜 (Protocol) 기능:

    • 흐름 제어, 동기화, 오류 검출 기능을 수행합니다.

    • 네트워크 접속 단말장치 간의 호환성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만 제공됩니다.


3. 운영체제 및 시스템

  • 펌웨어 (Firmware):

    •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ROM(읽기 전용 메모리)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됩니다.

    • 하드웨어 교체 없이 펌웨어 업데이트만으로도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칩셋 (Chipset):

    • 메인보드에 장착되어 CPU, 메모리, 주변 장치 등 각 장치들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고 역할을 조율하는 역할을 합니다.

  • SSD (Solid State Drive):

    • 고속으로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며, 물리적인 회전 디스크가 없어 배드섹터가 발생하지 않으며 외부 충격에 강하고 소음/발열이 낮습니다.

  • 인터럽트 (Interrupt):

    • 외부 인터럽트 예시: 전원 공급 중단, 타이머에 의한 프로그램 중단, 입출력 장치의 준비 완료 알림.

    •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예시: 실행할 수 없는 명령어 사용 (Trap), 0으로 나누기.

  • 레지스터 (Register):

    • CPU 내부에 위치하며, 가장 속도가 빠른 임시 기억장소입니다.

    • 특정한 목적(명령어, 주소, 데이터 등)에 사용됩니다.

  • NTFS 파일시스템:

    • FAT32보다 성능 및 안전성이 우수합니다.

    •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액세스 제어 및 보안을 지원합니다.

    • 비교적 큰 오버헤드가 있어 작은 볼륨(약 400MB 이하)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Windows 시스템 복원 시기:

    • 새 장치 설치 후 시스템이 불안정할 때.

    • 누락되거나 손상된 데이터 파일을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고자 할 때.

    • 주의: 파일의 단편화 개선(디스크 접근 속도 향상)은 디스크 조각 모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핵심 정리


1. 데이터 관리 및 편집

  • 부분합:

    • 다중 함수를 이용하는 중첩 부분합 작성 시, '부분합' 대화 상자에서 '새로운 값으로 대치' 항목을 해제해야 합니다.

    • 부분합 제거 시 윤곽 및 페이지 나누기도 함께 제거됩니다.

  • 텍스트 나누기:

    • 분할하려는 열에 삽입 가능한 구분선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 자동 필터:

    • 두 개 이상의 필드에 조건을 설정하면 필드 간에는 AND 조건으로 결합되어 필터링됩니다.

    • 날짜 필터 목록에는 요일을 기준으로 필터링하는 항목은 없습니다.

  • 동일 데이터 입력:

    • 일정 범위 내에 동일한 데이터를 한 번에 입력하려면 범위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입력한 후 **[Ctrl] + [Enter]**를 누릅니다.

  • 날짜 데이터:

    • 날짜는 1900년 1월 1일을 1로 시작하는 일련번호로 저장됩니다.

    • 수식에 날짜 데이터를 직접 입력할 때에는 **큰 따옴표(" ")**로 묶어서 입력합니다. (="2025-10-25")


2. 수식과 함수

  • 순위(RANK) 함수와 동점자 처리:

    • 총점 기준으로 순위를 구하되, 동점자에 대해 국어 점수가 높은 사람 순으로 처리하는 배열 수식의 기본 형태: {=RANK(총점셀, 총점범위) + SUM((총점범위=총점셀) * (국어범위 > 국어셀))}

    • 이때 * (곱하기) 연산자는 논리적으로 AND 조건을 의미합니다.

  •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는 방법:

    • LEFT 함수 등으로 추출된 문자열 형태의 숫자를 합산하려면 반드시 숫자형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 방법 1: *1 곱하기 (LEFT(A1, 2) * 1)

    • 방법 2: VALUE() 함수 사용 (VALUE(LEFT(A1, 2)))

    • 방법 3: -- 이중 부정 연산 사용 (--LEFT(A1, 2))

  • 주요 함수 정리:

    • INT(인수): 인수를 넘지 않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 (예: INT(-1.5)-2)

    • MOD(인수1, 인수2): 인수1을 인수2로 나눈 나머지 (MOD(-3, 2)1)

    • FACT(인수): 인수의 정수에 대한 계승값 (예: FACT(1.9)FACT(1)과 동일)

  • INDEX 함수 (다중 범위):

    • =INDEX((범위1, 범위2, ...), 행 번호, 열 번호, **지역 번호**)

    • 지역 번호를 이용하여 지정된 여러 범위 중 몇 번째 범위에서 값을 찾을지 결정합니다.


3. 차트 및 인쇄

  • 차트 종류:

    • 도넛형 차트: 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관계를 보여주며, 두 개 이상의 데이터 계열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주식형 차트: 반드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의 데이터 필드가 필요합니다.

  • 축 서식:

    • 로그 눈금 간격: 축 값을 로그 스케일로 압축하여 표시하여, 값이 큰 데이터의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인쇄 영역 설정:

    • 인쇄 영역 확대는 한 시트 내의 영역에서만 원하는 부분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 여러 영역이 인쇄 영역으로 설정된 경우, 설정한 순서대로 각기 다른 페이지에 인쇄됩니다.

    • 페이지 여백 변경은 [페이지 설정] 대화 상자뿐만 아니라 [페이지 레이아웃] 탭에서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일반 핵심 정리


1. 테이블 및 관계 모델

  • 관계 데이터 모델:

    • 릴레이션은 데이터를 표(Table) 형태로 표현합니다.

    • 애트리뷰트(열)는 널(Null)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 튜플(행)들 사이에는 순서가 없습니다.

  • 데이터 중복성:

    • 중복이 많아지면 **데이터의 무결성(정확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지며, 갱신 비용이 높아집니다.

  • 기본키 (Primary Key):

    • 기본키로 설정된 필드는 널(Null) 값이 허용되지 않으며, 항상 고유한 값만 입력되도록 자동 확인됩니다.

    • 테이블 간에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기본키 설정을 해제하면 관계는 유지됩니다.

  • '일련 번호' 데이터 형식:

    • 새 레코드 추가 시 자동으로 번호가 부여됩니다.

    • 삭제된 일련 번호는 다시 부여되지 않습니다.

    • 필드 크기(바이트 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2. 쿼리 (Query)

  • 크로스탭 쿼리:

    • 합계, 평균 등의 집계 함수를 계산한 후, 데이터시트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두 종류의 값으로 그룹화하여 요약 데이터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쿼리 유형입니다.

  • 쿼리 조건식 (WHERE 절):

    • 날짜 데이터: 반드시 # 기호로 묶어야 합니다. (예: <#2025-10-25#)

    • 문자 데이터: 반드시 " 큰따옴표로 묶어야 합니다. (예: ="성북구")

    • 숫자 데이터: 그대로 입력합니다. (예: >=2000 AND <=4000)

  • SQL 정렬:

    • ORDER BY 필드명 [ASC|DESC]: 특정 필드를 기준으로 결과를 정렬합니다.

    • ASC: 오름차순 (생략 가능)

    • DESC: 내림차순

  • SQL 갱신:

    • UPDATE 테이블명 SET 필드명1=값1, ... WHERE 조건;

    • 조건에 맞는 레코드의 필드 값을 갱신합니다.

  • 조인 (JOIN):

    • 내부 조인 (INNER JOIN): 두 테이블의 조인된 필드 값이 일치하는 행만 포함하여 보여줍니다.


3. 폼 및 보고서

  • 폼 (Form) 컨트롤:

    • 텍스트 상자: 테이블/쿼리 등의 데이터에 연결되는 바운드 컨트롤로도, 연결되지 않는 언바운드 컨트롤로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탭 정지 속성: 아니요로 설정하면 [Tab] 키를 눌러도 해당 컨트롤로 포커스가 이동하지 않습니다.

    • 탭 순서: 폼에 컨트롤을 삽입하면 추가한 순서대로 탭 순서가 자동 지정됩니다.

  • 보고서 구역:

    • 보고서 머리글: 보고서 맨 앞에 한 번 출력되며, 함수를 이용한 집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예: 전체 평균, 총 합계).

    • 그룹 바닥글에 =COUNT(*): Null 필드를 포함한 해당 그룹별 레코드 개수가 출력됩니다.

  • 보고서 그룹화:

    • 그룹화 기준은 한 개 이상의 필드나 식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최대 10개), 그룹 머리글/바닥글에 그룹별 요약 정보를 삽입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