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활용능력1급 필기시험 1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컴퓨터 일반 핵심 요약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 정보 보안 및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1.1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
펌웨어 (Firmware)
주로 ROM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어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관리합니다.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Windows 백업 및 복원
백업된 파일은 개별 파일, 파일 그룹, 전체 파일 단위로 선택하여 복원할 수 있습니다.
원본 데이터 수정 시 [모두 새로 고침]을 실행해야 피벗 테이블에 반영됩니다.
제어장치 (Control Unit) 레지스터
부호기 (Encoder): 해독된 명령어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합니다.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 주소는 프로그램 카운터(PC)가 기억합니다.
바로 가기 아이콘
하나의 바로 가기 아이콘에는 하나의 원본 파일만 연결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원본 파일에 여러 개의 바로 가기 아이콘은 가능합니다.)
Windows 공유 및 보안 폴더
파일명 뒤에 **'달러 기호($)'**를 붙이면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가 공유 여부를 확인할 수 없도록 숨김 공유가 됩니다.
탐색기 주소 표시줄에 '\localhost'를 입력하면 공유 파일 확인이 가능합니다.
1.2 네트워크 및 보안
비밀키 암호화 기법 (대칭키)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할 때 동일한 키를 사용합니다.
속도가 빠르고 알고리즘이 단순합니다.
방화벽 (Firewall)
'명백히 허용되지 않은 것은 금지한다'는 적극적 방어 개념을 가집니다.
내부로부터의 불법적인 해킹이나 바이러스에 대해 완벽하게 대처할 수는 없습니다.
네트워크 장비 - 브릿지 (Bridge)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합니다.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확장하며 통신량을 조절합니다.
엑스트라넷 (Extranet)
인터넷 기반 기술을 이용하며, 협력 업체, 고객 등 외부 조직의 승인된 사용자들에게 내부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입니다.
IP 프로토콜
OSI 7계층 중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합니다.
패킷 주소를 해석하고 경로를 결정하여 다음 호스트로 전송하는 기능을 합니다.
1.3 멀티미디어 및 데이터 표현
진법 변환
16진수는 0~9와 A~F로 표현하며, 한 자릿수에 4개의 비트가 필요합니다.
8진수를 16진수로 변환할 때는 8진수를 먼저 2진수로 변환한 후, 2진수를 뒤에서부터 4자리씩 묶어 각각 16진수 1자리로 변환합니다.
디지털 콘텐츠 표준 - MPEG-21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거래, 전달, 관리 등 전체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 표준입니다.
GIF 파일 형식
8비트 컬러를 사용하여 256색만 지원합니다.
색상의 무손실 압축 기술을 사용합니다.
비트맵 방식으로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디스플레이 용어 - 해상도
해상도는 모니터 화면의 픽셀 수와 관련되며, 픽셀 수가 많을수록 선명함이 높아집니다. (색상의 수는 픽셀의 비트 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기억장치
가상 메모리: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여 실제 주기억장치 용량보다 기억용량을 확대하는 방법입니다.
2. 스프레드시트 일반 핵심 요약
Excel의 데이터 분석 기능, 매크로, 수식 작성, 서식 설정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2.1 데이터 관리 및 분석
피벗 테이블
원본 데이터 수정 시 [모두 새로 고침]을 실행해야 보고서에 반영됩니다.
값 영역 필드가 2개 이상이면 '∑ 값' 필드가 열 또는 행 레이블 영역에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
원본 데이터에서 변경 셀의 현재 값을 수정해도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는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습니다.
고급 필터 조건식
수식으로 조건을 작성할 때는 필드명 대신 다른 이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사원명 글자수가 2글자인 조건은 텍스트 조건으로 "=??" 와 같이 물음표(?)를 사용합니다.
수식 조건 작성 시 범위는 **절대 참조($)**를 사용해야 합니다.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텍스트 파일을 가져올 때 구분 기호나 너비로 분리된 일부 열만 선택하여 가져올 수 있습니다.
2.2 수식 및 함수
배열 수식 (SUM 함수)
형식: *{=SUM((조건범위1=조건1)*(조건범위2=조건2)내가 구할 범위)}
수식 입력 및 상수 변환
수식을 입력한 후 결과 값을 상수로 입력되게 하려면 수식을 입력한 상태에서 [F9] 키를 누릅니다.
날짜/시간 입력 단축키
오늘 날짜 입력: [Ctrl] + [;]
현재 시간 입력: [Ctrl] + [Shift] + [;]
2.3 매크로 및 서식
매크로 편집 및 실행
Visual Basic 편집기 실행 단축키는 [Alt] + [F11] 입니다.
[Alt] + [F8]은 매크로 대화 상자를 실행합니다.
사용자 지정 표시 형식
서식 코드에서 **'*'**는 뒤에 붙은 특정 기호를 셀 너비만큼 반복하여 빈칸을 채워 넣는다는 의미입니다.
통합 문서 보호
통합 문서 보호 설정 시 암호를 지정해도 워크시트에 입력된 내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구조만 잠깁니다.)
2.4 차트 및 인쇄
차트 편집
차트에 적용된 원본 데이터의 행이나 열을 숨기면, 차트에도 해당 데이터가 반영되어 숨겨집니다.
인쇄 설정
인쇄 내용을 페이지 가운데에 맞추려면 [페이지 설정] 대화 상자의 [여백] 탭에서 '페이지 가운데 맞춤'의 '가로'와 '세로'를 모두 체크해야 합니다.
3. 데이터베이스 일반 핵심 요약
Access 데이터베이스의 관계형 모델, 개체 (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 및 SQL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3.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및 테이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들은 모두 상이하며,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습니다.
카디널리티: 튜플의 수 (행의 수).
디그리: 애트리뷰트의 수 (열의 수).
정규화 (Normalization)
데이터 입력/삭제 시 이상 (Anomaly)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데이터 구조를 안정화하기 위한 설계 기술입니다.
인덱스 (Index)
인덱스를 설정하면 레코드의 검색 및 정렬 속도는 빨라지지만, 레코드의 추가, 수정, 삭제 속도는 느려집니다.
하나의 인덱스에는 10개의 필드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입력 마스크 사용자 정의 기호
L: 필수 입력으로 영문자와 한글만 입력받도록 설정합니다.
>: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합니다.
<: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합니다.
테이블 디자인 보기
폼 필터를 적용하여 조건에 맞는 레코드만 표시하는 작업은 **[데이터시트 보기]**에서 가능합니다.
3.2 쿼리 및 SQL
매개 변수 쿼리
조건 행에 매개 변수 상자에 표시할 텍스트를 대괄호 [ ] 로 묶어 조건식과 함께 입력합니다.
예:
>={[조회할 최소 나이 입력]}
SQL (SELECT DISTINCT)
DISTINCT 조건자는 검색 결과에서 중복된 값을 제거하고 한 번만 표시되도록 합니다.
SQL (INSERT)
참조 무결성이 설정된 경우, 데이터를 삽입할 때 참조하는 테이블에 해당 키 값이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3.3 폼 및 보고서
관계 편집 (조인)
관계의 종류(일대다, 다대다, 일대일)는 레코드 대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이 아닙니다.)
보고서 컨트롤 - 컨트롤 원본
수식 사용 시 문자는 큰 따옴표 ("), 필드명이나 컨트롤 이름은 대괄호 ([ ]) 를 사용하여 구분합니다.
보고서 페이지 번호 설정
페이지 번호의 표시 위치는 **'페이지 위쪽'**과 '페이지 아래쪽'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폼 작성
[텍스트 상자] 컨트롤의 이름은 중복 설정이 불가능합니다.
분할 표시 폼에서도 컨트롤의 크기 조정은 가능합니다.
폼 속성 - 모달 (Modal)
모달 속성을 '예'로 설정하면 폼이 열려있는 동안 다른 화면을 선택할 수 없도록 포커스를 계속 가집니다.
매크로 함수
FindRecord 함수: 특정한 조건식을 만족하는 레코드 중에서 첫 번째 레코드를 찾는 함수입니다.
DoCmd.OpenReport: 보고서를 실행하는 함수이며,
acViewDesign인수를 사용하면 '디자인 보기'로 실행됩니다.
하위 폼 (Subform)
'폼 분할' 도구를 이용한다고 해서 하위 폼 컨트롤이 자동으로 삽입되지는 않습니다. [하위 폼/하위 보고서] 컨트롤을 사용하여 직접 삽입해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