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롤러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기관(엔진) 일반 및 정비
1.1 4행정 기관의 작동 원리 및 특징
밸브 오버랩 (Valve Overlap): 흡입 밸브와 배기 밸브가 동시에 열려 있는 시점을 말합니다. 이는 배기 행정 말(끝)에서 흡입 행정 초(시작) 사이에 발생하며, 잔류 가스 배출과 신선한 혼합기 흡입을 돕습니다.
동력 전달 순서: 피스톤 → 커넥팅 로드 → 크랭크 축 → 플라이휠 순서로 동력이 전달됩니다.
과급기(터보차저)의 효과: 동일 배기량에서 출력이 증대하고, 연료 소비율이 향상되며, 높은 지대에서도 출력 변화가 작습니다. 연소 상태가 좋아져 착화 지연이 짧아집니다.
1.2 엔진 윤활 및 냉각 장치
윤활 장치 유압 저하 원인:
베어링 윤활 간극이 클 때
오일 팬의 오일이 부족할 때
압력 조절 스프링 장력이 약할 때
주의: 오일의 점도가 높을 때는 유압이 높아집니다.
윤활유 소모 원인: 기관 내에서의 연소 또는 기관 외부로의 누설이 주된 원인입니다.
엔진 과열 시 조치: 가장 먼저 냉각수 양을 점검합니다.
라디에이터 교환 시점: 사용하던 라디에이터와 신품의 냉각수 주입량을 비교했을 때 20%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교환합니다.
진동 억제 부품: 플라이휠, 밸런스 샤프트, 댐퍼 풀리가 기관 진동을 억제합니다. 캠 샤프트는 밸브 개폐를 위한 부품으로 진동 억제와는 무관합니다.
1.3 연료 및 밸브 관련
프라이밍 펌프의 용도: 디젤 기관의 연료 계통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밸브 간극이 너무 클 때: 정상 온도에서 밸브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 출력이 저하되고 소음이 발생합니다.
인젝터(분사 노즐) 점검 항목: 저항, 분사량, 작동음(틱틱 소리) 등을 점검하며, 작동 온도는 직접적인 점검 항목이 아닙니다.
피스톤과 실린더 간극이 클 때: 압축 압력이 낮아지고 블로바이 가스가 증가하여 엔진오일의 소비가 증가합니다.
2. 전기 장치 및 법칙
키르히호프 제1법칙 (전류 법칙): 회로 중 한 점에 흘러 들어오는 전류의 총합과 흘러 나가는 전류의 총합은 서로 같습니다.
암전류(도전 전류): 시동키를 뽑은 상태에서도 배터리에서 방전되는 전류를 뜻하며, 도난 경보기, ECU 등에 의해 소모됩니다.
AC 발전기의 전자석: AC 발전기에서 전류가 흐를 때 전자석이 되는 것은 로터입니다.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유도 기전력의 방향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엄지손가락: 운동 방향
검지손가락: 자력선(자속) 방향
가운데 손가락: 유도 기전력 방향
배터리 관리:
배터리 터미널 중 굵은 것이 (+) 단자입니다.
탈거 시 (-) 단자를 먼저, 장착 시 (+) 단자를 먼저 연결합니다.
기동 모터 불량 원인: 솔레노이드 스위치는 작동되나 기동 전동기가 작동되지 않는다면, 축전지 방전, 엔진 피스톤 고착, 브러시 손상 등이 원인이며, 시동 스위치 불량이면 솔레노이드도 작동되지 않습니다.
퓨즈 사용 주의: 퓨즈가 끊어지면 절대로 철사 등을 감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반드시 규격에 맞는 퓨즈로 교환하고, 끊어진 원인을 먼저 수리해야 합니다.
3. 유압 장치 및 유압유
압력 제어 밸브: 릴리프 밸브, 감압 밸브, 시퀀스 밸브, 언로딩 밸브 등이 있습니다. 체크 밸브는 한쪽 방향으로만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방향 제어 밸브입니다.
릴리프 밸브 (Relief Valve): 유압 회로 내의 압력이 설정된 최고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유압유를 탱크로 바이패스(배출)시켜 회로를 보호하는 안전 밸브 역할을 합니다.
더스트 실 (Dust Seal):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묻은 먼지나 오염 물질이 실린더 내부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유압 모터의 회전력(토크) 변화: 주로 유압유 압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습니다.
유압 펌프의 토출량: 펌프가 단위 시간당 토출하는 액체의 체적을 의미합니다.
압력의 단위: psi, kgf/cm², bar 등이 사용됩니다. N·m는 토크(회전력) 또는 일의 단위입니다.
점도의 단위: **P (포아즈)**가 사용되며, 동점도는 St (스토크스)를 사용합니다.
유압유 열화 판단: 현장에서 가장 적합한 방법은 자극적인 악취나 색깔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밸브 부품 세척유: 경유가 가장 적절합니다.
유압 모터 속도 감속 밸브: 디셀러레이션 밸브가 사용됩니다.
4. 롤러 운전 및 작업
롤러의 역전 장치: 전진과 후진 속도를 동일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됩니다.
다짐 방식에 따른 롤러 구분:
전압식 (자체 중량 이용): 머캐덤 롤러, 탠덤 롤러, 탬핑 롤러, 타이어 롤러
진동식 (진동 이용): 진동 롤러, 진동식 타이어 롤러
쇄석 롤러는 다짐 방식에 의한 구분이 아닙니다.
흙의 종류에 따른 롤러 적합성:
점토질: 탬핑 롤러, 머캐덤 롤러, 탠덤 롤러
사질토: 진동 롤러, 진동형 타이어 롤러
다짐 작업 시 주의사항:
경사진 곳에서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다짐을 진행합니다.
정지 상태에서는 진동을 작동하지 않아야 합니다.
드럼에 살수가 부족하면 아스팔트가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하며, **스카프 현상(긁힘)**은 대형 롤러에 작은 직경의 드럼을 장착했을 때 발생합니다.
마무리 다짐 (3차 다짐): 포장의 요철 제거 및 평탄성 확보가 목적이며, 12톤 이상의 탠덤 롤러를 사용하여 2차 다짐에 생긴 롤러 자국이 없어질 정도로 다집니다. (15톤 이상 타이어 롤러는 2차 다짐에 사용)
일일 점검 사항: 엔진오일 및 연료량, 벨트 장력, 냉각수 양 등 운행 전 필수 점검 사항입니다. 오일 필터 점검/교체는 250시간마다 시행합니다.
5. 건설기계 관리 법규 및 안전
건설기계 기종별 기호표시:
01: 불도저
02: 굴착기
06: 덤프트럭
07: 기중기
09: 롤러
건설기계조종사 면허:
발급 기관: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 발급합니다.
면허 결격 사유 (만 18세 미만, 정신 질환자, 마약 중독자 등): 나이가 만 18세인 사람은 결격 사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무면허 조종 벌칙: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콘크리트 믹서트럭 조종: 자동차 제1종 대형면허를 받아야 합니다.
첨부 서류 (면허 신청 시): 증명사진, 신체검사서, 소형건설기계 조종교육 이수증 등이 필요하며, 주민등록등본은 필수 첨부 서류가 아닙니다.
등록 및 검사:
구조 변경 검사 신청: 건설기계 검사대행자에게 신청합니다.
등록 말소 사유: 거짓 등록, 정기 검사 미수검 등이 해당되며, 건설기계조종사 면허 취소는 직접적인 말소 사유가 아닙니다.
등록 번호표 반납: 등록자를 변경한 때 시·도지사에게 10일 이내에 반납해야 합니다.
등록 번호표 미부착/미봉인 과태료: 100만원입니다.
특별 표지판 부착 대상 (초과 시): 너비 2.5m, 높이 4.0m, 최소 회전 반경 12m, 길이 16.7m를 초과하는 건설기계
5.1 안전 및 공구 사용
화재의 분류:
A급 화재: 일반 화재 (재를 남김)
B급 화재: 유류 화재
C급 화재: 전기 화재
D급 화재: 금속 화재
유류 화재(B급) 부적합 소화기: 물은 유류를 확산시키므로 부적합합니다. (분말, 포말, CO2 소화기가 적합)
엔진 화재 시 조치: 엔진 시동 스위치를 끄고 (연료 공급 차단), ABC 소화기를 사용합니다.
안전·보건 표지 (지시 표지): 안전모 착용 표지는 원형의 파란색 바탕에 흰색 안전모 그림이 그려져 있으며, 작업 시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지시하는 표지입니다.
공구 사용 주의사항:
드라이버: 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하고, 지렛대 대신 사용하지 않으며, 잘 풀리지 않는 나사를 플라이어로 강제로 빼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마이크로미터 보관: 앤빌과 스핀들을 약간 떨어뜨려 놓아야 합니다. 밀착시키면 열팽창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습니다.
벨트 걸기: 반드시 회전을 중지한 상태에서 걸어야 합니다.
지렛대 사용: 화물 접촉면을 미끄럽게 하는 것은 위험하며, 손잡이가 미끄럽지 않고 화물 중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감전 예방: 220V는 저압이지만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