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공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기관(엔진) 및 연료 장치 핵심 정리
1.1 기관의 기본 작동 원리 및 구조
4행정 기관의 회전수 관계:
4행정 기관은 크랭크축 2회전당 분사펌프(또는 캠축)가 1회전합니다.
예시: 엔진이 4,000rpm(분당회전수)일 때, 분사펌프는 2,000rpm으로 회전합니다.
6실린더 기관의 폭발 순서: 우수식 4행정 6실린더 기관의 일반적인 폭발 순서는 1 - 5 - 3 - 6 - 2 - 4 입니다.
기관 동력 전달 순서: 피스톤 → 커넥팅 로드 → 크랭크축 → 클러치 순으로 동력이 전달됩니다.
커넥팅 로드 손상: 커넥팅 로드가 파손되면 직접적으로 실린더나 실린더 블록에 심각한 손상을 입힙니다.
압축 압력 저하 원인: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 불량이 있으며, 피스톤 링 마멸이나 밸브 간극 과대 등도 포함됩니다.
1.2 냉각, 윤활, 연료 시스템
윤활유 압력 상승 원인: 윤활유의 점도가 너무 높을 때 압력이 상승합니다.
윤활유 과소비 원인: 가장 큰 원인은 피스톤 링의 마멸입니다. 마멸된 링 사이로 오일이 연소실로 올라가 연소됩니다.
압력식 라디에이터 캡의 이점: 냉각 계통의 압력을 높여 냉각수의 비등점(끓는점)을 올릴 수 있어 과열을 방지합니다.
수온 조절기(서모스탯):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은 펠릿형으로, 수압의 영향을 적게 받아 온도 제어가 정확합니다.
팬 벨트 장력 점검: 벨트의 가장 긴 부분을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처짐량을 점검합니다.
겨울철 연료 관리: 연료탱크를 가득 채우는 이유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물이 생기는 현상(결로)**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연료 착화성: 디젤 기관 연료 중 착화성이 가장 좋은 연료는 경유입니다.
디젤 노킹 원인: 착화 지연 기간이 길어 연소실에 연료가 누적되었다가 일시에 연소할 때 발생합니다.
흑색 배기가스 원인: 불완전 연소, 공기 부족 (에어클리너 막힘), 노즐 불량, 압축 불량 등입니다.
2. 전기 장치 및 동력 전달 장치
2.1 전기 장치
전자제어유닛(ECU)의 역할: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연료 분사량, 분사 시기 등을 전기적 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축전지 용량 단위: 축전지의 용량은 **Ah (암페어시)**로 나타냅니다.
방전종지전압: 축전지의 방전 능력이 없어져 단자 전압이 급격히 저하되는 시점의 전압입니다.
축전지 장착/탈거 순서:
장착 시: (+)선을 먼저, (-)선을 나중에 연결합니다.
탈거 시: (-)선을 먼저, (+)선을 나중에 분리합니다.
기동 전동기: 건설기계에 주로 사용되는 형식은 직류 직권 전동기이며, 구동 피니언은 기동 전동기에 부착되어 엔진의 링기어를 회전시킵니다.
충전 경고등: 운전 중 충전 경고등이 점등되면 발전기 또는 충전 계통에 고장이 발생하여 축전지가 충전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퓨즈: 회로를 보호하는 정격용량의 부품이며, 절대 철사 등으로 대용해서는 안 됩니다.
2.2 동력 전달 및 하체 장치
클러치 구성품: 기관의 플라이휠과 항상 같이 회전하는 부품은 압력판입니다.
토크 컨버터의 특징: 유체 클러치와 달리 **스테이터(Stator)**라는 날개가 추가되어 토크 증배 작용을 합니다.
제동 배력 장치: 배력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일반적인 제동(마스터 실린더)은 가능합니다.
트랙 장치: 주유가 필요 없는 소모성 구성품은 트랙 슈입니다.
타이어 트레드 패턴: 조향성, 제동력, 구동력, 배수 효과 등과 관련 있으며, 타이어의 폭에 대한 높이 비율인 편평율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3. 유압 장치 핵심 개념
3.1 유압 작동유 및 밸브
유압 작동유의 조건: 압력에 대해 비압축성일 것, 점도 지수가 높을 것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적을 것), 발화점이 높을 것, 체적 탄성 계수가 클 것 등이 있습니다.
점도 지수: 유압 오일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유압 탱크 구성 요소: 유면계, 분리판, 주유구, 흡입 여과기 등입니다. 유압계는 탱크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분기 회로 사용 밸브:
리듀싱 밸브 (Reducing Valve): 2차 회로 압력을 낮게 유지합니다.
시퀀스 밸브 (Sequence Valve): 한 작동이 완료된 후 다음 작동이 시작되도록 순서를 제어합니다.
실린더 자연 하강 (Cylinder Drift) 원인: 실린더 내부 패킹 마모, 컨트롤 밸브 스풀 마모로 인한 내부 누유, 릴리프 밸브 불량 등이 원인입니다.
3.2 유압 펌프 및 모터
유압 모터의 역할: **유체의 에너지(압력)를 기계적인 일(회전 운동)**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 (Variable Displacement Pump):
펌프의 토출량(유량)을 부하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펌프입니다.
불필요한 동력 손실을 줄이고 효율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4. 천공기 작업 및 건설기계 관리법/안전
4.1 천공기/항타기 작업 지식
천공기 소모성 부품: 섕크 어댑터, 커플링, 드릴 비트 등이며, 어큐뮬레이터는 소모성 부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락드릴 트랙 장력: 정상 상태에서 트랙의 처짐은 약 10mm ~ 15mm를 유지해야 합니다.
번 컷 (Burn-cut) 발파 공법:
장공 발파 및 경암 발파에 유리합니다.
단점: 버력의 비산 거리가 길고 폭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항타기 안전사항: 크레인 이동 시 권상 장치에 하중을 건 채로 붐을 회전시키거나 크레인을 이동해서는 안 됩니다.
표준관입시험 (SPT): 측정이 간편하나 정확한 측정이 미비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4.2 건설기계 관리법 및 안전
등록번호표 제작 신청: 통지를 받은 건설기계 소유자는 3일 이내에 제작 신청을 해야 합니다.
건설기계 구조 변경 범위: 길이, 너비, 높이, 조종 장치의 형식 변경 등은 해당되지만, 적재함의 용량 증가를 위한 변경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정비업의 사업 범위: 변속기의 분해 및 정비는 종합 건설기계정비업의 사업 범위이며, 원동기 전문업은 원동기 관련 부품만 정비합니다.
무면허 조종 벌칙: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고압전선 사고: 건설기계가 고압전선에 접촉할 경우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사고 유형은 감전입니다.
재해 발생 시 조치 순서: 운전정지 → 피해자 구조 → 응급처치 → 2차 재해 방지 순입니다.
소화 작업의 기본 3요소: 가연물질 제거, 산소 차단, 점화원 냉각이며, 연료를 기화시키는 것은 소화 작업의 기본 요소가 아닙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