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산림대 및 수종 특성
가. 우리나라의 산림대
난대림: 일반적으로 북위 35도 이남이며, 연평균 기온이 14°C 이상인 지역의 산림대입니다.
나. 수종별 특성
볕데기(피소) 피해 취약 수종: 뜨거운 직사광선에 수피의 수분 증발이 급격히 일어나기 쉬운 수종입니다.
오동나무, 호두나무, 가문비나무 (수피가 평활하고 코르크층이 발달하지 않은 수종).
내화력 강한 수종: 두껍고 단단한 수피를 가진 수종입니다.
사철나무, 피나무.
아황산가스에 강한 수종:
은행나무, 향나무, 가시나무, 편백, 비자나무, 식나무 등.
굵은 생가지치기 시 위험성 높은 수종:
느릅나무, 벚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2. 묘목, 종자 및 조림
가. 종자 관련 지식
실중: 종자 1,000립의 무게를 g으로 나타낸 값입니다 (소립종자 기준). 대립종자는 100립을 기준으로 합니다.
발아율: 가장 높은 수종은 해송(92%)이며, 상수리나무(57%), 잣나무(56%), 박달나무(21%) 순입니다.
종자의 결실주기:
낙엽송: 5 ~ 7년.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격년.
전나무: 3 ~ 4년.
종자 성숙기: 동백나무, 회화나무는 11월로 성숙기가 가장 늦습니다.
과실의 분류:
시과(翅果): 과피가 발달하여 날개처럼 된 과실입니다.
단풍나무류, 물푸레나무류, 느릅나무류, 가중나무.
종자 발아 촉진법: 종피파상법, 침수처리법, 노천매장법 등이 있습니다. (X선분석법은 검사법입니다.)
나. 묘목 및 양묘
곤포당 본수: 호두나무(1년생)가 500본으로 가장 적습니다. (잣나무 2년생 2,000본, 삼나무 2년생 1,000본, 자작나무 1년생 1,500본).
실생묘 표시법: 1-1묘는 파종상에서 1년, 판갈이하여 1년이 지난 만 2년생 묘목으로, 한 번 옮겨 심은 실생묘를 의미합니다.
묘목 가식 방향:
가을 가식 시 묘목 끝은 남쪽으로 45° 경사지게 묻습니다.
봄 가식 시 묘목 끝은 북쪽으로 45° 경사지게 묻습니다.
묘포지 선정 요건: 도장(徒長)의 우려가 있으므로 너무 비옥한 토지는 피해야 합니다. 관배수가 용이한 양토나 사질양토가 적합합니다.
파종량 계산 공식 (순수 텍스트):
파종량 (g/m²) = (파종면적 m² × 묘목본수) / (종자립수 × 종자효율 × 잔존율)
예시 (문제 36): 1m²에 350본을 파종할 때, 종자립수 180, 종자효율 0.75, 잔존율 0.3 이면 약 8.6g이 필요합니다.
다. 조림 및 갱신
삽목이 잘되는 수종:
은행나무, 미루나무, 포플러류, 버드나무류, 사철나무, 플라타너스, 측백나무, 비자나무 등.
접목방법:
할접법: 비교적 대목이 굵고 접수가 가늘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밑깎기(풀베기) 방법:
전면깎기(모두베기): 조림목을 제외한 조림지 전면의 잡초목을 모두 깎아내는 방법입니다.
갱신을 위한 벌채 방식: 개벌작업, 산벌작업, 택벌작업. (간벌작업은 무육 작업에 해당합니다.)
택벌작업: 음수 수종의 갱신에 적합하며, 양수의 갱신은 어렵습니다.
모수작업:
모수로 남겨야 할 임목은 전 임목 본수의 **2 ~ 3%**입니다. (전체 나무 수에 비하여 극히 적음)
갱신이 끝나면 모수는 벌채 이용되며, 동령림이 조성됩니다.
천연하종갱신: 임지에 서 있는 성숙한 나무로부터 종자가 떨어져 어린나무를 발생시키는 갱신 방법입니다.
3. 산림 병해충 방제
가. 병원균별 분류
파이토플라스마:
뽕나무 오갈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붉나무 빗자루병.
바이러스:
포플러 모자이크병.
진균(곰팡이):
벚나무 빗자루병, 잣나무 털녹병.
세균:
뿌리혹병, 불마름병.
나. 주요 병해 및 방제
잣나무 털녹병:
중간기주(송이풀) 제거 작업은 겨울포자가 형성되기 전인 8월 말 이전에 시행해야 효과적입니다.
발생 요인: 온난화.
대추나무 빗자루병:
치료: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를 수간에 주입하여 치료합니다.
뿌리혹병:
특징: 고온다습할 때 알칼리성 토양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방제: 석회 시용량을 줄여 토양 산도를 조절합니다.
침입 경로: 지상부의 접목 부위, 삽목의 하단부 등으로 병원균이 침입합니다.
다. 주요 해충 및 방제
미국흰불나방: 월동 형태는 번데기입니다.
솔노랑잎벌: 주로 묵은 잎을 가해합니다.
오리나무잎벌레: 유충과 성충 모두 나뭇잎을 식해합니다.
오동나무 빗자루병 매개충: 담배장님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오동나무매미충.
생물적 방제: 남색긴꼬리좀벌은 밤나무혹벌 방제에 이용되는 천적입니다.
훈증제의 조건: 휘발성이 커야 하고, 인화성이어서는 안 됩니다. 침투성이 크고, 목적물에 이화학적 변화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해충 구제 (기계적 방제법): 포살법(잡아 죽임), 유살법(유인하여 잡음), 소살법(불에 태워 죽임) 등이 있습니다. 냉각법은 기계적 방제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4. 임업 기계 및 안전
가. 엔진 및 기계 작동
마력: 1초 동안에 75kg의 중량을 1m 들어 올리는 데 필요한 동력 단위입니다.
4행정기관 작동순서: 흡입
→ 압축→ 폭발→ 배기2행정기관 특징 (4행정기관과 비교):
배기음이 크다. (4행정은 낮다.)
휘발유와 오일 소비가 크다.
동일 배기량에 비해 출력이 크다.
저속 운전이 곤란하다.
나. 벌채 및 집재 장비
도끼자루 길이: 사용자의 팔 길이가 가장 적합합니다.
기계톱 (체인톱):
1시간당 평균 연료 소모량은 약 1.5L입니다.
연료/오일 혼합 비율이 25:1일 경우, 휘발유 40L에는 오일 1.6L가 필요합니다.
계산: 40L / 25 = 1.6L
안전장치: 지레발톱, 체인잡이 볼트, 안전스로틀 등. (이음쇠는 구조 부품입니다.)
예불기: 톱의 회전 방향은 반시계방향입니다.
삼각톱니 젖힘 크기:
침엽수: 0.3 ~ 0.5mm.
활엽수: 0.2 ~ 0.3mm.
벌출 공정 구성요소: 벌목, 조재, 집재, 가설철거, 집적. (조사는 공정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가선집재 기계: 자주식 반송기, 썰매식 집재기, 이동식 타워형 집재기. (하베스터는 벌채/조재용입니다.)
트랙터 부착형 윈치 (파미윈치): 지면끌기 집재작업 방식입니다. 견인작업 시 와이어로프 내각은 위험 지역입니다.
아크야윈치 (썰매형 윈치): 작업노선은 경사면을 따라 상하로 직선이 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무육작업용 부적합 장비: 손도끼 (주로 제벌 및 간벌 시 사용됩니다).
다. 안전 및 기타
안전화 조건: 땀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고무재질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철판으로 보호된 안전화 코, 미끄럼 방지 바닥판, 특수 보호 재료 등이 필요합니다.
목재 쐐기 적합 수종: 아까시나무, 단풍나무, 참나무류. (리기다소나무는 목재 질이 좋지 않아 부적합합니다.)
수관급: 병해를 받는 임목의 수관급은 2급목(수관 발달이 정상적이지 못한 나무)에 해당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