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승강기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승강기 안전 및 법규 (기준값 집중 정리)

승강기 안전 기준과 관련된 수치들은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암기 포인트입니다. 정확한 수치를 숙지하여 실수를 줄여야 합니다.


1.1 승강기 안전 장치 기준

  • 과부하 방지 장치 작동 기준:

    • 작동치: 정격 적재하중의 **100~110%**를 권장합니다.

    • 검출 시점: 과부하는 정격하중의 10% (최소 75 kg)를 초과하기 전에 검출되어야 합니다.

  • 비상 운전 속도:

    • 비상 운전 시 카의 속도는 0.3 m/s 이하이어야 합니다.

  • 파이널 리밋스위치 작동 시점:

    • 카가 승강로의 완충기에 충돌되기 전에 작동되어야 합니다.

    • 작동 시 권상 전동기 및 브레이크 전원이 차단됩니다.


1.2 기계실 및 승강로 건축 기준

  • 기계실 유효 높이:

    • 작업 구역의 유효 높이는 2.1 m 이상이어야 합니다.

    • 작업 구역 간 이동 통로의 유효 높이는 1.8 m 이상이어야 합니다.

    • 제어반 및 캐비닛 깊이 (외함 표면에서 측정): 0.7 m 이상이어야 합니다.

  • 기계실 출입:

    • 관계자 외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출입구에 잠금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 카실 및 비상구출문:

    • 카의 구조는 경미한 부분을 제외하고 불연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 카 천장의 비상구출문 유효 개구부 크기는 0.4 m x 0.5 m 이상이어야 합니다.



2. 주요 승강기 기계 장치와 원리


2.1 로프 및 도르래

  • 균형로프 (Compensating Rope) 역할:

    • 주로프와 이동 케이블의 이동으로 인해 변화된 하중을 보상하여, 카의 위치에 따른 메인 로프 무게 불균형을 해소합니다.

  • 도르래 직경:

    •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도르래의 직경은 로프 직경의 40배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 균형추 중량 산정:

    • 균형추 중량 = 카 자체하중 + (정격 적재하중 x 오버밸런스율)

    • 일반적으로 카의 전 중량에 정격 적재량의 **40~50%**를 더한 무게로 산정합니다.

  • T형 레일 공칭 호칭:

    • 소재 1 m 길이당 중량을 라운드 번호로 붙여 씁니다. (예: 8K, 13K, 18K, 24K, 30K)


2.2 유압식 엘리베이터

  • 파워 유닛 구성 요소:

    • 펌프, 유량 제어 밸브, 체크 밸브, 안전 밸브, 주 전동기 등이 포함됩니다. (유압 실린더는 제외)

  • 역저지 (체크) 밸브 역할:

    • 카 정지 중이나 운행 중 작동유의 압력이 떨어져 카가 역행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 작동유 온도 기준:

    • 작동유 온도 검출 스위치는 기름탱크의 온도가 60°C를 초과하면 이를 감지하여 카 운행을 중지시킵니다.

  • 간접식 유압 엘리베이터 특징:

    • 부하에 의한 카 바닥의 빠짐이 비교적 큽니다.


2.3 에스컬레이터 및 덤웨이터

  • 에스컬레이터 속도 및 경사도:

    • 경사도가 30° 이하일 경우 공칭 속도는 0.75 m/s 이하입니다.

    • 핸드레일 속도는 스텝 속도와 동일 방향으로 **0~2%**의 공차 내에서 움직여야 합니다.

  • 에스컬레이터 디딤판 틈새:

    • 디딤판 상호 간의 틈새는 승강로의 총길이에 걸쳐 6 mm 이하이어야 합니다.

  • 전동 덤웨이터 안전 장치:

    • 승강로의 모든 출입구 문이 닫혀야만 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3. 전기 제어 및 일반


3.1 엘리베이터 제어 방식

  • VVVF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제어:

    • 속도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고 보수가 용이하며, 직류 전동기와 동등한 제어 특성을 낼 수 있습니다.

  • 조속기 종류:

    • 고속용 승강기에 가장 적합한 조속기는 플라이 볼형 (GF형) 입니다.

  • 유압 엘리베이터 속도 제어 회로:

    • 주회로에 유량 제어 밸브를 삽입하여 유량을 직접 제어하는 회로는 미터인 회로입니다.


3.2 일반 전기/기계 공학

  • RLC 교류 회로:

    • R만의 회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은 동상입니다.

    • C만의 회로: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90° 앞섭니다.

    • 유도성 리액턴스 XL: XL = 2 × 3.14 × f × L 입니다. (f: 주파수, L: 인덕턴스)

  • 직류 전동기 회전수:

    • 자속이 감소하면 회전수는 상승합니다.

  • 엘리베이터용 전동기:

    • 크레인, 엘리베이터 등 부하 변동이 심한 운전에 적합한 전동기는 가동 복권 전동기입니다. (기동 토크가 크고, 무부하 시 위험 속도에 이르지 않음)

  • 논리 회로:

    • 시퀀스 회로에서 일종의 기억 회로 역할을 하는 것은 자기 유지 회로입니다.

  • 기계 요소:

    • 회전축에서 베어링과 접촉하고 있는 부분은 저널 (Journal) 이라고 합니다.

    • 공차 범위는 최대 허용 치수와 최소 허용 치수와의 차이입니다.



4. 안전 관리 및 재해 예방


4.1 안전 점검 및 진단

  • 안전 점검 및 진단 순서:

    1. 실태 파악

    2. 결함 발견

    3. 대책 결정

    4. 대책 실시

  • 5S 활동:

    • 정리, 정돈, 청소, 청결, 습관화 (불결은 5S 활동이 아님)


4.2 작업 안전

  • 카 상부 탑승 작업 시 유의 사항:

    • 스톱 스위치를 차단하고, 승강장 측 신호 계통을 분리시킵니다.

    • 자동 스위치를 점검 쪽으로 전환한 후 작업합니다.

  • 엘리베이터 점검 항목 위치:

    • 기계실: 조속기 작동 상태, 수전반 및 주 개폐기, 제동기.

    • 카 상부: 도어록 점검, 레일 클립 조임 상태, 카 도어 스위치 동작 상태.

    • 피트: 파이널 리밋스위치 점검, 이동 케이블 점검, 배수구 점검.

  • 카 도어 닫힘 안전 장치:

    • 카 도어의 끝단에 설치되어 이물체가 접촉되면 도어 닫힘이 중단되는 장치는 세이프티 슈입니다.


4.3 산업 재해

  • 재해 발생 순서:

    • 이상 상태 -> 불안전 행동 및 상태 -> 사고 -> 재해

  • 불안전한 행동 (인적 요인):

    • 위험 장소 접근, 안전 장치 기능 제거, 복장/보호구 잘못 사용 등 (작업 장소 불량은 불안전한 상태임)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