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0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컨테이너 크레인 구조 및 작동 원리


1. 크레인 작동 및 동작 특성

  • 동시 동작 가능 요소: 컨테이너 크레인 작업 중 동시에 운전할 수 있는 동작은 트롤리호이스트 동작입니다.

  • 충격 완화 장치: 크레인의 주행이나 트롤리 이동 시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는 **버퍼(Buffer)**입니다.

  • 트롤리 방식: **세미로프 트롤리(Semi-rope Trolley)**는 트롤리 이동만 와이어로프로 작동시키고, 호이스트 장치는 별도로 장치하는 방식입니다.

  • 운전실 제작 조건: 충분한 시야 확보, 스위치 및 경고판의 쉬운 조작/감지, 외부 연락 설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 작업 종료 후 조치: 작업이 끝나면 모든 제어 스위치를 OFF 위치에 두어야 합니다.


2. 크레인의 주요 성능 용어

  • 아웃리치(Out Reach): 트롤리가 해상 측 레일에서 해상 측 정지 리밋 스위치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 갠트리 오프닝(Gantry Opening): 포털(Portal) 앞다리 사이의 공간을 의미합니다.

  • 스팬(Span): 크레인이 주행하는 양쪽 레일 간 거리를 말합니다.

  • 백리치(Back Reach): 육상 측 붐으로 최대로 나갔을 때, 육상 측 레일 중심에서 스프레더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3. 틸팅 디바이스의 기능 (컨테이너 자세 조정)

컨테이너 하역 작업 중 야드 트레일러의 섀시가 틀어져 있으면 스프레더를 조정해야 합니다.

  • 트림(Trim): 스프레더를 좌우(수평, 가로)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입니다.

  • 리스트(List): 스프레더를 전후(수직, 세로)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입니다.

  • 스큐(Skew): 스프레더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컨테이너의 틀어짐을 맞추는 동작입니다.



II. 기계 및 동력 전달 및 안전 장치


1. 와이어로프의 폐기 및 꼬임

  • 와이어로프 폐기 기준:

    • 한 꼬임에서 소선의 수가 10% 이상 절단된 것.

    • 마모로 인하여 직경이 공칭지름의 7% 이상 감소된 것.

    • 킹크(Kink)되거나 심하게 변형/부식된 것.

  • 와이어로프 꼬임 종류: 보통 꼬임(로프/스트랜드 꼬임 방향 반대), 랭(Lang's) 꼬임(로프/스트랜드 꼬임 방향 동일)이 있습니다.


2. 브레이크 및 계류 장치

  • 브레이크 작용: 기계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운동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입니다.

  • 계류 장치: 폭주 방지(레일 클램프, 앵커), 전도 방지(타이다운, 턴버클) 장치가 있습니다.

  • 붐 호이스트 운전 조건 (안전): 붐 래치 핀이 걸려 있을 때만 운전 가능하며, 주행, 트롤리, 호이스트가 작동하지 않을 때만 조작할 수 있습니다. 상승 초과 리밋 스위치 작동 시 붐은 비상 정지되고 제어 전원이 차단됩니다.



III. 전기 및 제어 시스템


1. 전기 이론 및 동력

  • 전위차: 두 점 사이의 전기적 위치 에너지를 말합니다.

  • 상호 유도 작용: 하나의 전기회로에 자력선의 변화가 생겼을 때, 그 변화를 방해하려고 다른 전기회로에 기전력이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 유도 전동기 동기 속도 (Ns):

    • 계산 공식: Ns = (120 × 주파수(f)) / 극수(P)

    • (예: 극수 8, 주파수 60Hz → Ns = 900 rpm)

  • 브레이크용 전자석 전압 강하 시: 전압이 낮아지면 전류가 높아져 과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제어 시스템 및 장치

  • 트롤리 위치 제어: 모터에 설치된 **가감산 부호기(Encoder)**에 의해 위치가 측정되고 제어됩니다.

  • CMS(Crane Monitoring System): 통신 상황, 전동기 전압/전류값, PLC 상태 등을 모니터링합니다.

  •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구성: 중앙처리장치, 입·출력 모듈,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 장치 등으로 구성됩니다.

  • 인터록 회로: 2개의 입력 중 먼저 동작한 쪽이 우선이고, 다른 쪽의 동작을 금지하는 안전 회로입니다.

  • 리밋 스위치(Limit Switch): 트롤리 및 호이스트 동작 시 구간 내에 들어왔을 때 위치를 확인해 주는 스위치입니다.



IV. 유압 시스템


1. 유압 작동유 및 펌프

  • 유압 작동유 점도:

    • 점도가 너무 높을 때: 내부 마찰이 커져 동력 손실이 증가합니다.

    • 점도가 너무 낮을 때: 내부 누설이 증가하여 오일 압력이 낮아집니다.

  • 기어식 유압 펌프 특징: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유 오염에 강하지만, 누설 방지가 어려워 효율이 낮으며, 가변 용량형 펌프로 제작하는 것은 부적합합니다.


2. 유압 구성 요소

  • 릴리프 밸브 채터링(Chattering): 릴리프 밸브에서 볼이 밸브의 시트를 때려 소음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유압 모터 특징: 소형으로 강력한 힘을 낼 수 있고, 정·역회전 변화가 가능하며 무단 변속이 용이합니다.

  • 제어 밸브 종류: 압력 제어 밸브, 유량 제어 밸브, 방향 제어 밸브가 있습니다.

  • 오일 탱크 설치 기준: 펌프 흡입구에는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고, 흡입구와 귀환구 사이에 **격리판(Baffle Plate)**을 설치해야 합니다. 펌프 흡입구는 탱크의 가장 밑면에 설치해서는 안 됩니다.



V. 컨테이너 및 터미널 운영


1. 컨테이너 개요

  • 수출 화물 업무 흐름: 인수보관선적 순서로 진행됩니다.

  • 컨테이너 일련번호: 옆면, 윗면, 앞면에 부착되지만, 밑면에는 부착되지 않습니다.

  • 리퍼 컨테이너(Reefer): 냉동 및 냉장 화물 운송을 위한 컨테이너입니다.

  • 갑판적 라싱: 최상단 컨테이너끼리 단단히 체결하는 방법은 **브리지 피팅(Bridge Fitting)**입니다.


2. 터미널 장비 및 시설

  • 야드 트레일러 특징: 컨테이너 터미널 내부에서 사용되며, 랜딩 기어 장치는 부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 터미널 시설 (비포함): **ODCY(Off-Dock Container Yard)**는 항만 밖 장치장입니다.

  • 철도 운송 하역 장비: 열차 위에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장비는 **RMGC(Rail Mounted Gantry Crane)**입니다.

  • 위험물 반입: IMDG 1, 2, 7류(소방법상 8류)는 터미널 내 반입 금지하며 직 반출입을 원칙으로 합니다.



VI. 안전 및 규정

  • 안전 복장: 작업원이 눈에 띌 수 있도록 고시도 재킷을 착용해야 합니다.

  • 정비 요원 주의 사항: 각종 리밋 스위치는 안전장치이므로 편의에 따라 해제해서는 안 됩니다.

  • 위험 화물 하역: 화약류 화물은 타 화물에 우선 양화하고, 마지막에 선적합니다. 주간에는 국제 신호 B기를 게양합니다.

  • 하역 작업 중 조도: 조도는 여러 표본 지역에서 측정하여 평균해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