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1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Ⅰ. 기관 (엔진) 핵심 이론
1. 기관 성능 및 사이클 원리
최대 압력 발생 시기: 가솔린 4행정 엔진에서 최대 폭발 압력은 동력 행정 중 상사점 후(ATDC) 약 10~15° 부근에서 발생합니다.
오토 사이클 (가솔린): 일정한 체적(정적) 하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대표적인 기관 사이클입니다.
2행정 사이클: 크랭크축 1회전당 1회의 폭발 행정(동력)이 발생합니다.
피스톤 평균 속도: 행정 길이(L, m)와 회전수(N, rpm)를 이용하여 계산하며, 공식은 평균 속도 = (2 * L * N) / 60 또는 (L * N) / 30 (m/sec) 입니다.
압축비 (엡실론): 압축비 = (연소실 체적 + 행정 체적) / 연소실 체적 으로 계산됩니다. (행정 체적은 실린더 배기량을 의미합니다.)
2. 기관 부품 구조 및 관리
실린더 헤드 재질: 대부분 알루미늄 합금(Alloy)을 사용하는데, 이는 가볍고 열전달률이 우수하여 냉각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피스톤 구비 조건:
가벼울 것.
열팽창이 적을 것.
열전도율이 높을 것 (열을 잘 방출해야 함).
높은 온도와 폭발력에 견딜 것.
베어링 스프레드(Spread): 베어링을 조립할 때 저널에 밀착되게 끼울 수 있도록 하우징 지름보다 크게 만드는 치수 차이입니다.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률: (신품 용량 - 구품 용량) / 신품 용량 * 100% 로 계산합니다. (막힘률이 클수록 냉각 효율 저하)
윤활유 구비 조건:
발화점 및 인화점이 높을 것 (쉽게 타지 않아야 함).
열과 산에 대한 안정성이 높을 것.
3. 연료 및 배기 제어 장치
연료 펌프 체크 밸브: 연료 라인의 잔압을 유지하여 재시동성을 용이하게 합니다.
MAP 센서 (흡입 공기량): 흡기 다기관의 진공도가 클수록 (압력이 낮을수록) 출력 전압값은 낮아집니다. (간접 계측 방식)
디젤 기관 조속기 (Governor): 연료량 제어를 통해 최고 회전수를 제어하고 과속(Over Run)을 방지합니다.
가솔린 노킹 방지:
냉각수 온도를 낮춥니다.
흡기 온도를 낮춥니다.
옥탄가가 높은 연료를 사용합니다.
옥탄가: 가솔린 연료의 내폭성 (노크를 일으키기 어려운 성질) 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LPG 기상 밸브: 냉간 시 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체 상태의 LPG를 연소실로 유입시킵니다.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EGR): 배기가스를 흡기로 재유입시켜 연소 온도를 낮춤으로써 질소 산화물(NOx)의 발생을 억제합니다.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3원 촉매 장치: CO, HC는 산화시키고, NOx는 환원시켜 N2와 O2로 분리합니다.
Ⅱ. 섀시 및 동력 전달 장치
1. 제동 및 현가 장치
유압 브레이크 원리: 파스칼의 원리에 근거를 두며, 밀폐된 액체의 압력은 모든 방향에 동일하게 작용합니다.
프로포셔닝 밸브 (P-Valve): 제동 시 후륜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감소시켜 후륜의 잠김으로 인한 스핀(Spin)을 방지합니다.
하이드로플레이닝 (수막 현상) 방지: 타이어 공기압을 높입니다. (낮추는 것은 틀린 방법입니다.)
ECS (전자 제어 현가 장치) 액추에이터: 쇽업소버에 장착되어 컨트롤 로드를 회전시키고 오일 통로를 변환하여 감쇠력(Hard/Soft)을 제어합니다.
스태빌라이저: 선회 시 차체의 좌우 진동 (롤링)을 억제하고 감소시킵니다.
2. 조향 및 동력 전달 장치
토크 컨버터 성능 지표: 속도비, 전달 효율, 토크비로 나타냅니다. (클러치비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자재 이음 (Universal Joint): 프로펠러 샤프트에서 동력 전달 각의 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토인/토아웃 조정: 앞바퀴 정렬에서 타이로드의 길이를 증감시켜 조정합니다.
자동 변속 기본 정보: 변속 레버 위치, 엔진 부하(스로틀 개도), 차량 속도가 기본 정보이며 오일 온도는 변속 제어의 보조 정보입니다.
클러치 압력판 역할: 클러치판을 밀어서 플라이휠에 압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조향 기어 종류: 래크-피니언, 웜-섹터 롤러, 볼-너트 형식이 주로 사용됩니다. (롤러-베어링 형식은 조향 기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Ⅲ. 전기 및 전자 제어 장치
1. 전기 장치 및 발전
축전지 자기 방전율: 온도가 높아지면 자기 방전율도 높아집니다.
발전기 종류: 자동차용은 일반적으로 타여자식 3상 교류 발전기를 사용합니다.
기동 전동기 (스타터): 축전지 접지가 불량하면 기동 전동기의 작동이 불량해집니다. (접지 상태가 매우 중요합니다.)
조도 계산: 조도 (lx) = 광도 (cd) / 거리 (m)의 제곱 입니다.
2. 센서 및 제어
가속도(G) 센서: 에어백 (SRS) 장치에 내장되어 충격 감지 및 전개 신호로 사용됩니다.
냉각수 온도 센서: 대부분 NTC 저항체 (부특성 서미스터) 를 적용합니다. (온도 상승 시 저항 감소)
광 센서가 아닌 것: 노크 센서는 압전 소자로서 엔진의 진동을 감지합니다.
파워 트랜지스터 (점화 장치): ECU에서 베이스 신호를 받아 점화 코일 1차 전류를 단속하며, 컬렉터 단자는 점화 1차 코일과 연결됩니다.
논리 회로 (AND Gate): 모든 입력(A, B, C, D)이 동시에 1일 때만 출력(X)이 1이 되며, 하나라도 0이면 출력은 0입니다.
사이리스터 (SCR) 단자: 애노드, 게이트, 캐소드 (컬렉터는 트랜지스터 단자입니다.)
전자 제어 에어컨 (FATC): 컨트롤 유닛이 리시버 드라이어는 제어하지 않습니다. (리시버 드라이어는 냉매의 수분 및 이물질 제거 기능만 합니다.)
Ⅳ. 정비 및 안전 수칙
1. 공구 사용 및 안전
조정 렌치 (몽키 스패너) 취급: 렌치의 힘이 고정 조 (Jaw) 부분에 가해지도록 작업해야 합니다.
공기 압축기 안전 장치: 규정 이상의 압력에 달하면 작동하여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은 안전 밸브입니다.
리벳 이음 작업: 두 일감 사이는 간극 없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시켜야 합니다.
지렛대 사용: 파이프를 철제 대신 사용하여 지렛대를 연장하는 행위는 안전에 위협이 되므로 삼가야 합니다.
냉매 용기 취급: 냉매 충전 시 용기에 80% 정도만 채워 사용합니다. (완전히 채우지 않습니다.)
2. 정비 유의 사항
압축 압력 측정: 시동을 켠 상태가 아닌, 기관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 크랭킹하며 측정해야 합니다. (워밍업 후 실시)
전장품 정비 (센서 교환): 점화 스위치 OFF 상태에서 축전지 접지 케이블을 탈거해야 합니다.
휠 얼라인먼트 측정: 차량의 화물은 공차 상태로 진행하며, 바닥은 수평이어야 합니다.
냉각 장치 누수 점검: 규정값 이상의 압력을 가압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압력 시험을 실시해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