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1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천공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기관(엔진) 및 연료장치 핵심 정리


4행정 디젤기관 기본 원리

  • 흡입 행정: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실린더 내에 공기만을 흡입합니다. (디젤 엔진의 특징)

  • 크랭크축 구성 요소: 크랭크 암, 크랭크 핀, 저널. (플라이휠은 크랭크축 뒤쪽에 별도로 고정됩니다.)


연료 및 윤활 시스템

  • 커먼레일(CRDI): 고압 연료 펌프에 **압력 제어 밸브(PCV)**가 부착되어 압력을 조절합니다.

  • 공기 유량 센서(AFS): 커먼레일 디젤 기관에서는 **열막 방식(Hot Film Type)**을 많이 사용합니다.

  • 연료 분사의 3대 요건: 무화(분무 상태), 분포(확산 정도), 관통력. (착화는 연소의 조건입니다.)

  • 연료 계통 공기 빼기 순서: 공급 펌프연료 여과기분사 펌프 (공급 펌프에서 가까운 순서로 진행)

  • 디젤 기관 조속기(Governor) 기능: 엔진의 회전 속도 변화에 따라 연료 분사량을 조정하여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 엔진 오일 소비 증가 원인: 피스톤 링, 실린더 벽, 밸브 가이드의 마모.

  • 윤활유 점도가 너무 높을 때: 엔진 시동 시 필요 이상의 동력이 소모됩니다.

  • 윤활 방식 (피스톤 핀까지 압송): 전압송식


엔진 상태 및 점검

  • 압축 압력 저하 주원인: 실린더 벽의 마모와 피스톤 링의 마모.

  • 피스톤 링 절개부 간극: 열을 가장 많이 받는 1번 링의 간극을 가장 크게 합니다.

  • 냉각수 적정 온도: 75~95도C

  • 가압식 라디에이터 장점: 냉각수의 비등점 상승, 방열기를 작게 할 수 있음, 냉각 효율 증대. (순환 속도는 펌프 성능에 따릅니다.)

  • 냉각 계통에 배기가스 누설 원인: 실린더 헤드 개스킷 불량 또는 기관 균열.

  • 노킹 발생 시 영향: 엔진 과열, 출력 저하, 흡기 효율 저하. (기관 회전수가 불규칙해지거나 낮아집니다.)

  • 에어클리너 막힘 현상: 공기 부족으로 불완전 연소되어 배기 색은 검은색이 되며, 출력은 저하됩니다.

  • 완전 연소 시 가장 무해한 가스: CO2 (이산화탄소)



2. 전기, 동력전달 및 유압장치 핵심 정리


전기 및 동력 전달

  • 전류(I), 전압(V), 전력(P) 관계:

    • 옴의 법칙: 전압(V) = 전류(I) x 저항(R)

    • 전력의 법칙: 전력(P) = 전압(V) x 전류(I)

  • 납산 축전지 용량 결정 요소: 극판의 크기, 극판의 , 황산의 양 (전해액의 양)

  • 12V용 납산 축전지 방전 종지 전압: 10.5V (셀당 1.75V x 6셀)

  • 축전지 일반적인 충전 방법: 정전류 충전

  • 직류 직권 전동기 특징: 기동 회전력(토크)이 크다. 회전 속도의 변화가 크며, 부하가 걸리면 속도가 낮아집니다. (회전속도가 거의 일정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 교류 발전기(Alternator) 특징: 소형/경량, 고속 회전에 강함, 컷아웃 릴레이 불필요. (불꽃 발생이 없습니다.)

  • 엔진 정지 시 전류계 (-) 지시: 전조등 점등, 배선 누전, 예열 장치 작동 등 축전지에서 전기를 **소비(방전)**하고 있는 상태. (충전은 (+) 방향입니다.)

  • 클러치 압력판 역할: 클러치판을 플라이휠에 압착시켜 동력을 전달합니다.

  • 토크 컨버터 특징: 부하에 따라 자동 변속, 충격 흡수, 조작 용이. (일정 이상의 과부하가 걸려도 엔진이 정지되지 않습니다.)

  • 베이퍼 로크(Vapor Lock) 원인: 과도한 브레이크 사용으로 인한 열 발생, 오일 변질로 인한 비등점 저하. (엔진 브레이크 사용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유압 장치

  • 유압 작동유 적정 온도: 45~80도C

  • 유압유 점도가 낮을 때: 회로 압력 저하, 펌프 효율 저하, 오일 누설 증가. (시동 저항 증가는 점도가 높을 때 현상입니다.)

  • 작동 순서 제어 밸브: 시퀀스 밸브(Sequence Valve) (압력 등에 의해 분기 회로의 작동 순서를 제어)

  • 방향 제어 밸브 동작 방식: 수동식, 기계식, 파일럿식, 전자식. (스프링식은 밸브 위치 복귀 방식입니다.)

  • 유압 실린더의 숨돌리기 현상: 공기가 혼입되어 작동 지연, 서지압 발생, 피스톤 작동 불안정 초래. (오일 공급 과대는 틀린 설명입니다.)

  • 유압 모터와 실린더: 모터는 회전 운동, 실린더는 직선 운동을 합니다.

  • 정용량형 유압 펌프: 펌프의 회전 속도가 일정하면 압력에 관계없이 토출되는 유량이 항상 일정한 펌프입니다. (예: 기어 펌프, 베인 펌프)

  • 오일 탱크 구비 조건: 발생 열 발산, 공기/이물질 분리, 유면을 적정 위치 'F'에 가깝게 유지. (탱크 크기는 되돌아오는 오일량보다 충분히 크게 합니다.)



3. 주행, 법규, 안전 및 천공 장치


주행 및 정비

  • 트랙 장치 충격 완화: 주행 중 프런트 아이들러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는 리코일 스프링입니다.

  • 타이어 트레드 마모 시: 구동력/선회 능력 저하, 마찰력 감소(제동 성능 저하), 열 발산 불량. (공기압 높으면 중앙부 마모가 큽니다.)

  • 엔진 오일량 점검 시기: 기관이 작동되기 전 (정지 상태에서 점검)


건설기계 관리법 및 안전

  • 등록 번호표 반납: 시·도지사에게 합니다.

  • 성능 불량/사고 잦은 경우 검사: 시·도지사의 명령에 따른 수시 검사

  • 국가기술자격소지자 면허 없이 조종 시: 무면허입니다.

  • 검사 불합격 후 정비 명령 불이행 벌칙: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 하인리히의 사고 예방 원리 5단계 순서:

    1. 조직 (안전 관리 조직)

    2. 사실의 발견 (사고 원인 조사)

    3. 평가 분석 (원인 및 통계 분석)

    4. 시정책의 선정 (대책 수립)

    5. 시정책의 적용 (대책 실행)

  • 안전한 작업 복장: 몸에 맞고 동작이 편해야 하며, 화기 사용 시 방염성/불연성 재질 사용. (착용자의 취미·기호는 고려 사항이 아닙니다.)

  • 안전 보건 표지 중 '지시 표지': 파란색 원형 바탕에 흰색 그림/문자로 표시하며, 반드시 이행해야 하는 사항을 나타냅니다. (예: 안전모 착용, 보안경 착용, 안전띠 착용)

  • 스크루 드라이버 크기 표시: 손잡이를 제외한 길이

  • 연삭기 안전 수칙: 숫돌과 받침대 간격은 3mm 이내로 유지해야 합니다.

  • 응급 처치 준수 사항: 생사 임의 판정 금지, 의약품 사용 피하기, 정확한 처치 후 의사 치료 받도록 하기. (사고 현장 조사는 안전 관리자의 임무입니다.)

  • 운반 작업 안전 수칙: 화물의 중심은 가능한 한 낮게 합니다.


천공기 주요 장치 및 공법

  • 타격 및 회전력 발생 장치: 타격 실린더와 회전용 오일 모터 등으로 구성된 장치는 **드리프터(Drifter)**입니다.

  • 그리스 구성 성분: 기유(70~95%), 증조제(3~30%), 첨가제(0~10%) 등으로 구성됩니다.

  • 그리스 보관 요령: 보관 장소는 난방이 되고 통풍이 잘 이루어져야 합니다.

  • 브이컷(V-cut, 경사 천공) 발파공법 특징: 다양한 암질에 적용하기 쉽고, 드릴 천공 작업이 쉽습니다. (버력 암석이 커서 비산 거리가 짧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 TBM 굴진 방향 지질 조사 장치: 프로브 드릴(Probe Drill)

  • 실드 머신 특징: 커터 헤드로 굴착하며 갱부를 실드로 복공하는 기계. 주로 연약 지반의 굴착에 우수합니다. (암반 지반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오거/비트 설명: 비트는 일반적인 토사층에 사용되며, **해머(DTH)**는 전석층이나 암반이 있을 때 사용합니다.

  • 디젤 해머 특징: 취급이 쉽고 기동성이 좋으며 고장이 적으나, 작업 시 큰 소음과 진동이 발생합니다. (소음과 진동이 적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