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12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12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기관 (Engine) 파트 핵심 요약


1.1. 기관의 특성 및 효율

  • 기관 회전력 (토크): 일반적으로 기관의 토크는 중속 영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 디젤기관의 열역학적 사이클: 고속 디젤기관은 **사바테 사이클(Sabathé Cycle, 복합 사이클)**을 기본으로 합니다.

  • 체적 효율 저하 원인: 흡입 공기가 뜨거울 때, 흡기 매니폴드 또는 에어 클리너가 막혔을 때 체적 효율이 감소합니다.

  • 동력과 열량 환산: 1 PS는 약 632.3 kcal/h 입니다. (1 PS = 735 W, 1 W = 1 J/s, 1 cal = 약 4.186 J)


1.2. 기관의 구조 및 측정

  • 압축비 공식 ($\epsilon$): (연소실 체적 + 행정 체적) / 연소실 체적

  • 언더 스퀘어 엔진 (장행정): 행정/실린더 내경 > 1. (내경보다 행정이 긴 엔진)

  • 피스톤 히트 댐(Heat Dam): 피스톤 헤드 부분의 열이 피스톤 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 전도를 막는 홈입니다.

  • 피스톤 링 이음 간극 측정: **시크니스 게이지 (Feeler Gauge)**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 밸브 스프링 점검 요소: 장력, 자유 높이, 직각도. (코일의 수는 점검 대상이 아닙니다.)

  •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률: 막힘률(%) = (신품 용량 - 구품 용량) / 신품 용량 × 100


1.3. 연료 및 윤활 장치

  • LPG 연료 특성: 연소 효율이 좋고 정숙하며, 대기 오염이 적습니다. 증기 폐쇄(Vapor Lock)와는 직접적 관련이 적습니다.

  • 윤활유 구비 조건: 인화점 및 발화점이 높아야 합니다. (쉽게 연소하거나 열화되지 않도록)

  • 디젤 연료의 세탄가: 착화 지연 시간을 단축시키는 착화성을 나타냅니다. 옥탄가(휘발유의 내폭성)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 전자제어 연료 펌프의 체크 밸브: 연료 라인의 잔압을 유지시켜 베이퍼 록 현상을 방지하고 재시동성을 용이하게 합니다.


1.4. 배기 및 제어 장치

  • EGR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배기가스 일부를 흡기계로 재순환시켜 연소 온도를 낮춤으로써 질소 산화물(NOx) 생성을 억제합니다.

    • EGR율(%) = EGR 가스량 / (흡입 공기량 + EGR 가스량) × 100

  • 공기 유량 측정 센서 종류:

    • 칼만 와류식: 초음파를 이용하여 와류의 변화를 감지합니다.

    • 열선/열막식: 공기의 질량을 정확하게 측정합니다.

  • 대시 포트 (Dashpot): 주행 중 급감속 시 스로틀 밸브가 급격히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성을 좋게 합니다.

  • 지르코니아 산소 센서 (O2 Sensor): 배기가스와 대기 중의 산소 농도 차이에 의한 기전력 변화를 이용하여 산소 농도를 검출합니다.



2. 섀시 (Chassis) 파트 핵심 요약


2.1. 동력 전달 장치

  • 종감속 및 차동 장치 계산:

    • 종감속비 = 링 기어 잇수 / 구동 피니언 잇수

    • 양 바퀴의 평균 회전수 (직진 시) = 추진축 회전수 / 종감속비

    • 차동 장치의 특성: 한쪽 바퀴의 회전수 증가량만큼 반대쪽 바퀴의 회전수가 감소합니다.

  • 클러치 댐퍼 스프링: 클러치 접속 시 **회전 충격(비틀림 진동)**을 흡수합니다.

  • 자동변속기 킥 다운 (Kick Down): 가속 페달을 깊게 밟아 강제로 시프트 다운시켜 큰 구동력을 얻는 기능입니다.

  • 토크 컨버터 댐퍼 클러치 (록-업 클러치): 고속 회전 시 터빈과 펌프를 기계적으로 직결시켜 슬립에 의한 동력 손실을 방지합니다.

  • 액슬 형식 (전부동식): 액슬축이 하중을 받지 않고 동력만 전달합니다. 바퀴를 떼지 않고도 액슬축을 분해할 수 있습니다.


2.2. 현가 및 조향 장치

  • 휠 트램핑 (Tramping): 주행 중 앞부분에 심한 상하 진동이 생기는 현상으로, 주된 원인은 **바퀴의 불평형 (정적 불평형)**입니다.

  • 캠버 과도 시 타이어 마모: 트레드의 한쪽 모서리가 마멸됩니다.

  • 동력 조향 장치 (파워 스티어링): 오일 펌프에 부하가 걸릴 경우 압력 스위치가 작동하여 기관의 아이들링 회전수를 증가시켜 시동 꺼짐을 방지합니다.

  • 전자제어 현가장치 (ECS) 안티 롤 제어: 선회 주행 시 롤(기울어짐) 상태를 조기에 검출하여 감쇠력을 높여 롤을 억제합니다.


2.3. 제동 장치

  • 안전띠 부착 장치 강도: 2점식 또는 3점식 안전띠의 골반 부분 부착 장치는 2,270 kgf의 하중에 10초 이상 견뎌야 합니다.

  • ABS의 휠 스피드 센서: 바퀴의 회전 속도 및 고정 (잠김) 상태를 검출합니다.

  • 제동 배력 장치 (하이드로백) 작동: 브레이크 작동 시 진공 밸브는 닫히고, 공기 밸브는 열립니다.

  • 브레이크 오일 주성분: 알코올과 피마자 기름을 이용하여 제조됩니다.

  • 브레이크 풀림 불량 원인: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 구멍 (보상 구멍)이 막힐 경우 유압이 되돌아오지 못해 제동력이 풀리지 않습니다.



3. 전기/전자 제어 파트 핵심 요약


3.1. 전원 및 회로

  • 병렬 합성 저항: 1 / (1/R1 + 1/R2 + 1/R3 + ...)

    • 옴의 법칙: I (전류) = E (전압) / R (저항)

  • 점화 장치 1차 전류 단속: 전자제어식 점화 장치에서 1차 코일의 전류 단속은 **파워 트랜지스터 (Power Transistor)**가 담당합니다.

  • AC 발전기 구성 부품: 스테이터, 로터, 슬립 링, 전압 조정기, 정류기 등으로 구성됩니다. (정류자는 DC 발전기 부품입니다.)

  • IG1/IG2 구분 이유: START 시 시동에 필요한 전원 이외의 전원을 차단하여 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 배터리 급속 충전: 축전지 용량의 1/2 전류로 단시간 충전합니다.


3.2. 제어 및 센서

  • 논리곱 (AND) 회로: 입력 신호 모두가 1일 때에만 출력이 1이 됩니다.

  • 백워닝 (후방경보) 시스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후방 장애물을 감지하여 경고합니다.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 트랜지스터의 기호:

    • NPN 트랜지스터: 베이스(B)에서 이미터(E)로 화살표가 나가는 형태.

    • PNP 트랜지스터: 베이스(B)에서 이미터(E)로 화살표가 들어오는 형태.


3.3. 공조 장치

  • 에어컨 팽창 밸브: 고압의 액체 냉매를 감압하여 저압의 냉매로 바꾸어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냉매를 기화기로 분사)



4. 안전 및 정비 작업 핵심 요약


4.1. 공구 사용 및 정비 원칙

  • 공기 공구 사용 시: 공구 교체 시 밸브를 잠그고, 사용 시에는 밸브를 서서히 열고 닫아야 합니다.

  • 정밀 기계 부품 세척: **에어건 (Air Gun)**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스패너 작업 안전: 볼트/너트에 고정 조에 힘이 가장 많이 걸리도록 사용해야 합니다.

  • 엔진 헤드 개스킷 접촉면: 스크레이퍼로 큰 압력을 가하여 긁어낼 경우 손상으로 인해 밀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 자동변속기 분해 시: 분해된 부품을 걸레로 닦으면 유압 제어 회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클러치판, 브레이크 디스크는 자동변속기 오일로 세척합니다.


4.2. 안전 및 보호

  • 산업 현장 인적 문제: 기계 결함, 보호구 결함, 작업 환경 결함은 물적 문제이며, 안전 교육의 결함은 인적 문제에 해당합니다.

  • 엔진 화재 발생 시: 소화 작업 전 가장 먼저 점화원을 차단해야 합니다.

  • 부동액 점검 도구: **비중계 (Hydrometer)**를 사용하여 비중을 측정합니다.

  • 무거운 물건 운반: 인력 운반 시 협조하고, 반드시 체인 블록이나 리프트를 이용해야 하며, 혼자 힘으로 운반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 와이퍼 장치 정비 유의사항: 와이퍼 전동기의 기어나 캠 부위에 세정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