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2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천공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2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Ⅰ. 기관(엔진) 및 동력 전달 장치 핵심 정리


1. 4행정 디젤기관의 기본 이해

  • 동력 행정 특징:

    • 연료는 분사됨과 동시에 연소하지 않습니다. 압축열로 인해 자연 착화합니다.

    •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하기 전 소요의 각도 범위 내에서 분사를 시작합니다.

    • 연료분사 시작점은 회전속도에 따라 **진각(앞당김)**됩니다.

  • 크랭크축의 역할: 피스톤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킵니다.

  • 배기 행정 현상: 배기밸브가 일찍 열려 연소 가스가 스스로 배출되는 현상을 **블로 다운(Blow Down)**이라고 합니다.

  • 기관 압축 저하 원인: 가장 큰 원인은 피스톤 링의 마모입니다.

  • 피스톤과 실린더 간격 과대: 간격이 크면 연소 가스가 아래로 새는 블로 바이(Blow By) 가스가 발생합니다.


2. 연료 및 윤활 시스템

  • 디젤 연료 순환 순서:

    • 연료탱크 → 연료공급펌프 → 연료필터 → 분사펌프 → 분사노즐

  • 분사 노즐 윤활: 디젤기관 분사 노즐의 섭동면(슬라이딩 면)은 연료가 윤활 작용을 겸합니다.

  • 윤활유의 가장 중요한 성질: 점도(Viscosity)

  • 윤활유 공급 방식: 펌프에서 공급된 윤활유 전부가 필터를 거쳐 윤활부로 가는 방식은 전류식입니다.

  • 커먼레일(CRDI) 시스템:

    • 출력 요소: 인젝터 (연료 분사를 직접 실행하는 장치)

    • 연료 압력 센서(RPS): ECU는 RPS 신호를 받아 연료 분사량분사 시기를 조정합니다.


3. 냉각 및 흡기 시스템

  • 기관 과열의 직접적 원인 (아닌 것): 타이밍 체인(Timing Chain)의 헐거움 (이것은 과열이 아닌 동력 전달 문제)

  • 팬 벨트와 연결되지 않는 것: 기관 오일펌프 풀리 (오일펌프는 보통 캠축 기어 등에 의해 작동)

  • 워터펌프의 역할: 기관의 냉각수를 순환시킵니다.

  • 수온 조절기 작동 온도: 냉각수 수온이 약 **65℃**일 때 열리기 시작하여 **85℃**에서 완전히 열립니다.

  • 부동액: 에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은 단맛이 있습니다.

  • 건식 공기청정기: 여과망을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습식 청정기입니다. 건식은 작은 입자 여과, 간단한 설치/분해, 회전속도 변동에도 안정된 효율이 장점입니다.


4. 동력 전달 및 기타 장치

  • 클러치 변형 방지: 클러치 디스크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은 쿠션 스프링입니다.

  • 유체 클러치 가이드 링 역할: 유체 클러치의 와류를 감소시킵니다.

  • 수동 변속기 기어 끌림 소음: 클러치 유격이 과도함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에어컨 냉매: 환경보존을 위한 신냉매 가스는 R-134a입니다.



Ⅱ. 전기장치 및 유압 장치 핵심 정리


1. 전기 장치 (축전지 및 충전)

  • 축전지 전해액 보충: 자연 감소 시 증류수를 보충합니다.

  • 급속 충전 유의사항: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해야 합니다. (통풍이 되지 않는 곳에서 하는 것은 틀린 설명)

  • 발전기 조정기 공통 요소: AC와 DC 발전기 모두 전압 조정기를 공통으로 가집니다.

  • 전류계 접속: 전류계는 부하에 직렬로 접속해야 합니다. (병렬 접속은 틀린 설명)

  • 축전지 과충전 현상 (아닌 것): 축전지에 물이 지나치게 많이 생성되는 것은 방전 상태에 가까운 현상입니다. (과충전 시 전해액이 갈색을 띠고, 양극판 격자가 산화되며, 셀 커버가 부풀 수 있습니다.)


2. 유압 장치

  • 유압유 점도: 점도가 높으면 관 내 마찰 손실 증가, 동력 손실 증가, 열 발생 증가가 일어나며, 유압은 높아집니다. (유압이 낮아진다는 것은 틀린 설명)

  • 유압 회로 청소: 오일 장치 내의 슬러지 등을 용해하여 깨끗이 하는 작업을 **플러싱(Flushing)**이라고 합니다.

  • 릴리프 밸브 (Relief Valve):

    • 유압 회로 내의 최고 압력을 제한하는 안전 밸브입니다.

    • 설정 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상승하면 밸브가 열려 오일을 탱크로 되돌려 보내 회로와 펌프를 보호합니다.

  • 언로드 밸브 (Unload Valve):

    • 회로 내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펌프에서 토출된 오일 전량을 탱크로 돌려보내 펌프를 무부하 운전시킬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방향 제어 밸브의 종류: 셔틀 밸브 (그 외 체크 밸브, 스풀 밸브, 전환 밸브 등이 있습니다.)

  • 유압 실린더 작동 불량 원인 (아닌 것): 체크 밸브의 방향이 반대인 것은 유압 실린더의 압력 및 유량 변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적습니다. (주요 원인은 피스톤 링 마모, 공기 혼입, 유압유 점도 이상 등입니다.)

  • 유압 오일탱크의 기능:

    • 계통 내의 필요한 유량 확보

    • 격판에 의한 기포 분리 및 제거

    • 스트레이너 설치로 회로 내 불순물 혼입 방지

    • 주의: '계통 내의 필요한 압력 설정'은 밸브(릴리프 밸브 등)의 기능입니다.



Ⅲ. 안전, 법규 및 천공 작업 정리


1. 안전 관리

  • 회전 부분 덮개 설치 이유: 회전 부분과 신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 안전모 착용 표지: 지시 표지에 해당하며, 근로자가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해야 하는 장소에 사용됩니다.

  • 드라이버 사용법: 강하게 조여 있는 작은 공작물이라도 바이스(Vise) 등으로 고정시켜야 합니다. 손으로 단단히 잡고 조이는 것은 위험합니다.

  • 폭발 우려 장소 금지 사항: 가연성 재료의 사용을 금지해야 하며, 불연성 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 아크 빛 혈안 응급조치: 냉습포를 눈 위에 올려놓고 안정을 취합니다.

  • 중량물 들어 올리기: 가장 안전한 방법은 체인블록이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들어 올리는 것입니다.

  • 가공전선로 위험 지표: 전선의 위험 정도를 판별하는 지표는 애자의 개수입니다.


2. 건설기계 관리 법규

  • 등록번호표 반납: 건설기계 등록지를 시·도 간 변경한 때는 며칠 이내에 등록번호표를 반납해야 하는가?

    • 10일 이내

  • 적성검사 시력 기준:

    • 두 눈을 동시에 뜨고 잰 시력은 0.7 이상일 것

    • 두 눈 중 한쪽 눈의 시력은 0.3 이상일 것 (0.6 이상은 틀린 기준)

  • 등록번호표 훼손 과태료: 건설기계 등록번호표를 가리거나 훼손하여 알아보기 곤란하게 한 자에게 부과하는 과태료 기준은 100만원 이하입니다.


3. 천공 및 파일 작업

  • 트랙 이상 마모: 트랙에서 스프로킷이 이상 마모되는 주원인은 트랙의 이완입니다.

  • 타이어 구조 (노면 접촉): 직접 노면과 접촉되어 마모에 견디고 견인력을 증대시키는 부분은 **트레드(Tread)**입니다.

  • 드리프터 압력 세팅 불량:

    • 공타 유발, 비트/로드 마모 및 파손, 부품에 과도한 외력 유발이 발생합니다.

    • 주의: 천공기 유압장치 작동 불량은 주요 현상이 아닙니다. 대신 천공 홀의 직진성이 나빠집니다.

  • 스페스 컷(Supex-cut) 발파 공법:

    • 발파 공해가 덜하고, 여굴률이 낮아 터널 안전성이 확보됩니다. 발파 효율은 높습니다.

    • 단점: 천공수가 많아서 천공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로드 헤더(Road Header):

    • 부분단면 굴착기이며, 형상에 따른 큰 제약 없이 굴착합니다.

    • 커팅 헤드에는 탄화텅스텐 재료의 픽 커터가 사용됩니다. (디스크 커터는 TBM에 사용)

  • 항타/항발기 파일 삽입:

    • 파일을 매단 상태에서는 주행 및 선회 금지, 해머를 아래로 내립니다.

    • 주의: 가능하면 보조 크레인의 도움을 받아 삽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파일 자체를 들어 삽입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 유압 해머: 디젤 해머에 비해 타격력이 크며, 비산 먼지와 소음을 저감할 수 있습니다.

  • 회전식 시추기 형식: 변위형, 수세식형, 충격형, 회전형, 오거형 등이 있으며 리더형 시추는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 표준관입시험(SPT) 문제점 (아닌 것): 일반적인 관행이 표준관입시험으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SPT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 니수(순환수) 구비조건 (아닌 것):

    • 벤토나이트, 점토류, 실트 등의 저비중 고형물이 적당량 있으며 사분이 적을 것이 좋습니다. (고비중 및 사분이 많을 것은 틀린 조건)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