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13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시험 1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기관 (엔진) 핵심 이론


1. 기관 성능 저하 및 연소 관련

  • 흡입 밸브 밀착 불량 시 현상: 압축 압력 저하, 가속 불량, 공회전 불량, 출력 저하. (출력 향상은 틀린 설명)

  • 열효율 (Thermal Efficiency) 정의: 열원으로부터 받은 총 열량 대비 유효한 일로 변환된 에너지의 비율.

  • 노크 (Knock) 방지 방법:

    • 연료의 옥탄가를 높게 한다.

    • 점화 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 흡기온도 및 냉각수 온도를 낮게 한다.

  • 가솔린 정상 연소 속도: 실린더 내에서 약 20 ~ 30 m/s 범위이다.


2. 배기가스 및 제어 장치

  • 3원 촉매 (TWC) 정화 가스: CO (일산화탄소), HC (탄화수소), NOx (질소산화물).

    • SO2 (황산화물)는 디젤기관 경유 연소 시 발생하며 TWC 제어 성분이 아님.

  • 2차 공기 공급 목적: 삼원 촉매 컨버터 내에서 산화 작용 시 부족한 산소를 보충하여 HC와 CO의 산화를 돕는다.

  • LPG 차량 점화 시기: 가솔린보다 옥탄가가 높기 때문에 노크 방지를 위해 다소 빠르게 한다.


3. 엔진 부품 및 구조 계산

  • 압축비 공식:

    압축비 = (연소실 체적 (VC) + 행정 체적 (VS)) / 연소실 체적 (VC)

  • 지시 마력 (PS) 계산: 4행정 기관이므로 회전수 (N)를 N/2로 계산식에 적용한다.

  • 4행정 8기통 폭발 행정 간격: 720도 / 8 = 90도 마다 폭발한다.

  • 피스톤 링 구비 조건: 고온에서 탄성 유지, 실린더 마멸이 적을 것, 열팽창률이 작을 것, 실린더 벽에 균일한 압력을 가해야 한다.

  • 윤활유의 역할: 동력 손실 감소, 냉각 작용, 부식 방지. (노킹 방지는 연료의 역할이다.)


4. 연료 및 흡기 시스템

  • 공기량 간접 계측 방식: MAP 센서 (흡기 다기관의 부압을 측정).

  • GDI (Gasoline Direct Injection) 방식: 연료를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는 방식.

  • 가변 흡기 시스템 (VIS) 제어:

    • 저속 시: 흡기관로 길이를 길게 (흡입 관성 효과).

    • 고속 시: 흡기관로 길이를 짧게 (공기 유동 저항 감소).

  • 연료 펌프 내 체크 밸브 기능: 연료 압송 정지 시 잔압을 유지하고, 베이퍼 록 방지 및 재시동성을 향상시킨다.

  • 디젤 기관 연료 여과기 기능: 불순물과 수분을 제거한다.



II. 동력 전달 및 차체 핵심 이론


1. 제동 장치 (Brake System)

  • 유압 (압력) 계산:

    압력 = 작용하는 힘 / 면적 (단위: kgf/cm2)

    • 예시: 100 kgf의 힘이 직경 2 cm 면적에 작용할 때, 압력은 약 32 kgf/cm2.

  • ABS 페일 세이프 (Fail-Safe) 기능: 고장 발생 시 ECU 제어 출력을 정지하고 일반 유압식 브레이크로 작동되도록 전환하는 기능.

  • 브레이크 라인 잔압 유지 목적: 베이퍼 록 방지, 브레이크 작동 신속화, 유압 회로 공기 침입 방지.

    • 페이드 현상 방지는 패드/라이닝 과열로 인한 문제이다.


2. 클러치 및 변속기

  • 조향륜 윤중 합: 차량 중량 및 차량 총 중량의 각각에 대하여 20% 이상이어야 한다.

  • 클러치 미끄러짐 (Slip) 원인: 클러치 스프링 장력 약화.

  • 자동변속기 시동 가능 위치: P (주차), N (중립).

  • 토크 컨버터 연결 부위: 터빈축은 변속기 입력축에 연결된다.

  • 추진축 슬립 조인트 (Slip Joint) 기능: 차량 운행 중 추진축의 길이 변화에 대한 보상을 위함.


3. 차체 및 현가/조향

  • 독립 현가장치 종류: 위시본 형식, 스트럿 형식, 트레일링 암 형식.

    • 옆 방향 판 스프링 형식은 일체 차축식 (차축 현가) 형식이다.

  • ECS 안티 롤 제어 입력 신호: 급선회 시 진동 제어를 위해 조향 휠 각 센서 신호가 사용된다.

  • 조향 장치 주요 부품: 조향 휠, 타이로드, 피트먼 암. (토션 바 스프링은 현가 장치 부품이다.)

  •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 (EPS) 유량 제어 밸브: 차속과 조향각 신호를 기초로 최적 유량을 제어하여 조향력을 변화시킨다.

  • 속도 환산: 100 km/h를 m/s로 환산 시, (100 * 1,000) / 3,600 = 약 27.77 m/s 이다.



III. 전기, 전자 및 안전 관리 핵심 이론


1. 전기 및 전자 기초

  •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전류의 법칙): 임의의 한 점으로 유입된 전류의 총합은 유출된 전류의 총합과 같다.

  • 배터리 병렬 연결 특징: 전압은 1개 배터리와 같고, 용량은 배터리 수만큼 증가한다.

  • 축전기 (콘덴서, C) 공식: 전기량 Q = C x E 이다.

  • 퓨즈의 역할: 정격 전류 이상의 과대 전류가 흐를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보호한다.

  • 사이리스터 구성부: 애노드, 캐소드, 게이트. (컬렉터는 트랜지스터 구성부).

  • 예열 플러그 (직렬 연결) 전류 계산: 합성 저항 (옴)을 구한 후 옴의 법칙 I = E/R을 적용한다.


2. 전기 장치 (발전/점화)

  • 교류 발전기 특징: 저속 충전 성능 우수,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 특성 우수, 스테이터 코일이 로터 밖에 있어 방열성이 좋다.

  • DLI (Distributor Less Ignition) 장점: 점화 진각 폭의 제한이 거의 없다.

  • 레인 센서 와이퍼 제어: 앞 창 유리 상단의 강우량을 감지하여 와이퍼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 점프 와이어 (Jump Wire) 사용: 전원통전 또는 접지 상태에서 점검하는 데 사용한다.


3. 안전 및 작업 관리

  • 산업 안전 표시 (주의): 황색을 사용하여 위험 경고나 주의를 나타낸다.

  • 재해 분류 (전도): 근로자가 평면 또는 경사면에서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재해.

  • 공구 및 작업 안전:

    • 조정 렌치 취급: 고정 조 부분에 힘이 가해지도록 한다.

    • 공기 동력 공구: 작업 시 보호구 착용 필수.

    • 밸브 간극 조정: 안전상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조정한다.

  • 냉각수 보충 안전: 주행 중 냉각수 경고등 점등 시, 엔진을 냉각시킨 후 라디에이터 캡을 열고 보충한다.

  • 세척 금지 부품: 릴리스 베어링 등 영구 주유식 베어링은 솔벤트로 세척하면 윤활 작용이 저하된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