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공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3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천공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3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기관 (엔진) 및 연료 장치


1-1. 기관 작동 및 특성

  • 4행정 1사이클 순서: 흡입 -> 압축 -> 폭발(동력) -> 배기 순으로 작동합니다.

  • 2행정 디젤기관: 연소 가스가 자체 압력으로 배출되는 현상을 **블로 다운(Blow Down)**이라고 합니다.

  • 6기통 기관 장점: 4기통보다 가속이 원활하고, 저속 회전이 용이하며, 기관 진동이 적습니다. (단,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비쌈)

  • 마멸 현상: 실린더 벽과 피스톤 벽의 마멸은 압축 압력을 저하시키고, 출력 감소 및 엔진오일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됩니다.

  • 디젤 시동 용이 조건: 시동 시 회전 속도를 높여야 시동이 용이합니다.

  • 배압의 영향: 배기관 배압이 높으면 기관이 과열되고 출력이 감소하며, 냉각수 온도가 상승합니다.


1-2. 디젤기관 부품 및 장치

  • 커먼레일 센서:

    • 크랭크 포지션 센서 (CPS): 크랭크축 각도, 피스톤 위치, 기관 회전 속도를 감지합니다. (밸브 개폐 시기 감지는 캠축 센서)

    • 수온 센서: 기관 온도에 따른 냉각팬 제어 및 연료량 증감 보정 신호로 사용됩니다.

  • 연료 장치:

    • 인젝션 펌프: 연료를 고압으로 압송하고 분사량을 조절합니다.

    • 분사 노즐: 고압 연료를 미세한 안개 모양으로 연소실에 분사합니다.

    • 타이머: 분사 시기를 조절합니다.

    • 기화기: 디젤기관의 부품이 아닌 가솔린 기관의 부품입니다.

  • 냉각 장치:

    • 워터 재킷: 기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물 통로입니다.

    • 압력식 라디에이터 캡: 냉각수의 비점(끓는점)을 높여 냉각 효과를 증대시킵니다.

    • 부동액 주성분: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탄올 등이 있으며, 그리스는 아닙니다.

  • 윤활 장치:

    • 오일 여과기: 오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 윤활유 조건: 인화점과 발화점이 높아야 하고, 응고점이 낮아야 합니다.

  • 흡기 장치: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여과와 소음 방지 목적으로 설치됩니다.



2. 전기, 동력 전달 및 유압 장치


2-1. 전기 장치

  • 발전기 구동: 충전 장치의 발전기는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받아 구동됩니다.

  • 교류 발전기: 정류자 대신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며, 저속 시에도 충전이 가능합니다.

  • 축전지 (배터리):

    • 전해액: **묽은 황산 (H2SO4)**을 사용합니다.

    • 중화제: 전해액 세척 시 베이킹소다수를 사용합니다.

    • 급속 충전: 발전기 다이오드 보호를 위해 축전지 케이블을 분리하고 충전합니다.


2-2. 동력 전달 장치

  • 디스크 클러치: 클러치판의 토션 스프링은 클러치 작동 시의 충격을 흡수합니다.

  • 수동 변속기: 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변속하면 기어에서 소리가 나고 손상됩니다.

  • 토크 컨버터 (유체 클러치): 스테이터는 오일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토크를 증배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 에어컨 시스템: 기화된 냉매를 액화하는 장치는 응축기입니다.


2-3. 유압 장치

  • 작동유 관리:

    • 과열 영향: 열화 촉진, 점도 저하로 인한 누유, 유압 펌프 효율 저하가 발생합니다.

    • 혼합: 점도가 다른 오일 혼합은 열화 현상을 촉진시킵니다.

    • 세척유: 유압 밸브 등 부품 세척유로 경유가 적절합니다.

  • 밸브의 역할:

    • 카운터밸런스 밸브: 자체 중량에 의한 실린더의 자유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배압을 유지합니다.

    • 방향 제어 밸브: 유체의 흐름 방향을 변환합니다. (속도 제어는 유량 제어 밸브 역할)

    • 무부하 밸브 (Unloading Valve): 회로 압력 확보 후 펌프 유량을 탱크로 무부하 상태로 돌려 동력 손실과 온도 상승을 방지합니다.

  • 정비 후 작업: 유압 장치 부품 교환 후에는 유압 장치의 공기빼기를 가장 먼저 실시합니다.

  • 교환 부품: 유압 계통 수리 시 **샤프트 실(Shaft Seals)**은 항상 교환해야 하는 부품입니다.



3. 건설기계 기술 및 안전 법규


3-1. 천공 및 항타/항발 장치

  • 집진기: 유압 펌프에서 공급된 유량으로 집진 모터를 구동하여 작동됩니다.

  • 충격식 천공기 (Drifter): 차량식은 무한궤도식보다 기동성은 좋으나 안전성은 떨어집니다.

  • 점보 드릴: 레그 점보 드릴은 주행 차대에 소형, 경량의 레그 드릴을 여러 대 장착한 것입니다.

  • 리버스 서큘레이션 드릴: 역순환 천공기입니다. 무소음, 무진동으로 대구경 천공이 가능합니다.

  • 항타/항발기 종류: 드롭 해머, 증기 해머, 디젤 해머, 유압 해머 등이 있으며, 화력 해머는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작업 유의사항: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탈할 경우 하중을 건 상태에서 이탈해서는 안 됩니다.


3-2. 안전 및 법규

  • 동력 기계 방호 덮개 목적: 동력 전달 장치와 신체의 접촉 방지, 방음, 위험 방지 등. 주유/경사의 편리성은 목적이 아닙니다.

  • 운반 안전: 흔들리는 화물은 사람이 붙잡고 이동해서는 안 되며, 규정 용량을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 가스 누설 검사: 가장 좋고 안전한 방법은 비눗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 화상 응급조치: 찬물에 담가 화기를 빼는 것이 가장 옳은 초기 조치입니다.

  • 드라이버 사용: 드라이버를 정(끌) 대신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조명 장치 (15km/h 미만): 최고 주행 속도 15km/h 미만인 타이어식 건설기계는 전조등, 제동등, 후부 반사판을 갖추어야 하지만, 번호등은 갖추지 않아도 됩니다.

  • 법규 (과태료): 등록사항 변경 신고 등을 거짓으로 한 경우 5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정기 검사 연기 사유: 천재지변, 도난, 31일 이상 정비 중인 경우 등입니다. 건설 현장 투입은 연기 사유가 아닙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