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시험 14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조경기능사 필기시험 14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조경 프로젝트 수행 및 계획


1.1. 조경 프로젝트 수행 단계

조경 프로젝트는 계획 → 설계 → 시공 → 관리의 네 가지 단계로 수행됩니다.

  • 계획: 자료 수집, 분석, 종합 단계입니다.

  • 설계: 기능적, 미적인 3차원 공간을 창조하는 단계입니다.

  • 시공: 공학적 지식과 생물을 다루는 특수한 기술이 필요한 단계입니다.

  • 관리: 식생과 시설물의 이용 관리를 포함합니다.


1.2. 조경 계획

토지이용계획은 일반적으로 다음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 토지이용 분류

  • 적지 분석

  • 종합 배분


1.3. 품질 관리

데밍(Deming)이 주장한 관리 사이클은 PDCA이며, 다음 순서로 반복됩니다.

  • Plan (계획)

  • Do (추진)

  • Check (검토)

  • Action (조치)


1.4. 법률 및 기준

  • 위락 및 관광시설 분야 조경 대상: 골프장, 야영장, 경마장, 스키장, 유원지, 휴양지 등. (궁궐, 사찰은 역사적/전통적 조경, 실내정원은 실내 조경에 해당합니다.)

  • 도시공원 설치 기준 (어린이공원): 최소 규모는 1,500m² 이상이며, 유치 기준은 250m 이하입니다.



2. 조경 제도 및 디자인


2.1. 제도 규격

  • 절단위치 표시선: 물체의 절단한 위치나 경계선은 1점쇄선을 사용합니다.

    • (참고: 중심축, 대칭축도 1점쇄선을 사용합니다.)

  • 설계도의 종류:

    • 투시도: 설계 내용을 실제 눈에 보이는 대로 입체적인 그림으로 나타내어 3차원의 느낌이 가장 실제 모습과 가깝습니다.

  • 설계 기호: 잡석다짐은 뾰족한 삼각형 모양의 기호로 표시됩니다.


2.2. 색채 대비

  • 보색 대비: 보색 관계에 있는 두 가지 색을 인접시키면 서로의 영향으로 채도가 높아져 더욱 뚜렷하게(선명하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채도가 낮아져 탁해 보이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 명도 대비: 명도가 다른 두 색을 인접시키면 명도가 낮은 색은 더 어두워 보이고, 명도가 높은 색은 더 밝아 보입니다.

  • 채도 대비: 채도가 다른 두 색을 인접시키면 채도가 높은 색은 더 선명해 보입니다.


2.3. 정원 양식 및 역사

  • 침상화단 (Parterre En Broderie, Sunken Garden): 보도나 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조성하며, 기하학적 무늬와 화단을 설치하여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 정형식 화단입니다. 시각적 중심부에는 분수나 조각물을 배치합니다.

  • 험프리 렙턴 (Humphry Repton): '레드북(Red Book)'에 정원 개조 전후의 모습을 스케치하여 의뢰인에게 비교와 이해를 도왔던 조경가입니다.

  • 한국 정원:

    • 고려시대: 중국 송나라 수법을 모방한 화원, 석가산, 누각 등이 많이 나타난 시기입니다. 대표 유적에는 동지, 문수원 등이 있습니다.

    • 통일신라시대 유적: 포석정 (곡수연을 즐기던 유락 공간).

    • 조선시대 별서 정원: 양산보의 소쇄원 (전남 담양), 윤선도의 부용동 (전남 완도), 정약용의 다산초당 (전남 강진).

      • 퇴계 이황의 도산서원은 교육기관 부속 정원으로, 사대부의 별서 정원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 중국 정원:

    • 송나라: 만세산

    • 청나라: 이화원

    • 삼국시대: 화림원

    • 한나라: 태액지

  • 스페인 정원: 분수, 색채타일, 대리석과 벽돌 등을 사용하며,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습니다. **비스타(Vista, 통경선)**는 좌우 시선을 제한하여 전방으로 집중시키는 경관으로, 주로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정원의 특징입니다.

  • 일본 정원:

    • 축산고산수(築山枯山水)식 정원: 바위(섬, 폭포)를 중심으로 왕모래(물), 다듬은 수목(산)을 사용하여 꾸민 추상적인 정원입니다. 잔잔히 흐르는 분수를 만들지 않습니다.

  • 인도 정원: 종교의 영향으로 목욕을 위한 이 정원의 주요 구성 요소였습니다.



3. 조경 재료 및 시공


3.1. 암석 및 돌

  • 암석 분류:

    • 화성암: 화강암, 안산암, 현무암, 섬록암

    • 퇴적암: 응회암, 사암, 석회암

    • 변성암: 편마암, 대리암, 사문암

  • 돌의 종류 및 용도:

    • 경관석/산석: 산지에서 산출되며, 석가산 조성에 적합합니다.

    • 디딤돌: 보행의 편의를 위해 놓는 돌.

    • 호박돌: 하천의 지름 20 ~ 30cm 정도의 둥근 자연석.


3.2. 시멘트 및 콘크리트

  • 시멘트 수화열: 시멘트 성분 중 발열량이 가장 많은 성분은 C3A (규산삼석회, 200cal/g) 입니다.

  • 굳지 않은 콘크리트 성질:

    • Consistency (반죽질기): 주로 소량의 다소에 따라 반죽이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

    • Workability (시공성): 반죽질기의 정도에 따라 작업의 쉽고 어려운 정도,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


3.3. 기타 재료

  • 합성수지: 내마모성과 탄력성이 크므로 바닥재료에 적합합니다. (내마모성이 극히 적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 재료의 역학적 성질:

    • 취성 (Brittleness): 재료가 외력을 받았을 때 작은 변형만 나타내도 파괴되는 현상.

    • 인성 (Toughness): 외력을 받으면 크게 변형되지만 파괴되지는 않는 성질.

  • 목재 접착제 내수성 순서: 페놀수지 > 요소수지 > 아교

  • 녹막이 도료: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에 적당한 도료는 징크로메이트입니다.

  • 미장 재료: 외벽을 아름답게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미장 재료는 벽토입니다.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살리는 목조 외벽 바름재)


3.4. 쌓기 공법

  • 벽돌 쌓기:

    • 네덜란드식 쌓기: 시공이 편리하고, 모서리 끝에 칠오토막을 써서 안정감을 주며,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사용됩니다.

    • 영국식 쌓기: 길이쌓기 켜와 마구리쌓기 켜를 반복하며 이오토막을 쓰는 견고한 방식.

  • 돌 쌓기:

    • 찰쌓기: 뒤채움에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줄눈에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쌓는 방식.

    • 메쌓기: 돌만을 맞대어 쌓고 잡석, 자갈 등으로 뒤채움을 하는 방식.

  • 호박돌 쌓기: 규칙적인 모양으로 쌓는 것이 보기에 자연스럽습니다. (불규칙하게 쌓는 것이 좋다는 설명은 부적합합니다.)


3.5. 디딤돌 놓기

  • 성인 보행 기준: 디딤돌 간격은 느린 보행폭을 기준으로 하여 35 ~ 50cm 정도가 좋습니다.

  • 배치: 디딤돌 및 징검돌의 장축은 진행 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배치합니다.



4. 식재 및 수목 관리


4.1. 수목 개화/결실

  • 당년지 개화 화목류: 그 해 자란 1년생 신초지에서 꽃눈이 분화하여 그 해에 개화하는 나무는 무궁화, 능소화, 배롱나무, 장미, 찔레나무 등입니다.

  • 정지 및 전정 방법:

    • 강지(강한 가지): 길게 전정하여 수세를 조절합니다.

    • 약지(약한 가지): 짧게 전정하여 수세를 보강합니다.

    • 묵은 가지나 병충해 가지는 수액 유동 전에 전정합니다.


4.2. 수목 감상 요소

  • 붉은색(홍색) 단풍: 감나무, 화살나무, 붉나무 (안토시안 색소).

    • 황색 단풍 (카로티노이드 색소): 낙우송, 느티나무, 백합나무, 은행나무, 칠엽수 등.

  • 열매 관상 수목: 모과나무, 피라칸타, 낙상홍, 석류나무, 산수유, 마가목 등.


4.3. 수목 분류

  • Trachelospernum 속: 마삭줄 (백화등) - 상록 만경식물.

  • 감탕나무과 (Ilexaceae): 호랑가시나무, 먼나무, 꽝꽝나무. (소태나무는 소태나무과입니다.)

  • 물푸레나무과 (Oleaceae): 미선나무, 광나무, 이팝나무. (식나무는 층층나무과입니다.)

  • 특징 수목 (호랑가시나무): 잎 가장자리에 톱니와 날카로운 가시가 있고, 붉은 열매는 관상 가치가 높으며, 상록 관목입니다.


4.4. 잔디 및 기타

  • 한국형 잔디 (난지형): 그늘에서 잘 자라지 못하며, 포복성이어서 밟힘에 강하고, 병해충과 공해에 비교적 강합니다.

  • 생울타리용 수목 조건: 다듬기 작업에 견디고, 맹아력이 양호하며, 아랫가지가 오래 살고, 잔가지와 잔잎이 많아야 합니다.

  • 여러해살이 화초: 베고니아, 튤립, 국화, 초롱꽃, 수선화 등.



5. 병충해 및 환경 관리


5.1. 병충해 전반

  • 바람으로 전반되는 병원체: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잣나무 털녹병균, 밤나무 줄기마름병균.

    • 참나무 시들음병균: 광릉긴나무좀에 의해 전반됩니다.

  •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에 의한 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뽕나무 오갈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 소나무 시들음병: 기생성 선충인 소나무재선충에 의해 발병합니다.

  • 매미목 해충: 진딧물, 벼멸구, 끝동매미충, 온실가루깍지벌레, 애멸구 등.


5.2. 방제 및 방지

  • 잔디 잡초 방제: 잔디깎기, 손으로 뽑기, 파종 전 갈아엎기 등은 적합합니다. 비선택형 제초제는 모든 식물을 고사시키므로 잔디밭에는 부적합합니다.

  • 잠복소 설치 목적: 월동 벌레를 유인하여 봄철에 모아 태움으로써 해충을 구제하기 위함입니다.

  • 농약 포장지 색깔 (농약 방제 대상별):

    • 살균제: 분홍색

    • 살충제: 초록색

    • 제초제: 노란색

    • 생장조절제: 파란색


5.3. 마운딩 및 환경

  • 도시화의 영향: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환경오염 증대, 기온 상승(열섬 현상) 등이 발생하며, 도시 중심부 주변의 강우량이 증가합니다.

  • 마운딩 (Mounding) 기능:

    • 유효토심 확보

    • 배수 방향 조절

    • 자연스러운 경관 연출

    • 토지 이용상 공간 분할



6. 적산 및 수량 산출


6.1. 수량 계산

  • 잔디 소요 매수: 필요 잔디 매수 = (전체 면적 / 뗏장 1장의 면적)

    • 면적 50m², 뗏장 규격 0.2m x 0.2m = 0.04m²

    • 소요 매수 = 50m² / 0.04m² = 1,250 매

  • 농약 희석에 필요한 물의 양: 필요 물의 양 = 약량 x ((원액 농도 / 희석 농도) - 1)

    • 약량 100cc, 원액 농도 25%, 희석 농도 0.05%

    • 필요 물의 양 = 100cc x ((25% / 0.05%) - 1) = 100cc x (500 - 1) = 49,900cc

    • 약 50L (49,900cc는 약 50L에 해당합니다.)


6.2. 표준 품셈 및 경사도

  • 표준 품셈 (지주목 미설치): 수목을 인력 시공 식재 후 지주목을 세우지 않을 경우 인력 품의 **10%**를 감합니다. (기계 시공 시 20% 감합니다.)

  • 경사도 (구배): 경사도가 가장 큰 것은 수평 거리 분의 수직 높이 비율이 가장 큰 것입니다.

    • 100% 경사 = 1 : 1 (45도)

    • 1할 경사 = 1 : 10 (5.7도)

    • 1 : 0.7 = (수직 1 / 수평 0.7)로 약 1.43의 비율이며, 경사도가 가장 큽니다 (약 55도).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