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중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5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기중기운전기능사 필기시험 15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I. 건설기계 기관(엔진) 및 일반


1. 기관의 기초 지식

  • 피스톤 행정 (Stroke): 상사점(TDC)과 하사점(BDC) 사이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 실린더헤드 개스킷 손상 현상: 가스 누출로 인해 압축압력과 폭발압력이 낮아집니다. (냉각수 및 오일 누출도 발생)

  • 에어 클리너 (공기청정기): 연소에 필요한 공기 중 먼지 등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피스톤 등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작업 후 연료탱크를 가득 채우는 이유: 연료의 기포 방지연료탱크 내 수분(결로) 발생을 방지하여 연료 계통을 보호합니다. (압력을 높이기 위함이 아님)


2. 시동 및 기관 제어

  • 디젤기관 시동 불능 원인:

    • 시동 시 크랭크축 회전속도가 너무 느릴 때 (압축 불량 유발).

    • 연료 공급 불량, 예열 장치 불량 등.

  • 디젤기관 시동 용이화 방법:

    • 압축비를 높인다.

    • 예열플러그를 충분히 가열한다.

    • 흡기온도를 상승시킨다.

    • 시동 시 회전속도를 높인다.

  • 고속회전 원활치 못한 원인: 연료의 압송 불량, 거버너 작용 불량, 분사 시기 조정 불량 등. (축전지 불량은 점화장치와 관련)


3. 냉각 및 윤활 장치

  • 팬 벨트와 연결되는 풀리: 발전기 풀리, 워터펌프 풀리, 크랭크축 풀리. (기관 오일펌프는 캠축 기어와 연동)

  • 물펌프 고장 시 현상: 냉각수 순환 불량으로 기관 과열 발생.

  • 윤활유 여과 방식:

    • 전류식 (Full-flow): 공급된 윤활유 전부가 필터를 거쳐 윤활부로 가는 방식.

    • 분류식 (Bypass): 오일의 일부만 여과하는 방식.

  • 오일 압력계 수치 저하 원인:

    • 크랭크축 오일 틈새가 크다.

    • 크랭크 케이스에 오일이 적다 (부족).

    • 오일펌프가 불량하다.

    • (참고) 오일 릴리프 밸브가 막히면 압력이 높아진다.



II. 전기 및 유압 장치


1. 전기 장치

  • 교류발전기 (AC 발전기):

    • 다이오드 (Diode):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 주는 역할 (정류 작용).

    • 출력 조정: 로터 전류의 변화를 통해 조정합니다.

  • 축전지 (배터리):

    • 비중 측정 계기: 비중계를 사용합니다.

    • 터미널 식별: 부호 (+, -), 문자 (P, N), 굵기 (양극이 음극보다 큼)로 식별합니다. (요철로 분별하지 않음)

  • 방향지시등: 한쪽 등 점멸이 빠르게 작동할 경우, 해당 방향의 전구(램프)가 끊어졌을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2. 유압 장치 및 작동유

  • 유압의 원리: 유압기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얻습니다. (밀폐된 유체에 가해진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달)

  • 유압 펌프의 종류:

    • 플런저 펌프: 일반적으로 가장 고압, 고효율입니다.

    • 기어 펌프, 베인 펌프 등. (진공 펌프는 유압 펌프가 아님)

  • 유압 모터의 특징: 넓은 범위의 무단변속이 용이합니다.

  • 최대 압력 제어 밸브: **릴리프 밸브 (Relief Valve)**는 유압 계통의 최대 압력을 제어하여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 작동유 누유 점검: 유압 작동부에서 오일이 누유될 때 가장 먼저 **시일 (Seal)**을 점검합니다.


3. 축압기 (Accumulator)의 역할

  • 정의: 유압을 미리 저장하여 필요한 시점에 압유를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유압 에너지를 저장)

  • 주요 역할:

    1. 충격 흡수 (댐핑): 배관계통 내의 압력 맥동 및 충격파를 흡수합니다.

    2. 보조 동력원: 펌프의 유량 부족 시, 또는 펌프 정지 시 일시적으로 압력을 유지/공급합니다.

    3. 체적 변화 보상: 작동유 온도 변화에 따른 체적 변화를 보상합니다.

4. 유압 회로

  • 미터 인 (Meter-In) 회로: 유압 작동기의 입력측에 유량 제어 밸브를 직렬로 연결하여 유입되는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속도를 조절하는 회로입니다.

  • 분기 회로에 사용되는 밸브: 리듀싱 밸브 (Reducing Valve), 시퀀스 밸브 (Sequence Valve) 등이 사용됩니다.



III. 기중기 작업 및 안전


1. 기중기 운전 지식

  • 기중 능력: 운전반경 (작업반경)이 작아지면 기중 능력은 증가합니다. (반비례 관계)

  • 붐 각도와 능력: 붐의 각도가 커지면 기중 능력은 증가합니다. (비례 관계)

  • 기중기의 작업 용도: 기중 작업, 항타 작업, 굴토 작업 등. (지균 작업/평탄 작업은 모터그레이더의 용도)

  • 상부 회전체: 최대 회전각은 360° 입니다.

  • 작업 전 점검 사항: 와이어로프 상태, 볼트/너트 헐거움, 클러치/브레이크 작동, 운전실 조정 레버 정위치 여부 등. (냉각수량 점검은 운전 전 점검 사항)


2. 중량물 운반 및 안전 수칙

  • 운반 시 주의사항:

    • 규정 무게를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 흔들리기 쉬운 중량물은 사람이 붙잡지 말고 가이드로프를 이용하여 유도합니다.

    • 무거운 물건을 상승시킨 채 오랫동안 방치하지 않습니다.

    • 운반과정은 시작부터 끝까지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작업 시 안전사항:

    • 정전 시는 반드시 스위치를 끊습니다.

    • 고장 중의 기기에는 반드시 표식을 합니다.

    • 자리를 비울 때는 장비 작동을 OFF로 합니다. (자동 조정 후 자리 비움 금지)

  • 공구 관리 요건:

    • 공구의 적정 보유량을 확보할 것. (최저 보유량만 확보하는 것은 틀림)

    • 사용한 공구는 항상 깨끗이 정돈하고, 파손 공구는 즉시 교환합니다.


3. 위험물 및 보호구

  • 가스 용접 호스 색상:

    • 산소용: 녹색 또는 흑색

    • 아세틸렌용: 적색

  • 보안경 착용 작업: 그라인더를 사용하는 작업 (분진 발생 작업)

  • 방화 조치: 유류 취급 장소에는 방화수보다는 모래가 더 효과적입니다.

  • 도시가스 폭발 조건:

    • 누출된 가스의 농도가 폭발 범위 내에 들어야 한다.

    • 불씨 등의 점화원이 있어야 한다.

    • 충분한 공기가 있어야 한다. (가스 압력 크기와 무관)

  • 지하 매설 배관 색상 (도시가스):

    • 저압: 황색

    • 중압 이상: 적색


4. 법규 및 도로교통

  • 건설기계 등록: 시·도지사에게 신청합니다.

  • 등록 시 제출 서류 (출처 증명): 건설기계 제작증, 수입 면장, 매수 증서. (대여업 신고증은 무관)

  • 건설기계 사업: 대여업, 정비업, 매매업, 해체재활용업. (수출업은 사업에 해당하지 않음)

  • 폐기 처분 의무 위반 벌칙: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 기종별 표시 방법: 07 : 기중기

    • 08 : 모터그레이더

    • 04 : 지게차

    • 06 : 덤프트럭

  • 교통사고 시 조치 순서: 즉시 사상자를 구호하고 경찰공무원에게 신고합니다.

  • 최고속도의 50% 감속 운행 조건 (위험 상황):

    • 폭우, 폭설, 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일 때.

    • 노면이 얼어붙은 때.

    • 눈이 20mm 이상 쌓인 때. (비가 내려 노면에 습기가 있을 때는 20% 감속)

  • 정차 방법: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도로의 우측 단에 정차합니다.


5. 전기 안전거리 (한국전력)

  • 전선로 전압별 안전거리:

    • 154,000V (초고압): 160cm

    • 22,900V (특고압): 75cm

  • 감전 재해 발생 형태: 누전 상태 기기 접촉, 충전부와 대지 간 접촉, 충전부 양단 간 접촉. (안전거리 이상 이격한 경우는 안전한 상태)

  • 굴착 시 전력 케이블 보호 시설: 표지 시트, 지중 선로 표시기, 보호판. (모래는 주로 도시가스관 보호)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