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시험 16회 핵심요약노트 및 실전테스트

                            

📝 조경기능사 필기시험 16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조경 역사 및 이론 (History and Theory)


1-1. 서양 조경사 핵심 인물 및 기법

  • 찰스 브릿지맨 (Charles Bridgeman): 영국의 스토우원(Stowe Garden)을 설계했으며, 정원과 외부 경계를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해 **하하 기법 (Ha-Ha)**을 고안하여 도입한 조경가입니다.

  • 곡선 (Curved Line): 자유롭고 우아하며, 섬세하고 간접적인 여성적인 느낌을 주는 선입니다.


1-2. 동양 조경 (한국)

  • 후원 양식: 우리나라 전통 정원수법은 음양오행설, 유교, 풍수지리설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습니다. (불교는 사찰 정원 중심으로 발전)

  • 조선시대 독특한 공간: 궁궐이나 상류 주택에서 발달한 공간은 후정입니다. 이는 남성 중심의 유교 사회에서 안채 뒤쪽에 부녀자들을 위해 조성된 정원입니다.

  • 유명 정원 연결:

    • 소쇄원: 양산보

    • 부용동: 윤선도

    • 다산초당: 정약용


1-3. 디자인 원리 및 색채 이론

  • 조화 (Harmony): 모양이나 색깔 등이 비슷하면서도 완전히 똑같지 않은 요소들이 모여 전체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 위요 경관 (Enclosed View): 사방이 둘러싸여 안정감과 포근함 같은 정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경관입니다.

  • 먼셀 색체계 (Munsell Color System):

    • 5가지 기본 색상: 빨강(R), 노랑(Y), 초록(G), 파랑(B), 보라(P).

    • 중간색: 청록(BG) 등.

  • 동시대비 (Simultaneous Contrast): 도형의 색이 바탕색의 잔상(심리 보색) 방향으로 변화되어 지각되는 대비 효과입니다.



2. 조경 재료 및 계산 (Materials and Calculation)


2-1. 목재 및 계산

  • 연성 (Ductility) 순서: 금이 가장 크며, 금 > 은 > 백금 > 철 > 구리 > 알루미늄 > 주석 > 납 순입니다.

  • 방부법: 목재를 방부제 속에 일정 기간 담가두는 방법으로 크레오소트를 사용하는 것은 상압주입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 함수율 (전건량 기준):

    • 함수율 (%) = ((건조 전 중량 - 건조 중량) / 건조 중량) x 100

    • (예: 113kg -> 100kg 된 목재의 함수율은 (113-100) / 100 x 100% = 13.00%)


2-2. 석재 (Stone)

  • 화강암: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절리가 비교적 커서 큰 판재 생산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내화도가 낮아 가열 시 균열이 생기기 쉽습니다.

  • 천연 석재의 특징: 재료가 불균일하고, 갈라지는 방향성이 있습니다. (균일하지 않음)


2-3. 콘크리트 및 합성수지

  • 시멘트 응결 조절: 시멘트 제조 시 응결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석고를 첨가합니다.

  • 시멘트 종류:

    •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조기 강도를 요하는 긴급 공사에 적합합니다.

  • 합성수지 구분:

    • 열경화성 수지: 페놀계수지 (내수성, 내약품성, 내열성이 가장 우수함), 멜라민, 요소계.

    •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틸렌수지, 염화비닐계수지,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 콘크리트 포장: 내구성과 내마멸성이 좋으나, 일단 파손된 곳은 보수가 어렵습니다.



3. 조경 수목 및 관리 (Horticulture and Management)


3-1. 수목 생리 및 구분

  • 사절우 (四節友): 매화나무, 소나무, 국화, 대나무.

  • 양료 요구도 (비옥도 요구) 순서:

    • 유실수 > 활엽수 > 침엽수 > 소나무류

  • 양수 (Sun-loving tree): 일본잎갈나무, 소나무, 은행나무 등. (음수: 식나무, 사철나무 등)

  • 토양 구성비 (이상적인 사질양토): 토양 50% : 수분 25% : 공기 25%

  • 봄 개화 수종 (녹나무과): 생강나무 (가장 먼저 개화).

  • 수피 관상 수종 (아름다운 얼룩무늬): 노각나무, 모과나무, 배롱나무 (자귀나무는 회갈색으로 껍질이 터진 듯한 무늬).

  • 얇은 수피 수종: 배롱나무, 느티나무, 일본목련 등은 이식 직후 줄기감기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 열매 관상 수종: 모과나무 (은행나무, 반송, 낙우송은 열매보다 수형이나 잎이 주 관상 요소).


3-2. 전정 및 시비 (Pruning and Fertilizing)

  • 소나무 순지르기 적기: 5~6월경에 새순이 5~10cm 자랐을 때 실시합니다. 1~2개의 순만 남기고 중심순을 포함한 나머지는 제거하거나 남기는 순의 길이도 1/2~1/3 정도로 자릅니다.

  • 화목류 (철쭉, 개나리) 전정 적기: 꽃이 진 후 바로 실시합니다.

  • 시비 방법:

    • 액비 관주: 양분 흡수가 빠릅니다.

    • 엽면 시비: 뿌리 발육 불량 지역에 효과적입니다.

    • 천공 시비: 비료 과다 투입 시 염류 장해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발생 가능성이 없다는 설명은 틀림)


3-3. 병충해 관리

  • 비료의 3요소: 질소 (N), 인 (P), 칼륨 (K)

  • 그을음병: 진딧물이나 깍지벌레의 **분비물 (배설물)**에 곰팡이가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 병 삼각형 (Disease Triangle): 병 발생에 필요한 3가지 요인은 병원체, 환경, 기주입니다. (저항성은 포함되지 않음)

  • 농약 혼용 시 주의사항: 표준 희석 배수를 지키고, 침전물이 생기면 사용하지 않으며, 혼용 조제 후 즉시 살포합니다. (고농도 살포는 위험합니다.)

  • 공장 녹화용 수목: 일반적으로 상록 활엽수류가 침엽수류보다 내연성이 강합니다.



4. 조경 시공 및 시설 (Construction and Facilities)


4-1. 시공 관리 및 계획

  • 기본 구상 단계: 수집한 자료를 종합한 후, 개략적인 계획안의 개념을 정립하는 단계입니다.

  • 시공 관리의 3대 목표: 원가 관리, 공정 관리, 품질 관리 (노무 관리는 시공 관리의 세부 요소 중 하나입니다.)


4-2. 토공사 및 경사

  • 성토 (Fill): 일정한 장소에 흙을 쌓아 일정한 높이를 만드는 작업.

  • 경사도 (Slope):

    • 45도 경사1 : 1입니다.

    • 1 : 2 경사수직거리 1수평거리 2를 나타냅니다.

    • 25% 경사는 수평거리 100에 수직거리 25로, 1 : 4를 의미합니다.

  • 자연석 무너짐쌓기: 경사진 지형에서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양의 안식각을 유지하며 돌을 자연스럽게 쌓는 방법입니다.


4-3. 측량 및 제도

  • 수준 측량 용어:

    • 후시 (BS, Backsight): 높이를 알고 있는 기지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 읽은 값.

    • 전시 (FS, Foresight): 높이를 구하려는 미지점에 세운 표척을 읽은 값.

    • 표고 (Elevation): 일반적으로 기준면으로부터의 연직 거리.

  • 선 종류:

    • 2점쇄선: 물체가 있는 것으로 가상되는 부분을 표시하거나 1점쇄선과 구별할 때 사용.

    • 1점쇄선: 물체의 중심축, 대칭축, 경계선 등에 사용.


4-4. 시설물 및 식재 조건

  • 작업뜰 (Service Yard): 장독대, 빨래 건조장, 채소밭 등이 위치할 수 있습니다. (퍼걸러는 휴게 시설)

  • 마운딩 (Mounding) 기능: 유효 토심 확보, 배수 방향 조절, 자연스러운 경관 연출, 공간 분할의 역할. (공간 연결이 아님)

  • 어린이 공원 기준 (법률상):

    • 유치 거리: 250m 이하.

    • 면적: 1,500m2 이상.

  • 주차 단위 구획 (장애인 전용): 너비 3.3m 이상 × 길이 5.0m 이상

  • 지피 식물 조건: 관리가 용이하고 번식력이 왕성하며, 토양 표면을 치밀하게 피복하여 강수전단을 막아야 합니다. (듬성듬성 피복하는 것은 틀림)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