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경기능사 필기시험 1회 핵심 요약노트
아래에 정리되어 있는 핵심포인트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실전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실전테스트를 바로 하실 분은
본 글 맨 하단으로 가시면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1. 조경 역사 및 양식
주요 정원 양식의 특징
프랑스 정원 (정형식)
대표 인물: 앙드레 르 노트르 (André Le Nôtre).
대표 정원: 베르사유 정원 (세계 최대 규모의 정형식 정원 조성).
특징: 통경선(軸線)의 강조.
일본 정원 (자연식)
특징: 축소 지향적, 인공적 기교 (자연물을 인공적으로 축소), 추상적 구성. (통경선의 강조는 프랑스 정원과 관련됨).
문헌: 귤준망의 **'작정기'**에는 침전조 계통의 정원 형태, 연못, 섬, 입석 등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로마 정원
주택 정원: 외향적인 그리스와 달리 사적인 공간인 중정(페리스틸리움) 발달.
식재 방법: 페리스틸리움은 주로 오점식재법으로 식재.
발달 배경: 이탈리아의 경사지 지형적 제약으로 노단건축식 정원양식이 발달함.
이탈리아 정원
특징: 경사지를 깎아 테라스를 쌓는 노단건축식.
장식 요소: 기둥, 복도, 퍼걸러, 조각상, 계단폭포, 물무대, 정원극장, 동굴 등이 장식됨.
식재: 녹음수와 과실수가 주류를 이루며, 총림(Bosquet), Maze, 토피어리 등을 사용. (원예적으로 개량된 꽃나무의 다량 식재는 부적합).
2. 조경 계획 및 설계 기초
분석 및 규정
인문환경분석
목적: 계획 구역 내 거주자와 이용자를 이해 (인구, 토지이용, 교통, 인간행태 등).
어린이공원 설계 기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면적: 1개소의 면적은 1,500m² 이상.
유치 거리: 250m 이하.
공원시설 부지면적: 전체 면적의 60% 이하.
주의: 휴양시설 중 경로당 및 노인복지회관은 원칙적으로 제외됩니다.
조감도: 설계 대상지 전체를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모습을 투시도 작도법으로 그린 그림.
조경 시공: 조경 프로젝트 수행 단계 중 공학적 지식과 생물(식물)을 다루는 특수 기술이 필요한 단계.
공정: 공사 목적물을 완성하기까지 필요한 여러 가지 작업의 순서와 단계를 의미합니다.
수목 배치 기법
점식 (Spot Planting): 한 그루의 나무를 독립하여 심는 경우. 랜드마크 역할.
열식 (Row Planting): 일렬 선형으로 식재 (정형식 조경양식에 필수).
부등변삼각형 식재: 자연식 조경에 주로 사용.
시선유도 식재 (도로 기능 식재): 전방의 도로 형태(특히 곡선 구간)를 알려주어 교통 안전을 확보하는 목적.
제도 및 측정
제도 용구:
템플릿: 셀룰로이드 판에 원, 사각, 타원 등 각종 기호가 뚫려 있으며, 수목 표시 시 원형 템플릿 사용 빈도가 높습니다.
선의 종류 (굵기):
굵은 선 (0.6~0.8mm): 도면의 윤곽선, 건물의 외곽선, 단면선.
가는 선 (0.2mm): 문자 보조선, 질감, 치수선, 인출선, 지시선, 해칭선. (인출선과 치수선은 동일한 가는 실선입니다).
1점 쇄선: 중심선, 절단선, 경계선.
2점 쇄선: 가상선.
등고선
주곡선: 지형을 표시하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등고선.
성질: 등고선상에 있는 모든 점은 높이가 동일합니다. 도면의 안이나 밖에서 폐합되며 도중에 없어지지 않습니다.
경사: 급경사지는 간격이 좁고, 완경사지는 간격이 넓습니다. 등경사지는 간격이 같습니다.
방위각 표시:
방위각 150°는 S 30° E 입니다. (180° - 150° = 30°)
축척에 따른 면적 계산:
실제면적 = 도상면적 x (축척 분모)²
축척 1/5,000의 지도상 수평면적 5cm²의 실제 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5cm² = 0.0005m²
실제면적 = 0.0005 x (5,000)² = 12,500m²
3. 수목, 식물 재료 및 토양학
수목 및 식물 재료
내공해성 (아황산가스에 강한 수종):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 상수리나무, 가죽나무 등.
음수: 주목, 전나무, 비자나무, 독일가문비나무, 가시나무 등. (무궁화, 박태기나무, 산수유 등은 양수).
척박지 내성 수종 (콩과): 자귀나무 (질소 고정으로 지력을 높이는 데 기여).
화단 식물:
겨울 화단: 꽃양배추 (팬지, 메리골드, 달리아 등은 주로 봄~가을).
가을 꽃향기: 목서류 (금목서 등).
수종 분류:
노박덩굴과 상록수: 사철나무 (노박덩굴, 화살나무, 참빗살나무 등은 낙엽).
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 광나무, 이팝나무 (식나무는 층층나무과).
고광나무 꽃: 4~5월 개화, 백색.
토양의 이해
토양 단면 (유기물층):
L층 (Litter): 낙엽이 대부분 분해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쌓여 있는 층.
F층 (Fermentation): 낙엽이 부분적으로 분해되고 있는 층.
H층 (Humus): 낙엽이 완전히 분해되어 원형을 알아볼 수 없는 층.
임목 생장 최적 토양 구조: 입상구조 (입단 사이의 공극에 물이 저장되어 생물 생육에 적합).
토양 수분:
모세관수: 식물이 주로 이용하는 유효수분.
섬유포화점: 목재 중에 결합수만이 포화되어 있을 때의 수분 상태.
토양 침식:
침식량은 유거수량이 많을수록 증가합니다.
강우량보다 최대 강우 강도와 관계가 깊습니다.
식물 생장은 토양의 투수성을 좋게 하여 유실량을 감소시킵니다.
잔디
난지형 잔디: 버뮤다그래스, 들잔디.
난지형 한국잔디 발아 적온: 30~33°C (한지형은 20~30°C).
대취 (Thatch): 지표면과 잔디 사이에 형성된 죽었거나 살아있는 뿌리, 줄기 등이 섞인 유기층. 축적이 많으면 스캘핑 현상이 잘 일어납니다. 겨울에 생성이 가장 적습니다.
4. 재료 및 시공
조경 재료
골재의 성질: 단단하고 치밀하며, 필요한 무게를 가지고, 알의 모양이 둥글거나 입방체에 가까워야 합니다. 낱알 크기가 균등한 것보다 고루 분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골재 함수 상태: 습윤 상태는 골재 내부가 포화 상태이고, 표면에도 물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시멘트/콘크리트 혼합재:
급결제: 시멘트의 응결을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혼합제.
포졸란: 실리카질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며 그 자체는 수경성이 없으나, 시멘트 수화 시 생기는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불용성 화합물을 만드는 광물질 미분말 재료.
석재:
화강암: 화성암의 심성암에 속하며 흰색 또는 담회색을 띕니다.
석재 가공 순서: 혹두기 → 정다듬 → 도드락다듬 → 잔다듬 → 물갈기
도료:
래커 (Lacquer): 건조가 가장 빠르며 상온에서 경화됩니다. (오일페인트, 바니시, 레이크보다 빠름).
철재:
주철강: 선철이 주재료이며, 탄소 함유량이 1.7~6.6% 이고, 내식성이 뛰어납니다. 복잡한 형태의 주조가 용이합니다. (단단하지만 주조가 어렵다는 설명은 틀림).
옥상정원 경량재: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피트모스, 화산재 등. 사질양토는 경량재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시공 및 관리 기술
여성토 (더돋기): 흙이 가라앉을 것을 예측하여 계획 높이보다 더 쌓는 작업.
비탈면 보호:
종자뿜어붙이기법 (Seed Spraying): 짧은 시간과 급경사 지역에 사용하며, 종자, 비료, 접착제 등을 섞어 기계로 분사 파종합니다.
이식 후 수피 감기:
목적: 수피로부터 수분 증산 억제, 병해충의 침입 방지, 강한 태양광선으로부터의 피해 방지. (경관 향상은 주된 목적이 아님).
5. 관리, 병충해 및 농약
전정 (가지치기)
순자르기 (소나무): 5~6월경 새순이 5~10cm 자랐을 때 실시. 수세가 좋거나 어린 나무는 늦게 하고, 노목이나 약한 나무는 다소 빨리 합니다. 자라는 힘이 지나치면 1/3~1/2 정도 남기고 끝을 따줍니다.
잎솎기 (소나무): 8월경에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전정 도구: 적심가위 또는 순치기가위는 연하고 부드러운 가지나 수관 내부의 가는 가지를 자를 때 사용합니다.
해충 및 방제
소나무류 가해 해충이 아닌 것: 알락하늘소 (감귤, 사과 등을 가해). (솔잎혹파리, 솔수염하늘소, 솔나방 등은 소나무 가해 해충).
잡초의 특성: 재생/번식 능력이 강하고, 종자의 휴면성이 강하며 수명이 깁니다. 생육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큽니다.
농약 분류:
유효 주성분 조성에 따른 분류: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유기염소계, 유황계 등.
제형에 따른 분류: 입제, 훈증제, 수화제 등.
천적 피해를 주기 쉬운 농약: 지속성 접촉제 (잔류 기간이 길어 환경오염 유발).
해빙염 (염화칼슘/염화나트륨): 토양에 축적되어 수목의 양분 및 수분 흡수를 방해하여 가지가 마르거나 고사하는 피해를 입힙니다. 상록수가 낙엽수보다 큰 피해를 입습니다.
핵심포인트에 대한 공부가 되셨다면
아래에 '실전테스트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실제 시험처럼 실전테스트를 해 볼 수 있습니다.